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스터디(HCC)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스터디(HCC)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28
문서 내 토픽
-
1. 외과적 절개로 인한 복부통증(abdominal pain due to surgical incision)1. 간호문제를 나타내는 주관적 자료 1) "여기가(우상복부 OP site) 너무 아파요(식은땀을 흘리며)" 2) "진통제 들어가고 있는거 맞아요?" 3) "배가 묵직해요" 2. 간호문제를 나타내는 객관적 자료 1) V/S 변화 (BP114/67, PR93, RR15, BT36.3 → BP 120/73, PR 94, RR18, BT36.1) 2) 면담 중 찡그린 표정 관찰됨 3) NRS 점수 6점 4) Pethidine HCL 25mg 투여 중 3. 문제가 나타난 관련 요인이나 병태생리적 기전 -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수술로 인한 외과적 절개 - jp bag 배액관 및 t-tube 삽입 4. 진단적 검사방법과 전?후 간호 - NRS 통증사정 - CNPS 통증사정 - Abdomen CT 5. 관련 간호진단 - 외과적 절개로 인한 통증(실재적) - 통증으로 인한 신체활동 부족과 관련된 위장관 운동기능 저하(잠재적)
-
2. 출혈의 위험(Risk for Bleeding)1. 간호문제를 나타내는 주관적 자료 1) "수술 부위에서 피가 나오는데 괜찮은지 좀 봐줘요" 2) "여기서(Gauze) 피가 계속 묻어 나오는데 새걸로 갈아주세요" 3) "수술 잘못된거 아니에요? 똑바로 관찰해 주세요" 2. 간호문제를 나타내는 객관적 자료 1) OP site의 gauze에서 bloody 양상 확인 2) Hb(9.4→7.8g/dl), Hct(28.8→23%) 수치 저하 3) PT(INR) 2.13, aPTT 74.9로 증가된 수치 3. 문제가 나타난 관련 요인이나 병태생리적 기전 -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수술로 인한 복부절개 - 간기능 장애로 인한 혈액 응고장애 → PT(INR) 2↑으로 유지, aPTT 60↑으로 유지 4. 진단적 검사방법과 전?후 간호 - blood coagulation test(혈액 응고 검사) - complete blood cell count(일반 혈액 검사) 5. 관련 간호진단 - 외과 절개부위로 인한 출혈의 위험 (실재적) - 간기능 저하로 인한 혈액응고 장애 (실재적) - 수술 후 출혈로 인한 체액 부족의 위험 (잠재적) - 출혈로 인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 (잠재적)
-
3. 불안(Anxiety)1. 간호문제를 나타내는 주관적 자료 1) "수술 잘 된거 맞죠?" 2) "간이 저랑 안맞으면 어떡해요?" 3) "먹는 약이 왜 이렇게 많아요?" 2. 간호문제를 나타내는 객관적 자료 1) 대상자와의 면담 중 안절부절한 모습을 보임 2) 굉장히 예민한 상태(환자 및 보호자인 여동생이 의료진에게 상스러운 말을 함) 3. 문제가 나타난 관련 요인이나 병태생리적 기전 -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수술 오류에 대한 두려움 -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수술로 인한 상황적 위기 - 건강 상태의 변화 4. 진단적 검사방법과 전?후 간호 - 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ety Inventory : STAI-X) 5. 관련 간호진단 - 이식 거부반응에 대한 불안 (실재적) - 수술 후 지식 부족으로 인한 불안 (실재적)
-
4. 환자에게 적용된 Tube, Line의 삽입 목적과 관리방법삽입 목적 Jugular catheter - 수술 전 중심정맥 확보, 자극이 심한 약물 투여, 혈액 수혈 JP bag - 수술 및 시술 후 분비물 배액과 출혈의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체내 고인 분비물과 수술 후 분비물을 흡입함으로써 상처치유 촉진, 피부 손상 위험 감소를 위해 T - tube - 담즙이 복강 내로 유출되는 것을 예방하고 담관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술 시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의 유무 확인 및 담도의 이상 상태 관찰하기 위해 관리방법 Jugular catheter - 삽입부위 철저한 무균 드레싱, 혈흉, 기흉 합병증 증상 확인 JP bag - 배액관이 막히거나, 눌리거나, 꼬이거나 당기지 않도록 하기, 폐쇄성 배액체계 기능 유지(음압상태 유지) T - tube - 의사의 지시 없이 세척, 흡인, T자관 잠그지 않도록 교육, 배액관이 잡아당겨지거나, 꼬여 있지 않도록 유지
-
1. 외과적 절개로 인한 복부통증(abdominal pain due to surgical incision)외과적 절개로 인한 복부통증은 수술 후 환자들이 겪는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이는 수술 과정에서 발생한 조직 손상과 염증 반응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러한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진통제 투여, 상처 관리, 그리고 물리치료 등의 다각도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통증 정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회복 과정을 돕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출혈의 위험(Risk for Bleeding)수술 후 출혈의 위험은 환자의 안전과 회복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후 혈액 검사를 통한 응고 기능 확인, 수술 중 출혈 관리, 그리고 수술 후 상처 관찰 및 지혈 처치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활력징후와 출혈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출혈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불안(Anxiety)수술을 받는 환자들은 수술 전후로 다양한 불안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술에 대한 두려움, 예후에 대한 걱정, 그리고 회복 과정에 대한 불확실성 등에서 기인합니다. 이러한 불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의 충분한 설명과 공감, 그리고 환자 개인의 심리적 지지가 필요합니다. 또한 이완 기법, 음악 요법, 그리고 가족 및 친구의 지지 등 다각도의 접근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불안을 완화하고, 수술 후 회복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입니다.
