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H A+ 케이스스터디
본 내용은
"
PIH A+ 케이스스터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9
문서 내 토픽
  • 1. 임신성 고혈압(PIH)
    임신 20주 이후에 나타나는 고혈압으로, 6시간 간격으로 혈압을 두 번 이상 측정하였을 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고, 산후 12주 이상 지속되지 않고 보통 산후1주에 해결된다. 임신성 고혈압(gestational hypertension)은 단백뇨나 기타 전신적 소견이 없고 이전에 혈압이 정상이던 임부가 임신 20주 이후 고혈압이 발생된 경우이며, 자간전증(preeclampsia)은 이전에 혈압이 정상이던 임부가 임신 20주 후 또는 산호초기에 단백뇨를 동반한 고혈압이 발생된 경우이다. 자간증(eclampsia)은 자간전증 임부에게 다른 원인이 없이 발작또는 혼수(coma)가 발생한 경우이다.
  • 2. PIH 증상
    자간전증(predampsia)의 증상으로는 임신 20주 후 고혈압과 단백뇨, 부종 등이 나타나며, 지속적인 두통, 흐려진 시야, 지속적인 상복부 통증이 있다. 자간증(eclampsia)은 자간전증보다 심각한 형태로 발작과 경련이 동반된다. HELLP 증후군은 Hemolysis 용혈, ELevated liver enzyme 간효소 증가, Low Platelet 저혈소판증이 나타나며 오심, 구토, 권태감, 우측 상복부 통증 등이 있다.
  • 3. PIH 진단 및 치료
    PIH 진단을 위해서는 산전검사로 혈압과 소변검사를 하며, 롤오버 검사(roll over test)를 통해 28~32주 사이 초임부의 임신성 고혈압을 예측할 수 있다. 치료로는 ABR, 저염 고단백식이, 4시간마다 V/S 체크, 약물요법(황산마그네슘, 항고혈압제제 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임신성 고혈압(PIH)
    임신성 고혈압(PIH)은 임신 중 발생하는 고혈압 질환으로, 임신 20주 이후에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PIH는 임신부와 태아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중 혈압이 상승하고 단백뇨가 발생하는 것이 주요 증상입니다. 이로 인해 태아의 성장 지연, 조산, 태반 기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부는 정기적인 산전 검진을 통해 혈압과 단백뇨 수치를 확인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신성 고혈압의 치료는 혈압 조절, 단백뇨 관리, 태아 상태 모니터링 등으로 이루어지며, 심각한 경우 조기 분만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임신부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임신성 고혈압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 2. PIH 증상
    임신성 고혈압(PIH)의 주요 증상은 임신 20주 이후 혈압 상승과 단백뇨 발생입니다. 구체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됩니다. 또한 24시간 소변 검사에서 단백뇨가 300mg 이상 검출되면 단백뇨 증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이 외에도 두통, 시력 변화, 상복부 통증, 오심 및 구토,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임신부와 태아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경증의 PIH라도 방치하면 중증으로 악화될 수 있으므로, 임신부는 정기적인 산전 검진을 통해 혈압과 단백뇨 수치를 확인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관리를 받아야 합니다.
  • 3. PIH 진단 및 치료
    임신성 고혈압(PIH)의 진단은 임신 20주 이후 혈압 상승과 단백뇨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집니다. 구체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되며, 24시간 소변 검사에서 단백뇨가 300mg 이상 검출되면 단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