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리학 일반혈액검사,일반화학검사, 혈액응고검사의 정의와 각 항목별 정상범위
본 내용은
"
병리학 일반혈액검사,일반화학검사, 혈액응고검사의 정의와 각 항목별 정상범위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26
문서 내 토픽
-
1. 일반혈액검사 (CBC검사)일반혈액검사(CBC검사)란 혈액 속의 유형성분인 혈구의 정보를 분석하는 전혈구 계산을 의미하며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혈색소의 수를 측정합니다. 일반혈액검사(CBC검사)의 정상범위는 WBC(백혈구) 남: 4.00 ~ 10.00(10³/μL), 여: 4.00 ~ 10.00(10³/μL), RBC(적혈구) 남: 4.10 ~ 5.60(10^6/μL), 여: 3.70 ~ 4.70(10^6/μL), Platelet(혈소판) 남: 150 ~ 370(10³/μL), 여: 150 ~ 370(10³/μL), HB(혈색소) 남: 13.0 ~ 16.5(g/dL), 여: 12.0 ~ 15.5(g/dL)입니다.
-
2. 일반화학검사일반 화학 검사란 임상 화학 검사 중의 하나로, 혈액속의 화학성분의 정상분포를 측정하는 검사를 말합니다. 일반화학검사의 정상범위는 혈당 (glocose): 70~100 mg/dL, 알부민 (Albumin); 3.5~5.0 mg/dL, 혈중요소질소 (Blood Urea Nitrogen): 8~20 mg/dL, 요산 (Uric acid,UA): 2,4~6.0 mg/dL, 크레아티닌 (creatinine, CR): 0.4~1.2 mg/dL, 빌리루빈 (Billirubin): 0.1~1.2 mg/dL, AST(SGOT): 8~33 U/mL, ALT(SGPT): 5~35 U/mL, 나트륨 (Na, Sodium): 135~145 mEq/L, 칼륨 (K, Pottasium): 3.5~5.0 mEq/L, 염소 (CI, Chloride):95~105 mEq/L, 칼슘 (Ca, Calcium): 8.6~10.2 mg/dL, Total-cholesterol: 125~239 mg/dL 입니다.
-
3. 혈액응고검사혈액응고검사란 혈액이 응고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표준화된 방법으로 측정하고 분석하는 검사입니다. PT(프로트롬빈 시간)은 혈액 내 프로트롬빈의 전체량을 나타내면서, 혈액검체 안에서 혈전이 형성되는 전반적인 능력에 대한 시간을 측정하며, aPPT (활성화된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은 혈장에 시약을 첨가하여 섬유소 은괴가 형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환자의 혈액응고가 적절하게 일어나고 있는지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PT의 정상범위는 SEC (초): 11~14, % (농도): 80~140, INR (국제적인 표준화 비율): 0.8~1.2이며, aPTT의 정상범위는 SEC(초) : 29~45입니다.
-
1. 일반혈액검사 (CBC검사)일반혈액검사(CBC 검사)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검사 중 하나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우리는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혈액 구성 성분의 수치를 확인함으로써 감염, 빈혈, 출혈 등 다양한 질병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검사 결과는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CBC 검사를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검사 결과에 이상이 있다면 의사와 상담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일반화학검사일반화학검사는 혈액 내 다양한 성분들의 농도를 측정하여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간, 신장, 췌장 등 주요 장기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당뇨, 고지혈증, 신부전 등 대사성 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해질 균형, 산-염기 평형 등 체내 화학적 균형을 확인할 수 있어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정기적인 일반화학검사를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신속히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3. 혈액응고검사혈액응고검사는 혈액이 응고되는 과정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혈액 응고 인자의 수치와 응고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출혈이나 혈전 등 혈액 응고 관련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혈액응고검사가 필수적입니다. 검사 결과에 이상이 있다면 출혈이나 혈전 위험이 높을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담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액응고검사는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데 매우 유용한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노인간호학 케이스 A+ / ESRD , 말기신질환 / 간호과정 2개 낙상, 투석관련 영양부족 18페이지
노인간호학실습CASE- ESRD, end-stage renal failure (말기신부전) -목 차1. 진단명에 대한 문헌고찰① 정의② 원인③ 증상④ 진단/검사⑤ 치료⑥ 경과/합병증⑦ 간호2. 기본 정보3. 임상병리 검사4. X-ray 및 특수검사5. 약물치료6. 간호과정7. 참고문헌1. 진단명에 대한 문헌고찰: ESRD, end-stage renal failure (말기신부전)① 정의급성 신부전이 치료가 되지 않거나 만성신부전이 진행되어 신장기능의 10% 미만이 남은 상태를 말기 신부전이라고 한다. 말기 신부전에서는 몸 안의 노폐...2020.09.16· 18페이지 -
[A+보장]성인간호학 실습 진행성 위암(Advanced Gastric cancer)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25페이지 자료입니다. 25페이지
[A+보장]성인간호학 실습진행성 위암(Advanced Gastric cancer) A+ 받은 25페이지 자료입니다.- 목 차 -Ⅰ. 서론 2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2. 문헌고찰 ----------------------------------------------------------- 2? 정의? 원인 및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 합병증 및 예후Ⅱ. 본론 71. 간호사정 --------------------------------------...2025.03.07· 25페이지 -
아동쇄골골절(A+보장. 꼼꼼하게 적었습니다) 27페이지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Fracture of shaft of clavicle (쇄골 골절)과목아동간호학 실습지도교수학 번이 름실습병원제출일[Case study]목차I. 서론 및 문헌고찰II. 간호사정III. 검사소견IV. 약물요법V.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VI. 결론VII. 참고문헌I. 서론 및 문헌고찰1. 서론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쇄골은 흉골과 견갑골을 잇는 긴 뼈로 흔히 빗장뼈라고도 하며 팔을 몸통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쇄골 골절은 쇄골뼈가 외상으로 인해 부러지거나 깨지는 것으로 대게 낙상이나 그...2024.10.29· 27페이지 -
A+ 골수염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골수염 간호진단, 골수염 case study, osteomyelitis 간호과정,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3개 31페이지
Osteomyelitis골수염과목담당 교수님학년/반학번/이름실습 장소실습 기간Ⅰ. 서론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연구기간 및 방법3.문헌고찰1)정의2)원인 및 관련요인3)병태생리4)증상5)진단 검사6)치료적관리7)간호Ⅱ. 간호과정1.간호사정2.간호진단3.간호계획-간호수행-간호평가Ⅲ. 결론Ⅳ. 참고문헌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골수염(osteomyelitis)은 감염에 의해 뼈에 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건강한 성인보다 당뇨병, 수술, 외상 등의 위험 요소가 있는 환자들이나 성장판이 존재하는 소아 청소년에서 더 쉽게 발생한다....2023.10.28· 31페이지 -
A+/폐결핵CASE/총23장/사정내용풍부/교수님 칭찬/낙상 23페이지
CASE STUDY- 폐결핵 -학과 / 반실습기간실습과목지도교수학번이름제출일자Ⅰ. 질환에 대한 소개(치료과정에서 관련된 모든 질환, 각 질환에 대하여 A4용지 1장 이상 작성)Ⅰ. 질환에 대한 소개1. 정의폐결핵은 결핵균이 폐를 감염시켜 발생하는 질환이다. 2015년도 결핵 신환자는 인구 10만 명당 63.2명으로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은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OECD 국가 중에서는 결핵 발생률이 가장 높다.결핵은 감염성이 높은 질환으로서 후두, 콩팥, 뼈, 부신, 림프절, 뇌막 등 인체 어느 기관에나 전파될 수 ...2022.01.24· 2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