-
4. 환자에게 적용된 Tube, Line의 삽입 목적과 관리방법수술 후 환자에게 적용되는 다양한 Tube와 Line은 환자의 회복을 돕기 위한 중요한 의료 장치입니다. 이러한 Tube와 Line의 삽입 목적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관 내 튜브는 호흡 지원, 위관 튜브는 영양 공급, 도뇨관은 배뇨 관리 등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Tube와 Line의 관리를 위해서는 무균 술식 준수, 주기적인 관찰과 관리, 그리고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Tube와 Line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간세포암종 case study, HCC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 A++1. 간세포암종(HCC) 간세포암종(HCC)은 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 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입니다. 만성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 지속적인 과량의 음주, 간경변 등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간암의 발생원인은 간경변증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간세포암 환자의 80%가 간경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간암의 치료로는 TACE(경동맥 화학색전술)가 많이 시...2025.01.20 · 의학/약학
-
간세포암종HCC/A++교수님 칭찬 받음/성인간호학실습/케이스스터디/간세포암종/간호진단/간호과정1. 간세포암종(HCC) 간세포암종(HCC)에 대한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우선순위가 제시되었습니다. 주요 간호진단으로는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불안과 관련된 수면장애, 빈혈과 관련된 피로 등이 있습니다. 각 간호진단에 대한 장기 및 단기 목표,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내용 등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1. 간세포암종(HCC) 간세포암종(HCC)은...2025.01.13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스터디 (HCC)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19페이지
Ⅰ. 케이스 선정 이유우리나라 전체 간경변증 환자의 5년 생존율이 68%으로 꽤 높은 편이지만 복수나 간성뇌증과 같은 합병증이 시작되면 생존율이 20~40%정도로 굉장히 낮아지며 지속되는 경우 간암이 발생하게 된다. 보통 단기간에 간암 환자가 되는 것은 아니고 대개 수십년에 걸쳐 여러 번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축적되어야 암이 생긴다고 알고 있는데 28병동의 이인* 환자 분의 경우 간경변 진단을 받고,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HCC를 진단받은 배경이 궁금하여 케이스 스터디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Ⅱ. 문헌 고찰1. HCC (Hepat...2023.11.13· 19페이지 -
A+ [성인간호학실습]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간암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28페이지
Hepatocellular Carcinoma(HCC)성인 건강사정 도구1. 일반적 사항이름이OO성별남나이68의학진단명HCC결혼상태기혼교육수준고졸직업 (현재 / 과거)무직 (현재)종교무교경제상태 (상, 중, 하)중 (진료비 지불능력 있음)2. 주호소1.Abdominal Distension, Rt.leg pitting edema, dyspnea, NRS 복부 4점3. 현병력발병일시 2021.05.03. (15:02) 발병부위 복부, 우측 다리 기간 8일중증도 위생2 영양2 배설3 운동2 의사1 총점25 중증도2군특성 복강 내 복수 다량...2022.08.10· 28페이지 -
간세포암종 case study, HCC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실습 A++ 17페이지
성인간호학 HCC CASE STUDY (Hepatocellular carcinoma; 간세포암종) 과목 성인간호학실습 담당 교수님 실습병원 / 병동 수간호사 선생님 실습기간 제출일 제출자 1. 문헌고찰 간암 (HCC: Hepatocelluar carcinoma) ① 정의 간암이란 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 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넓은 의미로는 간에 생기는 모든 종류의 악성 종양(예를 들면 간내 담관암)이나 다른 기관의 암이 간에 전이되어 발생하는 전이성 간암까지도 포함하지만, 간세포암종이 간암 중 가장 흔하기 때문에...2024.08.10· 17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간암, 간세포암(HCC) 케이스스터디 A+ 13페이지
문헌고찰병태생리일차성 간암의 가장 흔한 형태는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이다. 일차성 간암은 간세포나 쓸개관 또는 양측에 모두 생길 수 있다. 간의 혈관조직에 침범하여 출혈을 유발하고, 혈액순환을 차단하여 간조직에 괴사를 일으킨다.정상적인 간에는 간세포암이 발생하지 않으며 간의 바이러스 감염이나 간손상이 있을 때 발생한다. 우리나라 간암 환자의 74.28%가 HCV 항체 양성이었고, 10.4%가 장기간 과음 경력자였다. 간암은 간경변증이 심할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잘 생기고, 남성에게 많다(국가...2021.02.02· 13페이지 -
간호학과 케이스 스터디_성인간호학실습 HCC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간호수행은 진단 당 3개 이상) 29페이지
CASE STUDY과목명교수님제출일실습지학번이름: Hepatocellular cancer- 목차 ?Ⅰ. 서론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P. 22. 연구 기간 및 방법 ------------------------------ P. 3Ⅱ. 문헌고찰질환에 대한 기술 (Description of disease) ------ P. 3Ⅲ. 간호과정1. 간호력 ------------------------------------------ P. 82. 간호사정1) 초기사정자료 (Initial dat...2024.07.17· 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