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실습 워드클래스- 간기능검사, 지질검사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워드클래스- 간기능검사, 지질검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31
문서 내 토픽
-
1. 간기능검사간기능검사(Liver function test)는 간에서 생산, 배설되거나 간 손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효소나 단백질 등을 측정하여 간의 손상이나 이상여부를 발견하고 평가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주요 검사 항목으로는 ALT, ALP, AST, 빌리루빈, 알부민, 총 단백질, GGT, LDH, PT 등이 있으며, 황달, 소양증, 복통, 식욕감퇴, 피로함을 호소하거나 간염 바이러스 노출, 알코올중독, 장기적인 약물 복용, 간질환 가족력 등의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 검사를 시행합니다. 검사 결과 해석 시 각 항목의 정상범위와 증가 원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지질검사지질검사(Lipid test)는 혈중 지질 성분들을 측정하여 이상지질혈증의 감별 진단 및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를 계산하는 검사입니다. 지질은 세포막을 구성하고 호르몬과 쓸개즙의 주요 성분이면서 세포 에너지원이지만, 혈중 지질 성분이 높을 경우 죽상경화증과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를 높입니다. 주요 검사 항목으로는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이 있으며, 20세 이상 성인은 1~5년에 한 번씩 측정하고 고지질혈증 치료 시 자주 측정합니다. 검사 전 12시간 금식과 72시간 금주가 필요하며, 알코올 섭취는 HDL 상승과 정확한 지질 성분 측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1. 간기능검사간기능검사는 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 다양한 대사 기능을 수행하며 해독 작용을 합니다. 따라서 간기능검사를 통해 간 질환 여부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기능검사에는 AST, ALT, ALP, 빌리루빈 등 다양한 지표가 포함되며, 이를 통해 간 손상 정도와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간기능검사를 통해 간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간 질환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한 예방책이 될 수 있습니다.
-
2. 지질검사지질검사는 혈중 지질 수치를 확인하여 심혈관 질환 위험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지질검사에는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이 포함됩니다. 이 지표들은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LDL 콜레스테롤이 높으면 동맥경화 위험이 증가하고, HDL 콜레스테롤이 낮으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지질검사를 통해 지질 수치를 관리하고, 필요시 적절한 치료와 생활 습관 개선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심혈관 질환 예방과 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