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수지의 정의(개념), 성격, 국제수지 균형과 불균형, 경상수지의 적자와 흑자
문서 내 토픽
-
1. 국제수지의 정의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란 1/ 일정 기간 동안에 2/ 한 나라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이루어진 3/ 모든 경제적 거래를 4/ 체계적으로 정리한 통계이다. 국제수지의 정의에서 1/ '일정 기간'이란 보통 1개월, 3개월, 1년을 의미하며 그 기간 동안의 거래를 집계한 유량(How)개념이다. 2/ 한 나라의 거주자와 비거주자' 는 국제거래에 참여하는 개인이나 기업, 정부기관 등이 국적이 어디고 단순히 어디에 살고 있느냐가 아니라 경제활동에 있어서 이익의 중심이 어디에 있느냐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3/ '모든 경제적 거래'란 재화 ? 서비스 ? 자본 ? 외환의 거래와 국가 간의 증여 등 일체의 대외거래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4/ '체계적으로 정리한 통계'란 복식부기의 원리에 토대를 둔 IMF 국제수지 편제 메뉴얼에 따라 작성한다는 것이다.
-
2. 국제수지의 성격국제거래에는 자율거래와 조정거래가 있다. 자율거래는 이익의 증진 등 독자적인 동기에 의해 발생하는 거래이고, 조정거래는 자율거래에 의해 유발되는 거래이다. 국제수지표상의 여러 거래 중 어디까지를 자율거래로 보느냐에 따라 경상수지를 국제수지로 간주할 수도 있고,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를 합한 것을 국제수지로 간주할 수도 있다.
-
3. 국제수지의 균형과 불균형국제수지표는 전체적으로 총수입(總收入)과 총지급(總支給)이 같다. 그러나 어디까지를 자율거래로 보느냐에 따라 수입과 지급이 일치할 수도 있고 불일치할 수도 있다. 결국 자율거래의 항목에서 수입과 지급의 크기에 따라 국제수지의 균형과 불균형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수입이 지급과 일치하면 국제수지가 균형이 되고, 수입이 지급보다 작으면 적자, 그리고 수입이 지급보다 크면 흑자가 된다.
-
4. 경상수지의 적자와 흑자국제수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상수지인데 그 이유는 경상수지의 적자, 흑자가 산업생산, 고용, 국민소득등국민경제 각 분야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우선 경상수지 적자가 되면 국민소득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상품수입 대금을 지급하기 위하여 외국으로부터 돈을 꾸어 옴으로써 그만큼의 외채가 증가하고 소비생활이 위축될 것이다. 반면에 경상수지 흑자가 되면 국민소득이 증대되고, 고용이 확대될 뿐만 아니라 벌어들인 돈으로 그동안 외국에 진 빛을 갚을 수 있다. 그러나 경상수지의 적자와 흑자는 그 원인을 잘 분석해야 올바른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
1. 국제수지의 정의국제수지는 한 국가의 대외거래 내역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로, 한 국가의 대외거래 상황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국제수지는 크게 경상수지, 자본수지, 금융계정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한 국가의 대외거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국제수지는 한 국가의 경제 상황을 진단하고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므로, 국제수지의 정확한 작성과 분석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국제수지의 성격국제수지는 한 국가의 대외거래 내역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로, 그 성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국제수지는 한 국가의 대외거래 내역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둘째, 국제수지는 한 국가의 경제 상황을 진단하고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셋째, 국제수지는 국가 간 경제 관계를 보여주는 지표로, 국가 간 경제 협력과 갈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넷째, 국제수지는 한 국가의 대외 경쟁력과 국제 경제 지위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국제수지는 한 국가의 대외거래 상황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국제수지의 균형과 불균형국제수지의 균형과 불균형은 한 국가의 경제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국제수지가 균형을 이루면 한 국가의 대외거래가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지만, 불균형이 발생하면 경제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상수지 적자는 국내 투자 부족, 국내 수요 과열, 환율 상승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경상수지 흑자는 국내 소비 부진, 환율 하락, 무역 마찰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제수지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거시경제 정책과 구조적 개혁이 필요합니다.
