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공학응용실험]12주차_8차실험_실험 20 차동 증폭기 기초 실험_결과레포트_A+
본 내용은
"
[전자공학응용실험]12주차_8차실험_실험 20 차동 증폭기 기초 실험_결과레포트_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26
문서 내 토픽
-
1. 차동 증폭기 기초 실험이번 실험은 차동 증폭기 기초 실험으로써 전에 배운 전류 거울을 사용하여 전류를 MOSFET의 W/L의 비율로 흐르게 하고, 2개의 common source를 대칭으로 사용하여 공통 모드 입력을 인가해준다. 이로써 바이어스를 I/2로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오실로스코프 프로브가 불안정하여 선을 잡고 진행하여야 출력이 잘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클리핑이 일어나는 지점을 찾을 때, 출력에 클리핑이 잘 일어나는 지점을 찾기 위해 입력 전압을 400mVpp까지 올리게 되어 원래 클리핑이 일어나는 지점보다 더 큰 입력 전압값이 나오게 되었다.
-
2. 정전류원의 입력 저항정전류원의 입력 저항이 생기게 되면 IREF와 ISS가 MOSFET의 W/L의 비율에 따라 전류의 비율도 결정되야 하지만 저항이 생김으로써 전류가 이상적인 상황과 다르게 비율이 달라지게 되어 저항도 고려해줘야 한다.
-
3. 채널길이 변조 효과채널길이 변조 효과는 ID 식이 saturation 영역에서 VGS의 값만이 아닌 VDS의 영향도 고려하여 전류식이 결정되기 때문에 원래의 이상적인 ID보다 실험에 가까운 값을 계산할 수 있다.
-
4. 게이트 오버드라이브 전압 VOV이상적인 상황이라면 VOV와 ID는 비례하게 되어 두 전류의 합이 일정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MOSFET의 Vth가 소자마다 조금씩 다른 값을 가지게 되어 전류의 비율이 달라지게 되어 두 전류의 합이 일정하지 않게 나올 수 있다.
-
1. 차동 증폭기 기초 실험차동 증폭기는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회로 구조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차동 증폭기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와 특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차동 증폭기는 공통 모드 신호를 제거하고 차동 모드 신호를 증폭하는 능력이 있어 잡음 제거와 신호 증폭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 실험에서는 차동 증폭기의 입력 오프셋 전압, 공통 모드 제거비, 차동 이득 등의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차동 증폭기의 동작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정전류원의 입력 저항정전류원은 전자 회로에서 매우 중요한 회로 구성 요소입니다. 정전류원의 입력 저항은 정전류원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정전류원의 입력 저항을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정전류원의 입력 저항이 높을수록 정전류원의 특성이 이상적에 가까워지므로, 이 실험을 통해 정전류원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전류원의 입력 저항 특성을 이해하면 정전류원을 활용한 다양한 회로 설계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3. 채널길이 변조 효과채널길이 변조 효과는 MOSFET 트랜지스터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이 효과는 드레인-소스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채널 길이가 감소하여 드레인 전류가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채널길이 변조 효과를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채널길이 변조 효과는 MOSFET 트랜지스터의 출력 특성과 증폭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이해하는 것은 MOSFET 트랜지스터 기반 회로 설계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 실험을 통해 채널길이 변조 효과의 원리와 특성을 깊이 있게 학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4. 게이트 오버드라이브 전압 VOV게이트 오버드라이브 전압 VOV는 MOSFET 트랜지스터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VOV는 트랜지스터의 동작 영역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이해하는 것은 MOSFET 트랜지스터 기반 회로 설계에 필수적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VOV의 개념과 특성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특히 VOV가 트랜지스터의 전류 구동 능력, 스위칭 속도, 전력 소모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MOSFET 트랜지스터의 동작 원리와 특성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