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 역사서
문서 내 토픽
-
1. 조선시대 역사서의 유형조선시대 역사서는 크게 기전체, 편년체, 기사본말체의 세 가지로 나뉩니다. 기전체는 임금의 행적을 주로 기록한 본기, 인물들의 행적을 정리한 열전, 본기나 열전에 담을 수 없는 항목을 분류하여 정리한 지로 구성됩니다. 편년체는 시간적인 순서를 중요시하는 가운데 연대순으로 역사를 기록하는 방식이고, 기사본말체는 역사를 시대순으로 구성하되, 시대별 주요 사건에 대해 원인과 결과를 밝혀 적는 방식입니다.
-
2. 안정복과 동사강목안정복은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역사학자로, 동사강목을 저술했습니다. 동사강목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자주적이고 실증적인 관점에서 재구성했으며, 안정복은 단군조선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우리나라 역사의 상한을 올려잡았습니다. 안정복은 지리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지리고를 통해 요동 지역을 단군조선·기자조선·부여의 영역으로 비정했습니다.
-
3. 유득공의 발해고조선 후기 실학자 유득공은 발해고를 저술하면서 발해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했습니다. 유득공은 발해가 고구려의 후계자임을 분명히 밝히면서 우리 민족사의 범위에 넣었고, 통일신라와 발해가 공존하던 시기를 남북국시대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4.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이긍익이 지은 연려실기술은 당파적 편견을 배제하고 공정한 역사의식을 토대로 기록된 것입니다. 연려실기술은 원집, 속집, 별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집에서는 단군조선 이래 우리 문화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
1. 조선시대 역사서의 유형조선시대 역사서는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했습니다. 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의 관찬 사료는 국가 차원에서 편찬된 공식 역사서로, 조선 왕조의 정치, 외교, 군사,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반면 개인 저술인 야사, 야사, 야사 등은 관찬 사료에서 다루지 않은 세부적인 내용과 당대 지식인들의 견해를 담고 있어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이처럼 조선시대 역사서는 관찬과 사찬, 공식과 비공식의 다양한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조선 역사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2. 안정복과 동사강목안정복의 '동사강목'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역사서 중 하나입니다. 안정복은 기존 역사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역사 편찬 방식을 시도했습니다. 그는 다양한 사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역사 서술을 추구했습니다. 또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개진하여 역사 해석의 지평을 넓혔습니다. '동사강목'은 조선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한 대표적인 저작으로, 후대 역사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안정복의 역사 인식과 서술 방식은 조선 후기 역사학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
3. 유득공의 발해고유득공의 '발해고'는 조선 후기 발해사 연구의 대표적인 성과입니다. 유득공은 다양한 사료를 섭렵하여 발해의 역사와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했습니다. 그는 발해가 고구려의 후계국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발해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상세히 기술했습니다. 특히 발해의 지리, 제도, 인물 등에 대한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여 발해에 대한 이해를 높였습니다. '발해고'는 발해사 연구의 기초를 마련한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후 발해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4.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이긍익의 '연려실기술'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야사 저작입니다. 이긍익은 관찬 사료에 기록되지 않은 다양한 역사적 사실과 인물, 사건 등을 수집하여 기록했습니다. 그는 특히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세부적인 내용을 생생하게 전달하여 조선 후기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였습니다. '연려실기술'은 관찬 사료와는 다른 관점에서 조선 역사를 바라보고 있어,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이긍익의 역사 인식과 서술 방식은 조선 후기 야사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역사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14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1. 조선시대 역사서 편찬 조선시대에는 관찬 역사서와 사찬 역사서가 편찬되었습니다. 관찬 역사서로는 동국통감, 고려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등이 있으며, 사찬 역사서로는 해동역사, 동국사략, 동사강목, 발해고 등이 있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주로 관찬 역사서가 편찬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개인이 편찬한 사찬 역사서가 많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2. 고려시대 역...2025.01.06 · 인문/어학
-
