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연물약품학/약학연구입문 보고서 - 스티렌 (Stillen)의 성분, 기능, 작용기전을 중심으로
본 내용은
"
천연물약품학/약학연구입문 보고서 - 스티렌 (Stillen)의 성분, 기능, 작용기전을 중심으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27
문서 내 토픽
-
1. 스티렌의 성분과 용도스티렌은 동아제약에서 개발한 급, 만성 위염 치료제로, Artmisia asiatica으로부터 유효물질 eupatilin을 추출해 만들어진 위점막 보호제이다. Eupatilin은 시성식 C18H16O7의 유기 화합물로, 대식세포나 위점막 세포에 대해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또한 Eupatilin을 투여한 쥐에서 관절염의 정도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파골세포의 분화가 감소하는 등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염증 억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2. 스티렌의 추출 방법대한약전외 한약규격집에 따르면 쑥의 잎 및 어린줄기를 일컬어 애엽(艾葉, Artemisiae argyi Herb)이라 지칭한다. 여러 종의 쑥 중 스티렌은 Artmisia asiatica의 애엽으로부터 추출되며, 이 품종은 유효성분인 eupatilin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스티렌은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을 통해 얻은 쑥 추출물 안에 다른 물질과 함께 포함되어 있는 eupatilin을 이용해 만들어진다. 그러나 쑥 추출물에는 eupatilin뿐만 아니라 jaseocidin, 이소쿠마린, 그리고 이 외의 규명되지 않은 다양한 성분이 섞여 있다. 이러한 쑥 추출물 속 미지의 물질 때문에 추출물은 eupatilin보다 항위염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으나, 알코올 추출로는 Dicoumarol 성분이 함께 추출된다. 따라서 알코올 추출 방식에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고 80℃에서 1시간 이상 반응시키는 단계와, 산성 용액을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단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Dicoumarol 성분을 제거해 추출물을 얻어내게 된다.
-
3. 스티렌의 작용 기전과 라니티딘과의 비교스티렌의 주요 기전은 prostaglandin 생성을 촉진하는 것이다. Prostaglandin은 점액 분비 및 혈류량을 증가시켜 염증으로부터 위점막을 보호하고 손상된 세포를 회복시키는 물질이다. 또한 스티렌은 glutathione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위 자체의 방어기능과 회복기능을 강화하며, 혈관생성인자인 VEGF 생성을 증가시켜 손상된 위 점막조직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염증 유발 인자인 NFkB를 차단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진다. 반면 라니티딘은 위벽에서 위산의 분비를 자극하는 히스타민의 수용체에 대한 작용을 억제하는 위장약이다. 따라서 같은 위장 질환이라도 위산에 의한 경우에는 라니티딘 등 티딘 계열 약물을 사용하고, 위산 외의 요인에 의한 염증이나 감염 등에는 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1. 주제2: 스티렌의 추출 방법스티렌은 주로 에틸벤젠의 탈수소화 반응을 통해 생산됩니다. 에틸벤젠을 고온, 고압 하에서 촉매와 함께 반응시켜 스티렌을 얻는 방식입니다. 이 외에도 벤젠과 에틸렌의 Friedel-Crafts 알킬화 반응, 톨루엔의 탈수소화 반응 등을 통해 스티렌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활용한 친환경적인 스티렌 생산 기술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스티렌을 추출할 수 있으며,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어 용도와 환경에 따라 적절한 추출 기술을 선택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