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산후출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본 내용은
"
여성간호학실습 분만실 A+케이스스터디 조기산후출혈/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1개(문헌고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28
문서 내 토픽
  • 1. 조기산후출혈
    조기산후출혈은 출산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출혈량이 많고 이환율이 높다. 주요 원인은 자궁이완, 비뇨생식기 열상, 수태산물 잔류, 태반부착부 이상, 자궁파열, 자궁내반, 혈액응고장애 등이다. 증상으로는 지나치게 많은 양의 선홍색 피를 흘리거나 질에서 많은 양(500cc 이상)의 출혈이 나타난다. 치료로는 자궁충전술, 동맥색전술, 자궁동맥 결찰술, 자궁 압박 봉합술, 자궁적출술 등의 외과적 중재와 약물요법, 수액요법 및 혈액보충 등이 있다.
  • 2. 유도분만
    유도분만은 자연적인 자궁수축이 있기 전에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하여 분만시키는 것을 말한다. 적응증으로는 태아의 위험, 모체 질환, 자궁수축 미약, 파막 후 24시간 지연, 급속분만 경험, 과숙임신 등이 있다. 금기증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 태아질식, 자궁수술 경험, 다산부, 전치태반, 질 헤르페스 감염 등이 있다. 투여방법으로는 옥시토신을 이용한 점적 주입과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한 약리적 방법, 인공파막 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조기산후출혈
    조기산후출혈은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입니다. 이는 분만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출혈로, 출혈량이 500ml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자궁 위축 부전, 자궁 내 잔류물, 자궁 파열, 자궁경부 또는 질 열상 등이 있습니다.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며, 산모의 활력징후 모니터링, 수액 공급, 자궁 마사지, 자궁 수축제 투여, 자궁 내 압박 등의 처치가 필요합니다. 심각한 경우 외과적 수술도 고려해야 합니다. 산모와 의료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 2. 유도분만
    유도분만은 의학적 필요에 따라 자연 분만 시기를 앞당기는 것으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경우 시행됩니다. 주요 적응증으로는 임신 기간 연장, 태아 곤란증, 임신성 고혈압, 당뇨병 등이 있습니다. 유도분만 방법에는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투여, 양막 파막, 옥시토신 주입 등이 있습니다. 유도분만은 산모와 태아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의사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유도분만 과정에서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필요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유도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의학적 판단 하에 시행되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