-
4. 경상수지의 적자와 흑자경상수지의 적자와 흑자는 한 국가의 대외거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경상수지 적자는 국내 투자 부족, 국내 수요 과열, 환율 상승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경상수지 흑자는 국내 소비 부진, 환율 하락, 무역 마찰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상수지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거시경제 정책과 구조적 개혁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경상수지 적자 국가의 경우 수출 증대, 수입 억제, 환율 조정 등의 정책이 필요하며, 경상수지 흑자 국가의 경우 내수 진작, 환율 상승, 무역 장벽 완화 등의 정책이 필요할 것입니다.
국제수지의 정의(개념), 성격, 국제수지 균형과 불균형, 경상수지의 적자와 흑자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5.01.03
-
국제수지 15페이지
국제수지목차[국제수지]1. 국제수지의 개념2. 국제수지 균형의 개념과 판단기준3. 국제수지의 조정과정4. 국제수지의 발전단계와 외채* 참고문헌[국제수지]1. 국제수지의 개념(1) 국제수지의 정의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란 일정 기간동안 일국의 거주자와 기타세계국가의 비거주자사이에서 발생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집계한 기록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즉, 한 나라의 국제거래에서 발생하는 화폐지급(Payments)과 화폐수취(receipts)를 대조시킨 것이다.한편 이러한 내용의 정의는 국제수지가 흑...2022.09.08· 15페이지 -
국제수지와 환율 6페이지
국제수지와 환율목차[국제수지와 환율]1. 국제수지의 개념2. 국제순지표의 내용1) 경상계정2) 자본 ? 금융계정3. 국제수치 균형의 개념4. 한국의 국제수지* 참고문헌[국제수지와 환율]국제거래의 현황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가 국제수지다. 국제수지의 정의와 내용, 그리고 국제수지가 다른 경제변수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자. 환율의 변화는 수출입재의 가격을 변화시킬 뿐만이 아니라 여행, 자본거래 등 모든 경제적 거래에 영향을 미친다. 즉, 국제거래에 가장 큰 영창을 미치는 것이 환율이다. 환율의 개념과 환율 결정이론, 즉 자산...2022.01.18· 6페이지 -
국제수지 6페이지
국제수지목차국제수지1. 국제수지의 개념2. 국제수지의 결정요인1) 물가2) 소득3) 통화공급량4) 이자율3. 국제수지표4. 국제수지의 균형* 참고문헌국제수지1. 국제수지의 개념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란 일국내에 거주하는 사람과 외국에 거주하는 사람이 일정기간(통상 1년) 동안에 발생시킨 모든 경제적 거래의 대차관계를 화폐로 집계한 것이다. 일국내에 거주하는 사람과 타국에서 거주하는 사람이란 어떤 사람의 국적과 관계없이 경재활동의 근거지가 그 나라에 있는 사람과 다른 모든 나라에 있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모든 경...2024.07.22· 6페이지 -
위 4개 장은 국제금융론의 핵심 파트에 해당하여, 학생들이 코로나19 및 비대면 강의 상황 6페이지
1장. 외환시장과 환율(1) 외환시장의 개념① 외환의 정의- 외환은 외국통화와 예금이나 증권 등 외국통화로 표시된 지급수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국가 간의 거래에서 이용되는 통화는 미달러화, 유로화, 엔화 등국제적으로 신인도가 높아 국제적 통용력을 갖추어야 한다.② 외환시장의 정의- 외환시장은 외환이 거래되는 시장을 말하며, 외환 수요와 외환 공급이 만나외국통화를 매매하는 시장이다.- 외환시장은 국제 금융시장의 일부에 속하며, 국제금융시장은 자금 융통이이뤄지는 신용시장의 성격을 갖는다.- 외환시장은 환율을 가격변수로 하는 외환이 ...2023.03.17· 6페이지 -
국제금융과 국제수지 21페이지
국제금융과 국제수지I. 외환시장과 환율 1.1. 환율 1.2. 환율결정이론 1.3. 환율제도II. 국제수지 2.1. 국제수지의 개념 2.2. 국제수지의 구성 2.3. 국제수지의 불균형과 조정 2.4. 우리나라의 국제수지 동향1.1. 환 율▶ 환율(exchange rate) - 한 나라의 통화와 외국통화, 즉 이종통화간의 교환비율1. 환율의 개념일반적으로 한 나라의 통화의 가치는 그 통화가 갖는 구매력 (purchasing power)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한 나라 통화의 국내에서 의 구매력을 대내적 가치라 한다면, 외국에서의 구매력은...2013.04.05· 2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