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비자동제어 중간고사
본 내용은
"
설비자동제어 중간고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5
문서 내 토픽
-
1. 스마트 그린 빌딩ICT 영역이 매우 강조된 스마트 빌딩의 기능과 서비스를 포함하여 환경과 에너지 및 자원을 고려한 설계, 시공, 유지 관리 단계를 고려한 지속 가능한 빌딩
-
2. 아날로그 제어와 디지털 제어연속적인 제어는 아날로그 제어, 불연속적인 제어는 디지털 제어. 피드백제어는 제어된 출력 신호의 일부를 입력측으로 되돌려 목표값 또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어하는 방식이며, 시퀀스제어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일련의 제어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방식
-
3. IBS와 BASIBS는 빌딩자동화, 정보통신시스템, 사무자동화 등 주요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생산성 향상, 유지관리 효율성 극대화, 비용 절감을 제공하는 인텔리전트 시스템. BAS는 빌딩 내 기계설비를 통합 관리하여 에너지 효율성 증대 및 운영비 절감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
-
4. 전기식제어 방식과 전자식제어 방식전기식은 검출부와 조절부가 일체로 되어 있고, 전자식은 검출부와 조절부가 분리되어 있음. DDC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제어하는 방식
-
5. 2위치 제어와 비례제어2위치 제어는 릴레이 및 마이크로스위치 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방식이고, 비례제어는 포텐쇼메타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방식
-
6. 밸런싱 릴레이모듈레이팅 모터의 핵심 구성요소로, 온도 변화에 따른 포텐쇼메타의 변위로 코일에 흐르는 전류 변화에 의해 가동접점을 흡입하여 모터의 회전방향을 결정
-
7. 리미트제어중앙송풍기 시스템에서 토출 공기온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제어 방식으로, 상한제어와 하한제어가 있음
-
8. 차압조절기공조시스템의 냉온수 배관계통에서 급수관로와 환수관로 간의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모듈레이팅 모터로 구동되는 밸브를 비례제어하는데 사용
-
9. 이온화 감지기, 액체흐름 스위치, 공기흐름 스위치, 필터차압 검출기이온화 연기 감지기는 덕트 내 연기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급기팬 및 공조기를 정지시킴. 액체흐름 스위치와 공기흐름 스위치는 유량 및 유속을 검지하여 경보 및 기기 제어에 사용. 필터차압 검출기는 에어필터의 청결상태를 감시하여 경보를 발생시킴
-
10. P, PI, PID 제어P제어는 비례제어, I제어는 적분제어, D제어는 미분제어. P제어의 잔류편차를 제거하기 위해 I제어와 조합한 것이 PI제어이며, PI제어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D동작을 조합한 것이 PID제어
-
1. 스마트 그린 빌딩스마트 그린 빌딩은 에너지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첨단 기술을 활용하는 건물 설계 및 운영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며,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스마트 그린 빌딩은 센서, 제어 시스템,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건물의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고, 재생 에너지 활용을 높이는 등 다양한 기술을 접목합니다. 이는 건물의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거주자의 건강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2. 아날로그 제어와 디지털 제어아날로그 제어와 디지털 제어는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아날로그 제어는 연속적인 신호를 사용하여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지만, 노이즈에 취약하고 시스템 변화에 따른 조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면 디지털 제어는 이산적인 신호를 사용하여 노이즈에 강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유연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정밀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아날로그와 디지털 제어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어 시스템의 정밀성, 안정성,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3. IBS와 BASIBS(Integrated Building System)와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는 건물 자동화 및 관리를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IBS는 건물의 다양한 시스템(HVAC, 조명, 보안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에너지 효율성 향상, 운영 비용 절감, 거주자 편의성 제고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BAS는 건물 내 설비와 시스템을 자동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실시간 데이터 수집, 원격 제어, 에너지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두 기술은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건물의 지능화와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향후 IoT, 빅데이터, AI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전기식제어 방식과 전자식제어 방식전기식제어 방식과 전자식제어 방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전기식제어 방식은 기계적인 스위치와 릴레이를 사용하여 비교적 단순하고 견고한 구조를 가지지만, 정밀도가 낮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전자식제어 방식은 전자 회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활용하여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유연성이 높지만, 복잡한 구조로 인해 고장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기식과 전자식 제어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어 시스템의 정밀성, 안정성,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5. 2위치 제어와 비례제어2위치 제어와 비례제어는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2위치 제어는 단순한 구조와 낮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정밀한 제어가 어렵고 시스템 안정성이 낮습니다. 반면 비례제어는 연속적인 제어가 가능하여 정밀한 제어와 안정성이 높지만, 구현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2위치 제어와 비례제어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제어 방식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어 시스템의 정밀성, 안정성,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제어 알고리즘의 발전과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술의 발달로 인해 보다 복잡한 제어 기법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6. 밸런싱 릴레이밸런싱 릴레이는 HVAC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장치는 공기 또는 액체 유량을 균형있게 조절하여 시스템의 효율성과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밸런싱 릴레이는 압력 차이를 감지하여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각 구역의 온도와 습도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밸런싱 릴레이는 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하여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VAC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밸런싱 릴레이의 적절한 설치와 유지보수가 필수적입니다.
