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pli Reflex(동공반사) 사정하기
본 내용은
"
Pupli Reflex(동공반사) 사정하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17
문서 내 토픽
-
1. 동공반사눈에 들어가는 광선에 의하여 망막이 자극을 받게 되면 반사적으로 동공이 축소되며, 광선이 차단되면 반사적으로 산대되는데, 이 반사를 동공 반사라 한다. 한 눈의 자극으로 두 눈이 모두 반응을 일으킨다. 동공 반응은 제 3, 4, 6뇌신경의 지배를 받으므로 동공반응 검사를 함으로써 뇌손상과 뇌상태의 변화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
2. 동공 크기 및 모양 평가펜라이트로 빛을 비추기 전 동공크기를 확인하고, 동공의 크기와 모양, 좌우 대칭성, 빛 반사 정도를 평가한다. 정상 동공 크기는 2-4mm 정도이며, 밝은 곳에서는 4mm, 어두운 곳에서는 8mm 정도이다.
-
3. 동공 크기 변화동공 크기 변화에 따른 의미: Pinpoint(1mm) - 마약 투여 후, 진정 상태, Small(2mm) - 축동제 점안, 대사성 혼수, Mid-position(5-6mm) - 중뇌 손상 시 대광반사 소실, Large(7-8mm) - 약물 남용, 산동제 점안, 안구 손상, Dilated(full) - 임종, 뇌허혈 말기
-
4. 동공 반응 속도 평가동공 반응 속도를 즉각적인 반응(P), 느린 반응(S), 고정된 반응(F)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즉각적인 반응은 정상 상태, 느린 반응은 신경이 눌렸거나 뇌부종, 뇌탈출의 경우, 고정된 반응은 항콜린제 중독, 뇌탈출, 무산소증 등의 경우에 나타난다.
-
5. 동공 모양 변화동공 모양 변화에 따른 의미: Round(원형) - 정상, Ovoid(타원형/고양이 눈 모양) - 뇌압 상승, 초기 뇌탈출, Key Hole(열쇠 구멍) - 백내장, 녹내장 수술, Irregular(들쑥날쑥) - 외상성 안구 손상, 안와 손상
-
1. 동공반사동공반사는 빛에 대한 동공의 수축과 확장 반응을 말합니다. 이는 시각 기능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동공반사는 자율신경계의 활성화에 의해 조절되며, 이를 통해 빛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여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최적화합니다. 동공반사의 평가는 신경학적 및 안과적 질환을 진단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공반사의 이상은 뇌손상, 약물 중독, 안구 질환 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공반사의 정상적인 기능은 시각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2. 동공 크기 및 모양 평가동공 크기와 모양은 다양한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상태를 반영합니다. 동공 크기는 빛 자극, 약물 투여, 감정 상태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동공 모양의 변화는 안구 질환, 신경학적 질환, 약물 중독 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규칙한 동공 모양은 외상, 염증, 종양 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공 크기와 모양의 평가는 안과 및 신경과 진단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 방향 설정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3. 동공 크기 변화동공 크기의 변화는 다양한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상태를 반영합니다. 동공은 빛 자극, 약물 투여, 감정 상태 등에 따라 수축과 확장을 반복합니다. 이러한 동공 크기의 변화는 자율신경계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동공 확장은 교감신경 활성화, 동공 수축은 부교감신경 활성화를 반영합니다. 동공 크기의 비정상적인 변화는 신경학적 질환, 안과 질환, 약물 중독 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공 크기 변화의 평가는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4. 동공 반응 속도 평가동공 반응 속도는 빛 자극에 대한 동공의 수축과 확장 반응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반영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동공 반응 속도의 지연은 신경학적 질환, 안과 질환, 약물 중독 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뇌손상, 당뇨병, 알코올 중독 등에서 동공 반응 속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공 반응 속도의 평가는 질병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 방향 설정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5. 동공 모양 변화동공 모양의 변화는 다양한 안과적, 신경학적 질환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동공은 원형에 가까운 모양을 가지지만, 질병이나 외상에 의해 불규칙한 모양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공 모양의 비대칭은 뇌손상, 안구 질환, 약물 중독 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한 동공 모양의 변화는 안구 내 종양, 염증, 외상 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공 모양의 평가는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 방향 설정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뇌출혈, 뇌내 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간호과정 및 간호진단 2개 16페이지
개인 보고서2ICH(Intracerebral Hemorrhage)?교과목교수님실습기간학번/이름목차Ⅰ.문헌고찰-뇌내 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Ⅱ.간호사정Ⅲ.간호과정-#1.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2.감염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Ⅳ.참고문헌Ⅰ.문헌고찰뇌내 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정의뇌내출혈은 피질하 백질부위의 작은 동맥과 정맥의 출혈로 인해 혈액이 뇌실질조직에 축적된 것이다. 80~90%가 측두엽과 전두엽에 발생한다. 대부분 두개내압 상승소견을 ...2022.03.04· 16페이지 -
뇌출혈, 경막외 출혈(Subdural hemorrhage, SDH)-간호과정 및 간호진단2개 3페이지
개인 보고서 1SDH(subdural hemorrhage)교과목교수님실습기간학번/이름목차Ⅰ.문헌고찰-경막하 출혈·혈종(subdural hemorrhage, SDH)Ⅱ.간호사정Ⅲ.간호과정-#1.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2.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Ⅳ.참고문헌Ⅰ.문헌고찰경막하 출혈·혈종(subdural hemorrhage)정의경막하혈종은 경막과 지주막 사이의 공간에 정맥열상으로 인한 출혈이 생긴 혈종이다. 경막하혈종은 외상성뇌손상의 30%를 차지하며, 시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분류한다.원...2022.03.04·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