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흑구온도계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본 내용은
"
흑구온도계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07
문서 내 토픽
-
1. 흑구온도계흑구온도계는 두께 0.5mm의 동 박판으로 직경 150mm의 흑색표면의 무광택인 구를 만들어 100 ℃ 1/2나 1/1 ℃ 눈금이 있는 15cm 의 봉상수은온도계를 구체의 중심에 끼운 것으로 주위 면과의 열복사와 주위 공 기와의 대류에 의한 평형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만약 기류의 움직임이 거의 없다면 인체에 대한 작 용온도와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글로브온도계의 단점은 평균복사온도가 기온보다도 낮은 경우는 인간의 추위와 더위에 대한 감각과 대응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평균복사온도가 기온보다 높은 경우에 이용해야 한다.
-
2. 카타온도계카타온도계는 1914년 L. Hill 등에 의하여 인체의 방열모형으로써 개발되었다. 알코올이 봉입 된 온도계의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감온부를 데워서 알코올을 관내에서 상승시 킨 후, 100 ℉ (37.8 ℃ )에서 95 ℉ (35 ℃ )의 눈금 사이를 하강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환 경의 냉각력을 알아내는 것 이다. 원래 이 냉각력을 체감지표로 할 목적이었지 만, 감온부의 형상이 작고 풍속에 대한 감도가 높아 본래의 목적과는 달리 현재 에는 미풍속계로 사용되고 있다.
-
3. 평균복사온도평균복사온도 MRT는 주위표면에 대한 면적가중 평균온도로서 다 음 식으로 정의 된다. MRT=∑t×s/∑s 여기서 t는 실내 표면적의 온도이고 s는 실내 표면적이다. 평균복사온도 MRT는 흑구온도계 또는 글로브온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흑구온도계는 지름이 150~250mm인 무광택 흑색 구리 공의 가운데에 온도계를 꽂은 형태인데, 안정된 상태로 놓아두면 공기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5분 내에 주위 표면의 평균복사온 도와 같은 온도로 눈금을 나타낸다.
-
1. 흑구온도계흑구온도계는 복사열 측정에 널리 사용되는 온도계입니다. 흑구온도계는 물체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물체의 복사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 온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 온도계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물체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산업, 건축,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고온 환경에서 물체의 온도를 측정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하지만 흑구온도계는 물체의 복사 특성을 정확히 알아야 하며, 측정 환경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흑구온도계를 사용할 때는 물체의 복사 특성과 측정 환경을 고려하여 정확한 온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2. 카타온도계카타온도계는 공기의 열전도율을 측정하여 온도를 추정하는 온도계입니다. 이 온도계는 공기의 열전도율이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합니다. 카타온도계는 주로 실내 공기의 온도 측정에 사용되며, 공기의 열전도율을 측정하여 온도를 추정하므로 공기의 흐름이나 습도 등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또한 카타온도계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카타온도계는 공기의 열전도율 변화에 민감하므로 측정 환경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타온도계를 사용할 때는 측정 환경을 고려하여 정확한 온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3. 평균복사온도평균복사온도는 주변 환경의 복사열이 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계산된 온도입니다. 이 온도는 물체의 표면 온도와 주변 환경의 복사열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계산되므로, 실제 물체가 느끼는 온도를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습니다. 평균복사온도는 주로 건축, 냉난방 분야에서 활용되며, 실내 공간의 열 환경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평균복사온도는 인체의 열 쾌적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하지만 평균복사온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