
배선의 허용전류의 결정방법
본 내용은
"
배선의 허용전류의 결정방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6
문서 내 토픽
-
1. 배선의 허용전류 결정 방법배선의 허용전류는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A에 제시된 공사방법에 따라 결정한다. 시설 상태별 공사방법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허용전류 적용 기준(A1, A2, B1, B2 등)을 적용한다. 또한 도체 수, 전선의 최고허용온도, 주위온도, 동일시스템 내 회로 수 등에 따른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최종 허용전류를 결정한다.
-
1. 배선의 허용전류 결정 방법배선의 허용전류를 결정하는 방법은 전기설비 안전과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배선의 허용전류는 전선의 단면적, 전선 재질, 배선 방식, 주변 온도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전선의 단면적이 클수록 허용전류가 높아지지만, 비용과 공간 효율성 측면에서 적절한 단면적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전선 재질, 배선 방식, 주변 온도 등의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허용전류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관련 법규와 기준을 숙지하고, 전기설비 설계 및 시공 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선의 허용전류를 적절히 결정하면 전기설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전선의 굵기 결정 방법 12페이지
전선의 굵기 결정 방법1. 전선의 단면적 결정 요소전선의 단면적 결정은 다음에 따라 결정하며, 기본적으로 전기설비의 안전과 관계가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필요한 값 이상의 단면적을 적용하여야 한다.1)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전선의 허용전류는 도체가 정상상태에서 도체의 온도가 절연물의 최고허용온도를 초과하지않는 범위 이내에서 도체에 연속적으로 흘릴 수 있는 최대전류이다.즉,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Joule열(H= 0.24Ⅰ²R t ㎈)이 발생한다.그 전류를 연속적으로 흘리거나 증가하여 발생한 발생열과 방산열의 차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절연물...2021.12.20· 12페이지 -
한국전기설비규정 케이블 선정 방법 10페이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케이블 선정 방법1. 설계 절차2. 설계전류를 고려한 공칭단면적 선정 (Step.1)? : 회로의 설계 전류 (A)? : 상 식별 계수(3상 : √ , 단상 : 1)? : 수용률? k : 부하의 불평형에 따른 선 전류 증가 계수? : 단상, 또는 3상 부하의 입력 (VA)? : 정격전압 (V)? : 고조파발생 부하의 선 전류 증가 계수* 정격전류(설계전류)보다 큰 케이블 선정{}_{B}< Iz 조건만 만족3. 과전류 보호장치의 정격전류를 고려한 도체 단면적 선정 (Step 2)1) 전동기의 최대기동전류를 고...2022.10.13· 10페이지 -
한국전기설비규정에 의한 저압배선의 전류 보호협조 적용사례 6페이지
한국전기설비규정에 의한 저압 배선의 과전류 보호협조 적용사례1. 케이블(도체)의 허용전류 결정케이블(도체)의 허용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KS C IEC 60364-5-52’에 명시되어있으며, 케이블(도체)의 허용전류는 도체의 절연형태별 허용온도, 공사방법, 주위온도,복수회로로 포설된 그룹 저감계수 등에 의해 결정된다.‘KS C IEC 60364-5-52 부속서 B’의 표 B.52.5의 공사방법에 따른 허용전류를 참고하여 전선관 공사(공사방법 B2), XLPE 절연, 구리도체 케이블, 도체의 허용온도 90℃,주위온도 40℃(보...2023.07.05· 6페이지 -
전동기 분기회로에 대한 도체 단면적과 과부하 보호장치 정격전류 설계방법 10페이지
전동기 분기회로에 대한 도체의 단면적과 과전류 보호장치 정격전류 설계방법1. 계산조건1) 전기방식 : 3상 3선2) 전압 : 380V3) 전동기의 정격출력 : 22kW4) 전동기의 효율 : 88%5) 전동기의 역률(cosθ) : 80%6) 전동기의 기동방식 : 전전압기동7) 공사방법 : B28) 주위온도 : 40℃9) 전동기 분기회로의 병렬도체 수 : 110) 전동기 분기회로의 길이(L) : 60m11) 보호장치의 종류 : 산업용 배선용차단기2. 도체의 단면적 선정1) 설계전류를 고려한 공칭단면적의 선정가. 전동기회로의 설계전류I{...2021.07.10· 10페이지 -
KEC(한국전기설비규정) 국내 전선의 종류와 적용 5페이지
KEC(한국전기설비규정) 국내 전선의 종류와 적용전선의 종류는 나전선(나동선, ACSR등)과 절연전선(wire, cord, cable)이 있으며,옥내 배선설비에서 절연전선에는 Wire(국내에서 절연전선이라 함)와 케이블이 적용된다.1. 절연전선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옥내배선용 절연전선으로는 KS C IEC 60227-3으로제조된 450/750V 비닐절연전선과 내열전선으로 KS C 3341 표준에 의한 450/750V저독성 난연폴리올레핀절연전선(HFIX)이 있다.1) 일반 배선용 : 450/750V 비닐절연전선일부 현장에서 HIV라고...2021.12.11·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