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체외순환(ECMO) 컨퍼런스 자료
본 내용은
"
A+ 체외순환(ECMO) 컨퍼런스 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21
문서 내 토픽
  • 1. 체외순환(Extracorporeal circulation: ECC)
    체외순환은 혈관내에 삽입한 튜브를 통하여 혈액을 일단 체외로 내보내서, 펌프에 의하여 연속하여 재 차 체내에 되돌라는 순환을 말한다. 여러 목적을 위해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CPB(Cardiopulmonary bypass)와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가 있다.
  • 2. 심폐기(Cardiopulmonary bypass, CPB)
    심폐기란 심장수술 시 심장과 폐를 대신하여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을 받아들여 산소화한 후 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혈액을 순환하는 방법이다. 심폐기는 관상동맥우회술, 동맥류 수술, 심장 판막 수술, 심장 이식, 폐 이식 등에 사용된다. 심폐기는 동맥 캐뉼러, 정맥 캐뉼러, 저혈조, 산화기, 열 교환기, 펌프, 필터, 심장내 흡인장치, 셀 세이버, 심장마비액 전달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 3. 체외막산소공급장치(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ECMO는 정맥을 통해 환자의 몸에서 혈액을 빼낸 후 체외산화장치를 통해 혈액의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제거하고 산소를 주입한 다음 다시 정맥이나 동맥을 통해 환자 몸속으로 돌려보내는 장치로, 심장이나 폐의 기능이 저하되어 기존의 방법으로는 생명 유지가 어려울 경우 일시적으로 심장 및 폐의 기능을 도와주는 장치이다. ECMO는 정정맥 보조(VV ECMO)와 정동맥 보조(VA ECMO)로 구분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체외순환(Extracorporeal circulation: ECC)
    체외순환(ECC)은 심장과 폐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대체하는 중요한 의료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심장 수술, 폐 이식, 심폐소생술 등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ECC는 환자의 혈액을 체외로 유출시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의사들은 심장과 폐의 기능을 안전하게 대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ECC 사용 시 혈액 응고, 출혈, 신장 손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ECC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심폐기(Cardiopulmonary bypass, CPB)
    심폐기(CPB)는 체외순환(ECC) 기술의 핵심 구성요소로,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체하는 장치입니다. CPB는 심장 수술 시 환자의 혈액을 체외로 유출시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의사들은 심장을 정지시키고 수술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CPB 사용 시 혈액 응고, 출혈, 신장 손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CPB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CPB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3. 체외막산소공급장치(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체외막산소공급장치(ECMO)는 심폐기(CPB)와 유사한 기술로,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체하는 장치입니다. ECMO는 중증 호흡부전 또는 심부전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ECMO는 환자의 혈액을 체외로 유출시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심장과 폐 기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ECMO 사용 시에도 혈액 응고, 출혈, 감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ECMO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ECMO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