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사용되고 있는 측정 기준의 적용 사례
본 내용은
"
국채택국제회계기준 ) 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사용되고 있는 역사적원가, 현행원가, 순실현가치, 현재가치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각각 열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21
문서 내 토픽
-
1. 역사적원가역사적원가는 자산을 취득하거나 부채가 발생한 시점의 거래 가격으로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거래 당시의 금액을 그대로 반영하여 자산이나 부채를 재무제표에 기록하므로, 변동성이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적어 재무제표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유리합니다. 적용 사례로는 유형자산의 취득 원가 기록과 재고자산의 평가 등이 있습니다.
-
2. 현행원가현행원가는 자산을 현재의 시장 조건에서 대체하거나, 부채를 현재 시점에서 결제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을 반영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자산과 부채의 가치를 시장의 현재 상황에 맞게 조정하여, 재무제표가 현실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적용 사례로는 재고자산의 재평가와 유형자산의 대체 원가 평가 등이 있습니다.
-
3. 순실현가치순실현가치는 자산을 정상적인 영업 과정에서 처분할 때 예상되는 판매 가격에서 처분에 소요될 예상 비용을 차감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산의 시장 가치가 하락하거나 사용 불가능하게 될 경우, 그 자산의 보수적인 평가를 위해 사용됩니다. 적용 사례로는 재고자산의 평가와 부동산 자산의 순실현가치 평가 등이 있습니다.
-
4. 현재가치현재가치는 미래에 발생할 현금 흐름을 현재 시점에서 할인하여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시간의 가치를 반영하여, 미래 현금 흐름의 현재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적용 사례로는 장기 채무의 현재가치 평가와 연금 부채 평가 등이 있습니다.
-
1. 역사적원가역사적원가는 자산의 취득 당시 지불한 금액을 기준으로 하는 원가 개념입니다. 이는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산 가치의 변동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역사적원가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보여주는 데 유용하지만, 현재 자산의 실제 가치를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상황에 따라 역사적원가와 함께 다른 원가 개념을 병행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현행원가현행원가는 자산을 대체하거나 재생산하는 데 필요한 현재 시점의 원가를 의미합니다. 이는 자산의 실제 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며,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보다 현실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행원가 산정에는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현행원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비용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상황에 따라 현행원가와 다른 원가 개념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3. 순실현가치순실현가치는 자산을 현재 시점에서 매각할 경우 얻을 수 있는 금액에서 매각 관련 비용을 차감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산의 실제 처분 가치를 반영할 수 있어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보다 현실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순실현가치 산정에는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순실현가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비용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상황에 따라 순실현가치와 다른 원가 개념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4. 현재가치현재가치는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금흐름을 현재 시점의 화폐가치로 환산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산의 미래 수익 창출 능력을 반영할 수 있어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가치 산정에는 미래 현금흐름과 할인율에 대한 추정이 필요하므로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가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비용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업은 상황에 따라 현재가치와 다른 원가 개념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