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포트폴리오 분석(성장-점유율 매트릭스, 경험곡선분석, 산업매력도-기업강점모델, 시장영향분석모델)
문서 내 토픽
  • 1.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은 사업부들의 기업 내 ? 외적 요인에 대한 평가 이외에 이를 바탕으로 한 각 사업부의 상황에 적합한 목표와 전략을 제시해 주며 또한 경영자에게 기업 전체 차원에서 각 사업부들의 가장 효과적인 조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 준다. 포트폴리오 분석 방법 중에서 성장/점유율 매트릭스와 산업매력도/기업강점모델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다. 경험곡선 분석은 포트폴리오 분석의 기초가 된다.
  • 2. 성장/점유율 매트릭스
    성장/점유율 매트릭스는 전략적 사업단위(strategic business unit : SBU)를 평가하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이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법 중의 하나이다. 이 모델은 마케팅 담당자로 하여금 매트릭스 상에 자사의 포트폴리오 중 개개의 전략적 사업단위를 분류하여 위치화 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모델은 높음 ? 낮음 성장률과 높음 ? 낮음 시장점유율이라는 네 가지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에 따라 별, 현금젖소, 개, 문제아 또는 물음표로 명명했다.
  • 3. 경험곡선 분석
    경험곡선 개념에 의하면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비용은 체계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경험곡선 분석(experience curve analysis)은 단위당 비용과 축적 생산량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특히 축적생산량이 배증될 때 단위당 비용은 매우 뚜렷한 비율로 줄어들게 된다. 경험곡선의 중요한 시사점은 비용과 시장점유율이 서로 관련되어 나타난다는 것이다.
  • 4. 산업매력도/기업강점모델
    매킨지(Mckinsey) 혹은 GE(General Electric) 모델(industry attractiveness/ business strength model)은 산업의 매력도와 기업의 강점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한다. 산업매력도는 시장규모와 성장률, 제조업의 이익률, 경쟁적 강도 등의 요소로 결정되며, 기업 강점은 상대적 시장점유율, 이익폭, 기술적 능력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략적 사업단위가 매트릭스상의 어느 상한에 있느냐에 따라 추천되는 전략이 달라진다.
  • 5. 시장영향 분석 모델
    PIMS(profit impact of marketing strategy)는 시장전략의 이윤충격에 대한 컴퓨터화 된 접근방법으로, 기업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9가지 전략적 요인(투자 집중도, 생산성, 시장직위, 시장 성장, 제품/서비스 질, 기술혁신과 차별화, 수직적 통합도, 원가상승, 현재의 전략적 노력)을 분석한다. PIMS는 기업의 현재 마케팅전략 효율성과 달성 가능한 마케팅전략 성과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은 기업이 보유한 다양한 사업 영역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각 사업 영역의 성과와 성장 잠재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원 배분과 전략 수립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성숙기에 접어든 사업 영역과 신규 사업 영역을 균형 있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은 기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2. 성장/점유율 매트릭스
    성장/점유율 매트릭스는 기업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도구입니다. 이 매트릭스는 각 사업 영역의 상대적 시장 점유율과 시장 성장률을 바탕으로 사업 영역을 구분하고, 이를 통해 기업이 각 사업 영역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현금 창출력이 높은 '돈송아지' 사업 영역과 미래 성장 잠재력이 높은 '별' 사업 영역에 대한 투자 전략이 중요합니다. 다만 이 모델은 단순화된 접근이라는 한계가 있으므로, 다른 분석 도구와 함께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3. 경험곡선 분석
    경험곡선 분석은 제품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단위당 생산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생산 경험 축적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를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격 전략과 투자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규모의 경제가 중요한 산업에서 경험곡선 분석은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기술 혁신, 시장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비용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경험곡선 분석 결과를 다른 분석 모델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4. 산업매력도/기업강점모델
    산업매력도/기업강점모델은 기업이 특정 산업에 진출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이 모델은 산업의 성장성, 경쟁 강도, 진입장벽 등 외부 환경 요인과 기업의 자원, 역량, 브랜드 등 내부 역량 요인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특정 산업에 진출할 때의 기회와 위험을 파악하고, 자사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규 사업 진출이나 M&A 의사결정 시 이 모델은 유용한 분석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 5. 시장영향 분석 모델
    시장영향 분석 모델은 기업의 특정 전략이나 의사결정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도구입니다. 이 모델은 가격, 수요, 경쟁 구도, 고객 행동 등 다양한 시장 변수를 고려하여 전략의 효과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전략 수립 과정에서 시장 반응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으며, 전략 실행 후에도 실제 성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제품 출시, 가격 변경, 마케팅 캠페인 등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에 이 모델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사업 포트폴리오 분석(성장-점유율 매트릭스, 경험곡선분석, 산업매력도-기업강점모델, 시장영향분석모델)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19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