고려와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1. 고려와 조선시대 역사서 고려와 조선시대에 편찬된 주요 역사서로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국통감, 동국사략,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사강목, 발해고, 해동역사 등이 있습니다. 이 역사서들은 각각 고대부터 근세까지의 한반도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기전체, 사찬, 관찬 등 다양한 형태로 편찬되었습니다. 2.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삼국사기는 본기와 열전 중심...2025.01.18 · 인문/어학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1. 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은 고려시대의 역사와 지리를 다룬 역사서로, 성씨홍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왕조의 역대 왕들의 생애와 정치 사건을 기록한 역사서로, 조선 시대에 왕실이 직접 편찬했습니다. 3. 세종실록 세종실록은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의 정부기록을 담은 역사서로, 세종대왕의 업적과 통치기록이 ...2025.01.14 · 인문/어학
-
조선시대 역사1. 조선왕조의 개창 고려가 쇠퇴하는 가운데 신흥무인세력인 이성계가 신진사대부 세력과 손을 잡고 1392년에 조선왕조를 개창했습니다. 태조가 개성의 수창궁에서 즉위하고 국호를 조선이라 했으며, 태조의 아버지와 4대를 추존하고 39인을 개국공신으로 삼았습니다. 2. 조선시대 6조 조선시대 실무부서인 6조는 관리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는 이조와 조세에 대한 업무...2024.12.31 · 인문/어학
-
조선시대의 지리서적과 역사서적1. 조선시대 지리서적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지리서적이 편찬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지리서적으로는 동국여지승람, 진포강리, 몽구강간 등이 있습니다. 이들 지리서적은 국가 행정, 세금 징수, 경제 개발 등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했으며,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제공하여 교육적 가치도 있었습니다. 현대에는 이들 지리서적이 역사 연구와 문화적 유산 보...2025.01.19 · 인문/어학
-
역사에 대한 서적1. 삼국시대 역사서 삼국시대에 편찬된 역사서로는 신라시대 거칠부가 편찬한 국사, 고구려 시대의 역사서인 유기와 신집, 백제도 근초고왕시기에 편찬한 서기 등이 있다. 이들 역사서는 각 나라의 전성기에 편찬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2. 고려시대 역사서 고려시대에는 왕조실록을 편찬하였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고려 후기에 이제현도 많은 역사서를 편찬하였지만 현...2025.01.13 · 인문/어학
-
조선시대의 역사서 5페이지
조선시대의 역사서●동국사략동국사략에는 조선 초?권근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동국사략이 있고요 이외에 유희령이 편찬한 표제음주동국사략과 16세기에 박상이 편찬한 동국사략이 있습니다또 근대에는 현채가 중등교과서인 동국사략을 저술하였습니다동국사략조선 초?권근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동국사략표제음주동국사략박상이 편찬한 동국사략현채가 저술한 동국사략●권근과 동국사략권근은?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면서 학자인데요 권근의 호는 양촌입니다.고려와 조선의 왕조교체기에 권근은 조선의 건국에 협력을 하였고요 새롭게 일어나는 명나라와 친...2023.12.16· 5페이지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 5페이지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조선시대에는 다양한 역사서가 편찬되었습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몇 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 이미 이전에 언급한 것처럼, "동국여지승람"은 고려시대의 역사와 지리를 다룬 역사서입니다. 성씨홍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왕조의 역대 왕들의 생애와 정치 사건을 기록한 역사 서적입니다. 이 책은 조선 시대에 왕실이 직접 편찬했으며, 그 안에는 역대 왕들의 정치적인 의사 결정과 왕실의 일상 생활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세종실록 ...2024.05.05· 5페이지 -
조선시대 역사 6페이지
조선시대 역사●조선왕조의 개창고려가 쇠퇴를 하는 가운데 신흥무인세력인 이성계는 신진사대부 세력과 손을 잡고 1392년에 조성왕조를 개창하게 됩니다.신흥무인세력인 이성계는 정도전과 권근등의 신진사대부들과 연합하여 역성혁명을 일으켜 새로운 조선왕조를 열게 됩니다.개화기에 나온 역사서인 국조사에서는 조선왕조의 개창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을 하였습니다.개국 기원 임신 원년(壬申元年, 1392) 가을 7월 17일1)?병신(丙申)에 태조(太祖)가 송경(松京, 개성)의 수창궁(壽昌宮)에서 즉위하시고, 국호를 조선(朝鮮)이라고 하셨다. 그 ...2024.01.01· 6페이지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 5페이지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에는 동국통감, 고려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해동역사, 동국사략,동사강목, 발해고등이 있습니다조선시대 전기에는 관찬 역사서가 주로 편찬이 되고요 조선후기에는 개인이 편찬한 사찬역사서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조선후기에 개인이 편찬한 사찬역사서에는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를 비롯하여 박상이 지은 동국사략, 안정복이 지은 동사강목, 유득공이 지은 발해고등이 있습니다.●고려시대 역사에 대한 정리조선은 새로운 왕조를 연후에 고려시대 역사에 대한 정리 사업을 가장 먼저 하게 됩니다.이러한 가운데 ...2024.01.01· 5페이지 -
조선시대의 역사서 3페이지
조선시대의 역사서조선시대의 역사서에는 대표적인 관찬역사서인 동국통감을 비롯하여 동국사략과 이이, 정도전이 지은 역사서들이 있습니다.조선시대에 지어진 역사서인 동국사략은 박상이 지은 동국사략을 비롯하여 조선 태종때에 지어진 관찬역사서가 있고요 1900년대 초에는 권채도 동국사략이라는 이름의 역사서를 지었습니다.●동국사략조선시대에 지어진 역사서인 동국사략은 박상이 지은 동국사략과 조선 태종의 명에 따라 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이 있습니다.동국사략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간편하게 정리한다는 의미를 가진 역사서입니다. 1900년...2022.09.10·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