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상지) 보장구
본 내용은
"
팔(상지) 보장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6
문서 내 토픽
-
1. 팔(상지) 보장구의 분류팔(상지) 보장구는 기능(역학적 특징)에 따라 정적 보조기, 동적 보조기, 기능적 보조기로 분류됩니다. 정적 보조기는 관절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스플린트로 고정 유지와 변형 교정을 위해 사용됩니다. 동적 보조기는 관절을 포함하며 가동성이 있고 스프링, 고무 등을 사용하여 근재교육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기능적 보조기는 손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적인 위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
2. 팔(상지) 보장구의 착용 목적팔(상지) 보장구는 약하거나 상실된 근력 보조, 조직의 길이와 관절가동범위 유지, 관절 고정 및 견인, 통증부위 보호, 변형 예방이나 교정, 구축 감소를 위한 조직성장 증진 등의 목적으로 착용됩니다.
-
3. 팔(상지) 보장구의 역학적 원리와 고려사항팔(상지) 보장구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손의 기능적 위치(손목관절 등쪽굽힘 20도, 엄지손가락 벌림, MCP/IP 폄), 손의 3가지 활(가로손활, 세로손활, 경사손활)입니다. 이는 손바닥에 가해지는 하중 균등화, 엄지와 새끼 손가락의 대립운동 가능, 물체 쥐기, 손가락 굽힘 시 모든 손가락을 집중하는 데 중요합니다.
-
4. 어깨 보조기어깨 보조기에는 어깨관절 벌림 보조기, 동적 어깨관절 벌림 보조기, 어깨뼈 고정 보조기, 8자 모양의 빗장뼈 끈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외상성 손상, 어깨관절 골절, 위팔신경총 마비, 분만마비, 어깨관절 주위근 파열, 어깨관절 수술 후 고정, 겨드랑이 모음 구축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5. 팔 걸이(Sling)팔 걸이(Sling)는 어깨관절 주위 근육 손상 시 팔을 붙들어 주어 동통을 경감시키고 손상부위를 보호하며, 위팔뼈머리가 겨드랑이 속에 유지되게 하고 근력 약화로 인한 부분탈구 예방 및 복원을 위해 사용됩니다. 종류로는 Single strap sling, Multiple strap sling, 위팔 커프 팔걸이, Abduction sling, Suspension sling, Bobath sling 등이 있습니다.
-
6. 팔꿉 보조기팔꿉 보조기에는 팔꿉관절 안정성 유지, 아래팔 돌림 안정성 유지, 굽힘/폄 각도 제한을 위한 Elbow control orthosis, 골절이나 인대 손상 시 고정용 Rigid elbow orthosis, 팔꿉관절 ROM 증가를 위한 Dorsal elbow extensor/flexor orthosis 등이 있습니다.
-
7. 손목-손 보조기손목-손 보조기에는 손의 기능적 자세 유지, 구축 예방을 위한 정적 보조기, 손바닥 활 보조, 엄지 맞섬/벌림 지지, Web space 유지를 위한 Cock-up, C-bar, Volar/Dorsal wrist hand orthosis 등이 있습니다. 또한 손목관절 운동 조절을 위한 Long opponens hand splint, 손목관절 자세 유지를 위한 Volar/Dorsal wrist hand stabilizer, 손목관절 폄 보조를 위한 Wrist extension assist orthosis 등이 있습니다.
-
8. 손허리손가락관절(MP) 및 손가락 관절 보조기MP 관절 보조기에는 MP 굽힘/폄을 위한 Knuckle bender, Reverse knuckle bender, MP extensor assist 등이 있습니다. 손가락 관절 보조기에는 IP 관절 자세 유지를 위한 IP orthosis, IP 굽힘/폄을 위한 IP flexor/extensor orthosis, 손가락 폄 보조를 위한 Finger extension assist assembly 등이 있습니다.
-
9. 엄지손가락 보조기엄지손가락 보조기에는 CMC 관절과 MP 관절을 고정하는 Thumb carpometacarpal stabilizer, 엄지 벌림과 폄을 보조하는 Thumb abduction extension assist assembly 등이 있습니다.
