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류 발전기 및 전동기의 고조파 저감방법
문서 내 토픽
-
1. 고조파의 정의고조파(Harmonic wave)란, 기본 주파수에 대해서 정수배가 되는 주파수의 정현파이며, 기본파의 n배 주파수를 갖는 성분을 n차 고조파 라고 부른다. 고조파는 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회전형 기기인 교류발전기, 전동기에서도 발생하며 기기에 굉장히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
2. 고조파 발생 원인유도전동기의 VVVF 시스템, 비선형 부하, 돌극형 동기발전기의 공극 크기와 철심 포화 등이 고조파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
3. 고조파가 회전기기에 미치는 영향고조파로 인해 유도전동기에서 크로우링 현상이 발생하고, 교류기기의 효율이 저하되며 온도 상승, 소음, 진동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
4. 고조파 저감 방법 - PWM 인버터PWM(펄스 폭 변조) 인버터 방식을 사용하여 펄스 폭을 줄이고 펄스 수를 늘려 고조파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
5. 고조파 저감 방법 - 수동필터와 능동필터수동필터와 능동필터를 설치하여 고조파를 흡수하거나 상쇄시킬 수 있다.
-
6. 고조파 저감 방법 - 리액터 설치교류 리액터와 직류 리액터를 설치하여 고조파 전류의 변화를 완만하게 하고 저감시킬 수 있다.
-
1. 고조파의 정의고조파는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 주파수 성분을 의미합니다. 전력 시스템에서 고조파는 전압과 전류의 왜곡을 발생시키며, 이는 전력 품질 저하와 전기 기기의 고장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조파에 대한 이해와 저감 대책 마련이 중요합니다.
-
2. 고조파 발생 원인고조파는 주로 비선형 부하에 의해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비선형 부하로는 전력 전자 장치, 전동기 구동 시스템, 전기 용접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하들은 전압과 전류 파형을 왜곡시켜 고조파를 발생시킵니다. 또한 전력 계통의 임피던스 특성도 고조파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조파 저감을 위해서는 비선형 부하의 특성과 전력 계통의 임피던스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3. 고조파가 회전기기에 미치는 영향고조파는 회전기기에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우선 고조파로 인한 전압 및 전류 왜곡은 회전기기의 효율 저하와 발열 증가를 야기합니다. 또한 고조파 토크로 인해 기계적 진동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베어링 및 기타 기계 부품의 조기 마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더불어 고조파 전류로 인한 철손 증가와 와전류 증가로 인해 회전기기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전기기 운전 시 고조파 저감 대책 마련이 필수적입니다.
-
4. 수동필터와 능동필터를 통한 고조파 저감수동필터와 능동필터는 고조파 저감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수동필터는 LC 회로를 이용하여 특정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능동필터는 전력 전자 회로를 이용하여 고조파 성분을 능동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으로, 보다 광범위한 고조파 저감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고조파 저감 요구 사항과 시스템 특성을 고려하여 수동필터와 능동필터를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선대학교 전기기기2 보고서 - 교류 발전기 및 전동기의 고조파 저감방법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30
-
공정 제어 보고서 Y결선,델타결선,유도전동기 4페이지
목 차1. Y결선의 특징1) Y결선이란?2) Y결선의 장점3) Y결선의 단점4) Y-Y결선 / Y-△결선2. △결선의 특징1) △결선이란?2) V결선이란?3) △-△결선 / V-V결선4) Y-△결선 시{1} over {3}이 되는 이유3. 유도 전동기 사용 이유1) 유도전동기란?2) 유도전동기의 원리3) 유도전동기의 장단점1. Y결선의 특징- Y결선이란 변압기가 3대일 때 3상 전원을 도출하고자할 때 쓴 결선 방법이며, 이때 3상이 나오며 중성 선에서 N상이라고 해서 한 선이 도출되어 모두 3상 4선이 된다. 우리나라 기준으로 전압...2023.06.08· 4페이지 -
비상용 예비발전설비 11페이지
비상용 예비발전설비1. 비상용 예비발전설비의 조건1) 상용전원의 고장 또는 화재 등으로 정전되었을 때 수용장소에 전력을 공급하도록시설 하여야 한다.2) 화재조건에서 운전이 요구되는 비상용 전원설비는 다음의 2가지 조건이추가적으로 충족되어야 한다.가) 비상용 전원은 충분한 시간 동안 전력 공급이 지속되도록 선정할 것나) 모든 비상용 전원의 기기는 충분한 시간의 내화 보호 성능을 갖도록 선정하여설치할 것3) 비상용 예비발전설비에 연결된 필수 기기는 지정된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 절환시간과 호환되어야 한다.2. 시설기준1) 일반사항가) 비...2022.04.21· 11페이지 -
전기설비설계 리포트 7페이지
1. 예비 발전기 및 축전지용량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 예비 발전기의 용량 선정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1) 단상부하· 교류 3상 발전기에 단상 부하를 접속하면 발전기로서는 그 부하의 수배의 부하를 접속한 것과 같은 결과가 되어 발전기에 접속할 수 있는 3상 부하가 감소· 단상 5.8A(5.8*3=10.16 )연결하면 3상 90A 연결가능· 또한 각 상 별로 불평형이 일어남으로 불평형률을 10% 이하 필요2) 감전압 시동· 전동기는 기동할 때 기동전류를 제한하는 기동방식을 채택하므로 발전기의 용량을 적게 할 수 있음→ 시동...2017.11.02· 7페이지 -
전력전자응용 8차 report 9페이지
전기공학과20073125 김동규전력전자응용 8차 report저차고조파/전자파 의 발생원인 및 대책■ 왜 전력전자에서 저차고조파가 중요한가?최근 전력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Power Electronics를 이용한 기술이 다양화 되고,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되어 FA 및, OA용, 정보통신용 전원으로 무정전 전원장치가 필수적으로 시설되고 있으며, 또한, 에너지를 위한 전동기 가변속 구동장치가 많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나 전동기 가변속 구동장치는 전력변환기인 인버터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인버터에는 교류를 직류로 변...2012.06.01· 9페이지 -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6페이지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1. 개요100여년 전 교류 송전 방식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직류 송전 방식은 교류송전 방식을 보완해주는 형식으로 존재해왔다. 그 동안은 대용량 직류 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발달로 인하여 고압의 교류를 직류로 바꿀 수 있는 변환장치가 개발되면서부터 직류 송전 방식에 대한 연구가 다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특히 기존의 직류발전기를 사용하여 직류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방식이 아닌, 고압의 교류 전기를 반도체 스위칭 소...2013.04.08·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