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요약(고혈압, 정맥과 동맥 질환, 림프부종, 적혈구 빈혈, 백혈구 장애 백혈병, 자반증, DIC, 조혈장애, 림프종)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요약(고혈압, 정맥과 동맥 질환, 림프부종, 적혈구 빈혈, 백혈구 장애 백혈병, 자반증, DIC, 조혈장애, 림프종)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24
문서 내 토픽
-
1. 혈압의 정의혈압은 심장에서 혈관 벽을 향하여 혈액이 흐르는 힘이며, 혈관의 단위면적에 대해 혈액이 밖으로 밀어내는 힘을 의미합니다. 동맥에서 가장 높고 정맥에서 가장 낮으며,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으로 구분됩니다. 정상범위는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80mmHg 미만입니다.
-
2. 고혈압 정의고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고혈압 1기는 수축기 혈압 140-160mmHg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 고혈압 2기는 수축기 혈압 16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100mmHg 이상입니다. 주의혈압은 수축기 120-130mmHg 미만, 이완기 80mmHg 미만이며, 고혈압 전단계는 수축기 130-140mmHg 미만, 이완기 80-90mmHg입니다.
-
3. 고혈압의 원인고혈압의 원인은 크게 본태성 고혈압(1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속발성 고혈압)으로 구분됩니다. 본태성 고혈압은 고혈압을 일으킬 만한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로 전체 고혈압의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차성 고혈압은 부신 질환, 신장 질환 등 특정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로 전체 고혈압의 약 10%를 차지합니다.
-
1. 혈압의 정의혈압은 심장이 수축할 때 동맥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심장이 혈액을 몸 전체로 보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으로, 정상적인 혈압 수준은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80mmHg 미만입니다. 혈압은 개인마다 다르며, 나이, 성별, 체중, 활동량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압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고혈압 정의고혈압은 지속적으로 혈압이 높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으로 진단됩니다. 고혈압은 심장, 뇌, 신장 등 주요 장기에 손상을 줄 수 있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는 정기적인 혈압 측정과 함께 생활습관 개선, 약물 치료 등을 통해 혈압을 관리해야 합니다.
-
3. 고혈압의 원인고혈압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나이가 들면서 혈관이 경직되고 탄력성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또한 비만, 운동 부족, 스트레스, 과도한 음주, 흡연 등의 생활습관도 고혈압 발병의 주요 요인이 됩니다. 유전적 요인도 고혈압 발병에 영향을 미치며, 신장 질환이나 갑상선 기능 이상 등의 기저 질환도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원인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