-
7. 리미트제어리미트제어는 시스템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 제어 방식은 시스템의 특정 변수(온도, 압력, 유량 등)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시스템을 차단하거나 제한하여 과부하, 고장, 사고 등을 방지합니다. 리미트제어는 HVAC, 산업 공정,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이고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리미트제어는 시스템의 운전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미트제어는 시스템의 안전성, 안정성,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8. 차압조절기차압조절기는 HVAC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장치는 공기 또는 액체의 압력 차이를 감지하여 유량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차압조절기는 각 구역의 압력 차이를 최소화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차압조절기는 과도한 압력 차이로 인한 소음, 진동, 에너지 손실 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HVAC 시스템의 안정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차압조절기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배관 시스템, 청정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시스템의 균형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9. 이온화 감지기, 액체흐름 스위치, 공기흐름 스위치, 필터차압 검출기이온화 감지기, 액체흐름 스위치, 공기흐름 스위치, 필터차압 검출기는 HVAC 시스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온화 감지기는 연기와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화재 예방에 기여합니다. 액체흐름 스위치와 공기흐름 스위치는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여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합니다. 필터차압 검출기는 필터의 막힘 상태를 감지하여 필터 교체 시기를 알려줌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센서 기술은 HVAC 시스템의 안전성, 신뢰성,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향후 IoT, 빅데이터, AI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10. P, PI, PID 제어P, PI, PID 제어는 HVAC 시스템의 온도, 습도, 압력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P(비례) 제어는 단순한 구조와 낮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정밀도가 낮고 정상 상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I(비례-적분) 제어는 P 제어의 단점을 보완하여 정상 상태 오차를 줄일 수 있지만, 과도 응답 특성이 좋지 않습니다. PID(비례-적분-미분) 제어는 P, I, D 제어 요소를 결합하여 정밀도, 안정성, 응답 속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제어 기법과 함께 머신러닝, 퍼지 제어 등 다양한 기술이 접목되어 HVAC 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 제고, 실내 환경 최적화, 시스템 안정성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
설비 자동제어 중간/기말고사 기출문제 및 수업내용 정리 - 설비공학과 15페이지
CAV AHU를 그리고 공기조화에서 배운 지식을 토대로 일반적으로 운전되는 동하절기 공기바란스(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라.2014년 중간고사 (2014~2016.10.23)공기바란스(동작)① 송풍기를 통해 SA(급기)가 실안에 공급된다. ② 실내공기의 10~20%는 EA(배기)[배출]되고 80~90%는 RA(환기)[재활용]된다.③ 배출된 EA(배기)의 양만큼 외기(OA)를 도입한다. (이때 외기는 낙하 때문에 적정량만 도입)④ RA(환기)와 OA(외기)를 합친 MA(혼합기)를 공조기에 공급하여 쾌적한 상태를 만든다. 위의 과정을 반복...2016.11.05· 15페이지 -
친환경 xEV 공학 개론 노트정리 24페이지
중간 노트정리1주차. OT2주차. 수소 전기차의 이해13주차. 수소 전기차의 이해24주차. xEV의 구동부와 구동소자15주차. xEV의 구동부와 구동소자26주차. xEV의 구동부와 구동소자31주차. OT#. xEV(x Electric Vehicle)란?xElectric VehicleBattery EVFuel Cell EVHybrid EVPlug in Hybrid EV#. 강의계획서교수님내용1OT2수소 전기차34구동부와 구동소자567중간고사[2-3주차. 수소 전기차]#. 수소 연료전지#. Reformer(개질기)#. 연소식[4-6주...2025.07.12· 24페이지 -
금오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기계공작법 한ㅅㅅ 교수님 중간고사 족보 4페이지
기계공작법 중간고사담당교수 : 한??객관식 각 2점1. 백주철을 풀림 처리하여 연성을 갖게 한 주철은?① 백선주철② 회주철③ 가단주철 ④ 구상흑연주철⑤ 고연성주철2. 금속 결정 입자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면 변형된 결정입자가 파괴되어 점차 미세한 결정 입자로 변화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① 불림 ② 재결정 ③ 편석 ④ 열처리 ⑤전위3. 목형에 rounding을 두는 주목적은?① 주형을 파손하지 않고 목형을 빼낼 수 있다.② 주물의 악전 발생을 억제한다.③ 목형 취급을 용이하게 하여 부상을 막는다.④ 목형의 균열을 방지 한다.⑤ 주...2020.11.19· 4페이지 -
반도체 사업 4페이지
기말고사 대체 과제2019 생 김**희망하는 진로분야는 반도체 사업이다. 반도체는 우리나라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산업 중 하나이고 작은 장난감부터 컴퓨터를 넘어 로켓까지 우리 생활에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반도체 업계에 취업하여서 우리나라를 메모리 반도체뿐만 아니라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도 두곽을 드러낼 수 있도록 하고 싶다.먼저 반도체에 관련된 설명을 하자면 반도체는 전류가 흐르는 정도가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인 물질이다. 반도체가 산업의 쌀이라고 불릴만큼 중요한 이유는 전기적인 신호를 가하거나, 불순물을 첨가하거나, ...2021.12.05· 4페이지 -
최근 ‘4차 산업혁명’이 미래 성장의 원동력으로 부각됨에 따라 주요국들은 이와 관련된 8페이지
2021학년도 1학기 인터넷과 유비쿼터스 중간고사 대체과제○ 다음 내용을 읽고 지시사항에 맞게 과제물을 작성하시오최근 ‘4차 산업혁명’이 미래 성장의 원동력으로 부각됨에 따라 주요국들은 이와 관련된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적극 추진 중이다. ‘4차 산업혁명’은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물리학, 생물학 등 경계가 없어지고 융합되는 기술 혁명을 의미한다. 산업 측면에 서 살펴보면 공유 경제를 이용한 산업이 부상할 것으로 전망되며, 노동시장 측면에서는 전문 기술직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단순직의 일자리는 줄어들 전망이다...2022.03.10·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