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기분석실험 10주차 TGA, DSC 결과레포트
본 내용은
"
기기분석실험 10주차 TGA, DSC 결과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27
문서 내 토픽
-
1.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는 온도 변화에 따른 시료의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재료의 열적 안정성, 분해 온도, 수분 함량 등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TGA의 주요 응용 분야는 열 분해 분석, 수분 및 휘발성 물질 함량 측정, 산화 안정성 평가 등이다. TGA의 작동 원리는 시료가 일정한 속도로 가열되는 동안 시료의 무게 변화를 고감도 저울을 이용해 측정하여 질량 손실 그래프(TGA 곡선)를 얻는 것이다.
-
2.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는 시료와 기준 물질 사이의 열 흐름 차이를 측정하여 재료의 상변화(Phase Transition)와 열적 성질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DSC의 주요 응용 분야는 유리 전이 온도(Tg) 측정, 융점(Tm) 측정, 결정화 온도(Tc) 분석, 열용량(Cp) 측정 등이다. DSC의 작동 원리는 시료와 기준 물질을 동일한 온도로 가열하거나 냉각하며, 두 물질 간의 열 흐름 차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
3. CaCO3와 MgCO3의 열적 특성 비교CaCO3와 MgCO3 시료를 TGA와 DSC 분석을 통해 열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TGA 분석 결과, CaCO3의 분해 시작 온도가 790도로 MgCO3의 530도보다 높아 열적 안정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aCO3의 잔여물 비율이 56%로 MgCO3의 48%보다 높아 불활성 성분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DSC 분석 결과, CaCO3의 흡열 반응 피크 면적이 더 크고 융점이 760도로 MgCO3의 610도보다 높아 열적 안정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1.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는 물질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분석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물질의 질량 변화를 온도 변화에 따라 측정하여 물질의 열적 안정성, 분해 온도, 수분 함량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TGA는 고분자, 세라믹, 금속 등 다양한 물질의 열적 거동을 이해하는 데 활용되며, 특히 열분해 과정을 연구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TGA 데이터는 물질의 화학적 구조와 결합 상태를 추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TGA는 재료 과학, 화학, 생명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분석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는 물질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또 다른 중요한 기법입니다. DSC는 물질의 열 흡수 또는 방출 과정을 측정하여 상변화, 화학 반응, 열 안정성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물질의 녹는점, 유리 전이 온도, 결정화 온도 등 다양한 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DSC는 고분자, 세라믹, 금속, 생물 재료 등 다양한 물질의 열적 거동을 연구하는 데 활용되며, 특히 상변화와 관련된 열적 특성 분석에 유용합니다. 또한 DSC 데이터는 물질의 구조와 상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DSC는 재료 과학, 화학, 생명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분석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CaCO3와 MgCO3의 열적 특성 비교CaCO3(탄산칼슘)와 MgCO3(탄산마그네슘)은 모두 중요한 무기 화합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이 두 물질의 열적 특성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CaCO3는 약 800°C 부근에서 열분해되어 CaO(산화칼슘)와 CO2(이산화탄소)로 분해됩니다. 반면 MgCO3는 약 550°C 부근에서 열분해되어 MgO(산화마그네슘)와 CO2로 분해됩니다. 즉, MgCO3가 CaCO3보다 열적으로 더 불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CaCO3와 MgCO3의 열용량과 열전도도 등의 열적 특성도 다릅니다. 이러한 차이는 두 물질의 결정 구조와 화학적 결합 특성에 기인합니다. 이와 같은 열적 특성 차이는 CaCO3와 MgCO3의 용도와 적용 분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열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CaCO3가 더 적합할 수 있으며, 낮은 온도에서 열분해가 필요한 경우에는 MgCO3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도와 목적에 따라 CaCO3와 MgCO3의 열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물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
TGA 보고서 15페이지
실험 Report 학과 학번 이름 1. 실습장비명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 물질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물리적 혹은 화학적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을 열무게 분석하는 장비로 열을 이용하여 중량을 분석하는 장비이다.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시차주사열량분석으로 특정 온도 범위에서 시료를 가열 또는 냉각할 경우 방출되거나 흡수되는 열량 측정에 사용되는 분석 기술이다. DSC(시차 주사 열량계)는 재료의 열특성을 특징짓는 데 사용될...2024.11.15· 15페이지 -
A+ 레포트 PS 벌크중합 결과 레포트(23페이지) 23페이지
PS(Polystyrene) 합성예비 및 결과 레포트[목차]1. 서론1.1 PS 역사1.2 Tacticity1.3 특성1.4 용도2. 실험방법2.1 Styrene 정제2.1.1 실험목적2.1.2 실험도구 및 시약2.1.3 실험방법2.2 AIBN 재결정2.2.1 실험목적2.2.2 실험도구 및 시약2.2.3 실험방법3. PS(Polystyrene 중합3.1 실험목적3.2 실험도구 및 시약3.3 실험방법4. 분석방법4.1 NMR4.2 IR4.3 DSC4.4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4.5 GPC5. 분석결과...2024.07.07· 23페이지 -
중공실 PMMA 벌크중합 6페이지
Report(Bulk Polymerization of Poly(methyl methacrylate))1. 실험 목적- 라디칼 중합 메커니즘의 이해 및 괴상중합에 대한 중합법 습득-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중합과정 이해 및 소재특성 이해- IR, DSC, TGA 그래프 그리기 및 해석2. 실험 원리(새로 알게 된 것)▶라디칼 중합(Radical Polymerization)반응성이 높은 라디칼이 단량체와 반응하여 전이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고분자를 형성하는 방법.?Poly(methyl methacryl...2024.04.08· 6페이지 -
[중합공학실험 2] Synthesis of Polyamide_결과레포트 6페이지
Synthesis of Polyamide결과 레포트[ 목차 ]1) 실험 결과1-1) IR1-2) DSC1-3) TGA2) 고찰2-1)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용융중축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2-2) 계면 중합 방법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른 중합도의차이와 제조되는 수지의 형태에 대하여 알아본다.3) 참고문헌1) 실험 결과본 실험은 계면중합을 통해 열가소성 고분자인 Nylon 6,10을 중합시켰으며, 이를 교반과 비교반의 2가지 계면중합으로 진행하였다. 비교반 중합은 필름상의 고분자를 얻을 수 있고, 교반 중합은 고분자가 침전이 ...2021.01.19· 6페이지 -
중합공학실험, PS 중합(Polymerization of PS)(결과), 논문 참고자료 포함 5페이지
REPORT제목 : Polymerization of PSⅠ. 실험결과, 분석? Styrene 10g, 톨루엔 50ml를 2구 플라스크에 넣고 단량체와 용매가 잘 섞이도록 교반해준다. 그 후, 개시제인 AIBN 1g을 잘 섞인 Styrene과 톨루엔이 있는 2구 플라스크에 넣어주어 용액의 점성이 묽은 조청처럼 될 때까지 교반하고 중합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어느정도 점성이 생긴 것 같으면 0.5ml 정도의 용액을 추출하여 메탄올에 넣어 PS가 침전 되는지 확인하고, 충분히 침전 되는 것을 확인하면 교반을 멈추고 1000ml의 메탄올에...2022.12.06·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