-
10. 척수 손상에 따른 보조기 선택척수 손상 환자에게는 붙잡는 기능을 도와주는 prehension orthosis가 사용됩니다. 이에는 Finger driven, Wrist driven, Passive, Electrically driven 방식의 보조기와 Utensil holder 등이 포함됩니다. 환자의 잔존 기능에 따라 적절한 보조기를 선택하여 ADL 수행을 돕습니다.
-
1. 팔(상지) 보장구의 분류팔(상지) 보장구는 기능적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크게 관절 보조기, 근력 보조기, 보호 보조기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관절 보조기는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근력 보조기는 근력 약화를 보완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호 보조기는 관절이나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러한 분류는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보장구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보장구의 재질, 디자인, 제작 방식 등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보장구의 기능과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2. 팔(상지) 보장구의 착용 목적팔(상지) 보장구의 주요 착용 목적은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관절의 안정성과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관절 보조기를 통해 관절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지지함으로써 관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둘째, 근력 약화를 보완하는 것입니다. 근력 보조기를 통해 약화된 근력을 보완하여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셋째, 관절이나 피부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보호 보조기를 통해 관절이나 피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적절한 보장구를 선택하고 착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팔(상지) 보장구의 역학적 원리와 고려사항팔(상지) 보장구의 역학적 원리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지지하는 원리입니다. 관절 보조기는 관절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거나 관절을 지지함으로써 관절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둘째, 근력을 보완하는 원리입니다. 근력 보조기는 약화된 근력을 보완하여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킵니다. 셋째, 관절이나 피부를 보호하는 원리입니다. 보호 보조기는 관절이나 피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합니다. 이러한 역학적 원리를 고려할 때 보장구의 디자인, 재질, 착용감, 사용성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 활동 수준, 생활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보장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어깨 보조기어깨 보조기는 어깨 관절의 안정성과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어깨 관절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둘째, 어깨 관절의 움직임을 지지하여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킵니다. 셋째, 어깨 관절 주변의 근육을 보조하여 근력 약화를 보완합니다. 어깨 보조기는 재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보조기가 사용됩니다. 어깨 보조기의 선택과 사용은 전문가의 평가와 지도가 필요합니다.
-
5. 팔 걸이(Sling)팔 걸이(Sling)는 팔의 무게를 지지하여 어깨 관절과 상완 관절의 부담을 줄이는 보조기입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팔의 무게를 지지하여 관절의 부담을 줄입니다. 둘째, 팔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셋째, 팔의 위치를 고정하여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킵니다. 팔 걸이는 다양한 유형과 디자인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팔 걸이의 사용은 관절 보호, 통증 감소, 기능 향상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6. 팔꿉 보조기팔꿉 보조기는 팔꿉 관절의 안정성과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팔꿉 관절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둘째, 팔꿉 관절의 움직임을 지지하여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킵니다. 셋째, 팔꿉 관절 주변의 근육을 보조하여 근력 약화를 보완합니다. 팔꿉 보조기는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팔꿉 보조기의 사용은 관절 보호, 통증 감소, 기능 향상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7. 손목-손 보조기손목-손 보조기는 손목 관절과 손 관절의 안정성과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손목 관절과 손 관절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둘째, 손목 관절과 손 관절의 움직임을 지지하여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킵니다. 셋째, 손목 관절과 손 관절 주변의 근육을 보조하여 근력 약화를 보완합니다. 손목-손 보조기는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손목-손 보조기의 사용은 관절 보호, 통증 감소, 기능 향상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8. 