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정책의 변천사(중상주의, 자유무역, 보호무역, 신보호무역)
본 내용은
"
무역정책의 변천사(중상주의, 자유무역, 보호무역, 신보호무역)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30
문서 내 토픽
  • 1. 중상주의 무역정책
    중상주의(mercantilism)란 15, 16세기부터 18세기 후반까지 서유럽 제국들이 채택한 경제정책과 경제이론을 말한다. 중상주의 경제정책의 핵심은 보호주의 제도로서 초기 산업자본을 위해 국내시장을 확보하고, 국외시장을 개척할 목적으로 완제품의 수입금지 제한, 외국산 원료의 수입장려, 국내상품의 수출장려, 국내원료의 수출금지 등의 조치를 직접 입법 및 관세정책으로 실행하였다.
  • 2. 자유무역정책
    중상주의의 국가중심적 보호주의에 의한 비판으로 전개된 것이 자유무역정책이다. 최초의 자유무역사상은 프랑스의 케네(F. Quesnay)의 중농주의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후 1776년 영국의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무역이론으로서 이론적 기초를 다지고 비로소 영국에서 자유방임주의, 자유무역정책으로 꽃을 피우게 되었다. 영국을 중심으로 한 자유무역은 유럽에서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19세기 말 이후 유럽 각국에 팽배한 국가주의에 의한 보호무역으로 말미암아 그 빛을 잃기 시작하였다.
  • 3. 보호무역정책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는 보호무역으로 회귀하는 양상을 보였다. 선진국인 영국은 선진공업기술을 이용하여 자유무역을 통하여 무역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공업기술이 낙후된 미국이나 독일의 입장에서는 자유무역을 통해 경쟁하게 되면 굉장히 불리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후진국들의 국내산업을 선진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무역론이 대두하였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미국의 해밀턴과 독일의 리스트가 있다.
  • 4.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자유무역정책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은 세계경제를 주도하게 되면서 붕괴된 국제경제질서를 바로잡고 부흥시키기 위해 영국을 비롯한 선진국들과 협력을 도모하였다. 그리하여 1945년 세계 무역의 안정된 확대를 위한 국제통화기금(IMF)을 설치하였고, 1947년 관세장벽과 수출입 제한을 제거하고 국제무역의 확대를 도모하고자 GATT(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도 창설되었다.
  • 5. 신보호무역정책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가 누적되면서 세계경제를 주도한 미국의 입지가 크게 흔들리게 되었다. 또한 미국의 경제력과 시장개방능력을 기반으로 설립된 IMF와 GATT체제가 동요되었다. 이에 미국을 비롯한 많은 선진국들은 국내시장을 보호하고 국제수지 개선을 위해 비관세정책을 통한 보호무역주의를 채택하였다. 이러한 신보호무역정책은 오늘날 자유무역정책과 더불어 상존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중상주의 무역정책
    중상주의 무역정책은 국가 간 경쟁을 강조하며,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수출을 장려하고 수입을 억제하는 정책입니다. 이 정책은 국가 간 갈등을 야기할 수 있지만, 초기 산업화 단계에 있는 국가에게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보호무역주의로 이어져 세계 경제 전체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상주의 무역정책은 신중하게 적용되어야 하며, 점진적으로 자유무역정책으로 전환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 2. 자유무역정책
    자유무역정책은 국가 간 무역 장벽을 최소화하고 자유로운 상품 및 서비스 교역을 추구하는 정책입니다. 이 정책은 국가 간 상호 이익을 증진시키고 세계 경제 전체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산업의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한 보호무역정책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자유무역정책은 국가 간 경제적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자유무역정책은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지만, 국내 산업 보호와 경제적 격차 해소를 위한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 3. 보호무역정책
    보호무역정책은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 제한, 관세 부과 등의 정책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이 정책은 단기적으로 국내 산업을 보호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국제 경쟁력 약화, 소비자 부담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복 관세 등 국가 간 무역 분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호무역정책은 신중하게 적용되어야 하며, 점진적으로 자유무역정책으로 전환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다만 국내 산업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한 보호무역정책이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4.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자유무역정책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사회는 자유무역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습니다. 이는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복구하고 세계 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자유무역정책은 국가 간 상호 이익을 증진시키고 세계 경제 전체의 발전을 이끌어 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국내 산업의 피해와 경제적 격차 심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따라서 자유무역정책은 국내 산업 보호와 경제적 격차 해소를 위한 보완책과 함께 추진되어야 할 것입니다.
  • 5. 신보호무역정책
    신보호무역정책은 자유무역정책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정책입니다. 이 정책은 국내 산업 보호와 경제적 격차 해소를 위해 선별적인 보호무역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핵심 산업에 대한 보조금 지원,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 등이 있습니다. 신보호무역정책은 자유무역정책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국내 산업과 경제적 약자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정책은 국가 간 무역 분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국제 사회와의 협력과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