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utum culture
본 내용은
"
Sputum cultur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17
문서 내 토픽
-
1. Sputum cultureSputum culture는 환자의 가래에 포함된 균의 정체를 파악하여 환자 치료 계획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입니다. 주로 폐렴 환자나 결핵 환자의 진단을 위해 가래 검사를 진행합니다. 가래를 직접 뱉을 수 있는 경우와 뱉지 못하는 경우에 따라 검사 및 준비 방법이 다릅니다. 가래를 뱉을 수 있는 경우에는 환자가 직접 가래를 뱉으면 되고, 뱉지 못하는 경우에는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suction 방법으로 가래를 채취합니다.
-
1. Sputum cultureSputum culture is an important diagnostic tool in the medical field, as it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and type of infectious agents in a patient's respiratory system. This test involves collecting a sample of mucus or phlegm (sputum) from the patient and culturing it in a laboratory to identify any bacteria, fungi, or other microorganisms present. The sputum culture process typically involves several steps. First, the sputum sample is collected, often by having the patient cough up the mucus and spit it into a sterile container. The sample is then transported to a laboratory, where it is processed and cultured on various growth media. Over the course of several days, the microorganisms present in the sample will grow and can be identified through various biochemical and molecular tests. The results of a sputum culture can be crucial in guid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spiratory infections, such as pneumonia, bronchitis, or tuberculosis. By identifying the specific pathogens involved, healthcare providers can prescribe the most appropriate antibiotics or antifungal medications, reducing the risk of antibiotic resistance and improving patient outcomes. Additionally, sputum culture can be used to monitor the progress of treatment,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ertain microorganisms can indicate whether the infection is responding to the prescribed therapy. Overall, sputum culture is a valuable diagnostic tool tha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manage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ts accurate and timely results can help healthcare providers make informed decisions and provide the most effective care for their patients.
-
Sputum culture1. Sputum culture Sputum culture는 환자의 가래에 포함된 균의 정체를 파악하여 환자 치료 계획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입니다. 고열,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계 감염성 질환이 있는 경우 주로 폐렴 환자나 결핵 환자의 진단을 위해 가래 검사를 진행합니다. 가래를 직접 뱉을 수 있는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의 경우 ...2025.01.16 · 의학/약학
-
세균배양검사 [blood culture, urine, sputum, stool culture]1. Blood culture 혈액배양검사는 패혈증 또는 균혈증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원인균과 항균제 감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 혈액 내 감염을 의미하는 균혈증과 전신에 심각한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패혈증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검사 시 주의사항으로는 항생제 투여 전 시행, 2-3쌍의 검체 채취, 피부 소독 등이 있다. 2. Sputum cultur...2025.01.22 · 의학/약학
-
간호) SBAR 12개1. Bleeding (출혈) 86세 남성 환자가 aspiration pneumonia 진단을 받고 dyspnea로 입원했습니다. L-tube irrigation 시 cbt 섞여 bloody한 배액양상이 관찰되었습니다. 현재 ECMO V-V mode 적용 중이며 Hb, RBC, PLT 수치가 감소한 상태입니다. 위 내시경 예약 및 추가 처방이 필요할 것으로...2025.05.04 · 의학/약학
-
Sputum culture 2페이지
Sputum culture1. 목적환자의 가래에 포함된 균의 정체를 파악해서 환자 치료 계획에 도움을 주기 위해하는 검사이다.고열,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과 같은 호흡기계 감염성 질환이 있는 경우 sputum culture 검사를 진행하곤 하는데 주로 폐렴 환자 또는 결핵 환자의 진단을 위해 가래 검사를 진행한다.2. 준비 및 방법가래를 환자분이 직접 뱉을 수 있는 경우와 뱉지 못하는 경우의 2가지에 따라 검사 및 준비 방법이 달라진다. 증상이 심해서 기력이 없으시거나 의식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환자들은 가래를 뱉을 ...2024.06.08· 2페이지 -
세균배양검사 [blood culture, urine, sputum, stool culture] 24페이지
Culture 배양검사 Blood, Urine, Sputum, Stool Culture 근 무 부 서 제 작 자 제 작 일 시 - Index - Blood culture Sputum culture Urine culture Stool culture Culture 검사결과 Culture [ 배양검사 ] Blood culture Sputum culture Urine culture Stool culture 감염 여부 및 감염원의 종류를 밝혀내기 위해 감염이 발생한 신체 부위로부터 채취한 조직이나 체액에서 미생물을 성장시키는 검사 방법으로 ...2024.09.10· 24페이지 -
ICU 간호사의 실제 임상, Fever study의 모든 것(blood, sputum, suctiontip, urine culture, MRSA, MRAB, VRE, CRE, CPE 등) 34페이지
2022.10.14· 34페이지 -
culture 정리(blood culture, urine culture, sputem culture) 검체수집 정리 5페이지
- Sputum culture -: 세균성 폐렴 또는 하기도 감염을 가진 사람에게 병원성 세균의 존재를 검출한다. 검체 내 세균이 동정되고 감수성 검사는 항균제 치료를 결정하기 위해 시행된다.객담은 침이나 타액 등의 상기도에서 유래한 것과 달리 하기도 감염에 유의하며 하기도 감염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 객담 검체는 적절한 영양배지에 접종 후 배양한다. 객담이 무균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정상 세균총과 병원균이 모두 있으며 이후에 분리 후 동정한다. 슬라이스에 도말해 그람염색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통상적인 세균 객담 배양...2021.03.01· 5페이지 -
검체채취시 주의사항 4페이지
검체 채취시 주의사항 1. 환자확인 ‘ 성함이 어떻게 되십니까 ?’ 라고 개방형으로 환자의 이름을 묻고 , 검체용기에 부착된 바코드의 등록번호와 환자인식밴드가 일치하는 지 확인한다 . 2. 환자 준비 확인 1) 심한 운동 후에는 AST, ALT, LD, CK 등이 증가 . 2) Albumin, ALT ,Amylase, ALP, Aldosterone 등은 누웠을 때보다는 기립 자세에서 높게 측정 . 3) Lipid profile 검사는 12 시간 이상의 금식 필요 . 4) Glucose : 9 시간 공복 적절 . 5) 검사에 영향을 ...2024.03.22·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