손허리손가락관절(MP) 및 손가락 관절 보조기손허리손가락관절(MP) 및 손가락 관절 보조기는 손허리손가락관절과 손가락 관절의 안정성과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손허리손가락관절과 손가락 관절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둘째, 손허리손가락관절과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을 지지하여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킵니다. 셋째, 손허리손가락관절과 손가락 관절 주변의 근육을 보조하여 근력 약화를 보완합니다. 이러한 보조기는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손허리손가락관절 및 손가락 관절 보조기의 사용은 관절 보호, 통증 감소, 기능 향상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9. 엄지손가락 보조기엄지손가락 보조기는 엄지손가락 관절의 안정성과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엄지손가락 관절의 과도한 움직임을 제한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둘째, 엄지손가락 관절의 움직임을 지지하여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킵니다. 셋째, 엄지손가락 관절 주변의 근육을 보조하여 근력 약화를 보완합니다. 엄지손가락 보조기는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엄지손가락 보조기의 사용은 관절 보호, 통증 감소, 기능 향상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10. 척수 손상에 따른 보조기 선택척수 손상 환자의 경우 팔(상지) 보조기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척수 손상의 수준과 정도에 따라 다양한 보조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부 척수 손상 환자의 경우 어깨 보조기, 팔 걸이, 팔꿉 보조기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부 척수 손상 환자의 경우 손목-손 보조기, 손허리손가락관절 및 손가락 관절 보조기, 엄지손가락 보조기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조기는 관절 안정성 향상, 근력 보완, 기능 향상 등을 통해 척수 손상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척수 손상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보조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지체장애의 유형 분류] 신경장애, 근골격장애, 외상성 손상, 선천성 기형 5페이지
[지체장애의 유형 분류] 신경장애, 근골격장애, 외상성 손상, 선천성 기형목차지체장애의 유형 분류I. 신경장애II. 근골격장애III. 외상성 손상IV. 선천성 기형* 참고문헌지체장애의 유형 분류지체장애아는 손이나 발, 체간, 골격, 관절, 근육, 중추 신경계의 질환이나 이상에 의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 종류와 부위가 매우 다양하고 장애 상태도 복잡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체장애아의 분류에는 (1) 상지의 절단, 상지기능의 장애, 하지의 절단, 하지기능의 장애, 체간 기능의 장애 등 장애 부위별 기준에 의한 분류, (2) 뇌...2020.09.23· 5페이지 -
지체장애인의 이동권 보장 2페이지
특수교육학개론지체장애인의 이동권에 대한 주장 ? 근거자료를 활용하여 주장하시오.지체장애인이란 상지, 하지 또는 신체구조에 영속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을 말한다.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지체장애인을 한 팔, 한 다리 또는 몸통의 기능에 영속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으로 구분한다. 지체장애의 유형으로는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신체변형장애 등이 있는데, 해당 장애로 인해 보행에 있어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지체장애는 후천적인 원인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지만, 선천적으로 장애가 일어나 영구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의외로 많다.2003...2022.05.08· 2페이지 -
성인 A+ 받은 과제 영화(내사랑 내곁에) 문헌고찰, 근위축성측색경화증(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13페이지
문헌고찰 근위축성측색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담당 과목 지도교수 학년 / 반 학번 / 이름 제출일 Ⅰ.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Ⅱ. 문헌고찰1-10 1. 뇌의 구조1-3 2. 정의3 3. 원인 및 병태생리3-5 4. 증상 5-6 5. 진단6-8 6. 치료8-9 7. 간호9-10 8. 예후10 9. 결론11 Ⅲ. 참고문헌11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루게릭병(근위축성측색경화증, ALS)은 운동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질환으로, 대뇌피질의 위 운동신경세포와 ...2025.04.18· 13페이지 -
Spinal Cord Injury 케이스 스터디 22페이지
병동 CASE STUDY-Spinal Cord Injury, Cervical-실습 교과목명성인간호학 실습2실습 장소OOOOOOO병원 OO병동실습 기간지도 교수학 번이 름제출일자-목차-Ⅰ. 서론--------------------------1Ⅱ. 문헌고찰1. 척수와 척추------------------------32. 척수손상1)정의-------------------------------42)원인 및 빈도3)척수손상의 분류4)증상5)진단-------------------------------56)치료-------------------...2022.11.14· 22페이지 -
A+ 아동간호학 뇌성마비 케이스 간호과정 2개 26페이지
CASE STUDY뇌성마비(Cerebral Palsy)임상실습 지도 교원임상실습 현장 지도자과 목지도교수실습지실습 기간반 / 학번이 름제 출 일Ⅰ. 서론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Ⅱ. 문헌고찰1-111. 뇌성마비의 정의12. 뇌성마비의 원인 및 병태생리1-23. 뇌성마비 분류3-54. 뇌성마비 증상55. 뇌성마비 진단검사6-76. 뇌성마비 치료7-107. 뇌성마비 간호10-11Ⅲ. 사례보고서12-221. 입원아동 기본정보12-171) 일반정보12-132) 욕창위험도 사정133) 진단검사 14-164) 약물16-172. 간호과정1...2025.02.27·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