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려저항 측정회로 설계(예비) A+
본 내용은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려저항 측정회로 설계(예비)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13
문서 내 토픽
-
1. 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건전지의 내부저항은 수Ω 정도로 작으며 새 건전지의 경우 0.05Ω의 출력저항을 가진다. 따라서 내부저항은 0에 가까운 아주 작은 값일 것이라 예상한다. 건전지(6 V)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회로와 절차를 설계하여 제출하였다. 10Ω 저항과 Pushbutton을 사용하여 측정에 의한 전력소비가 최소가 되도록 하였다. 10Ω 저항에 0.6A 전류가 흐르고 6V 전압이 걸리므로 10Ω 저항에 소비되는 전력은 3.6W이다.
-
2. 옴의 법칙과 전류 계산10Ω의 저항에 1V를 인가하면 전류는 100mA이다. DC Power Supply의 Output 1의 출력전압을 1V, 최대출력전류를 10mA로 조정한 상태에서 10Ω의 저항을 연결하면 전압은 0.1V로 강하할 것이다.
-
3. DC Power Supply 출력 전압 측정DC power supply의 output 1을 5V, output 2를 10V로 조정하고 DMM으로 두 (+)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면 0V로 측정될 것이다. 두 output 단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DMM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output 2의 (+)단자가 output 1의 (+)단자보다 5V 높게 되는 회로에서 이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DMM을 추가한 회로를 설계하였다.
-
4. 공통기준점과 전압 측정공통기준점에 대해 output 1은 5V, output 2는 -10V가 되는 회로에 이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DMM을 추가한 회로를 설계하였다. 회로도에 기준점을 표시하였다.
-
5. 저항 연결에 따른 전압 분배DC power supply의 output 1을 5V로 조절하고 (+)출력단자에 22MΩ 저항의 한 쪽만 연결한 경우, 연결된 저항의 다른 쪽의 전압은 이론적으로 4.99995V이다. (+) (-) 출력단자 사이에 두 개의 10kΩ 저항을 직렬로 연결했을 때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2.5V이며, 두 개의 22MΩ 저항을 직렬로 연결했을 때도 각각 2.5V의 전압이 걸린다.
-
6. 실효치의 정의실효치란 주기적인 혹은 변동적인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개념이다. 교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동일 저항으로 흐른 경우 교류와 동일 줄(joule) 열을 발생하는 직류의 값을 말한다.
-
1. 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은 전자 회로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전압 강하와 전력 손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회로 설계와 성능 최적화에 필수적입니다. 내부저항 측정 방법에는 부하 저항을 이용한 방법, 전압 강하 방법, 임피던스 분석기를 이용한 방법 등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 목적과 환경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측정 결과를 해석할 때는 건전지의 충전 상태, 온도, 사용 기간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건전지의 특성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회로 설계와 성능 향상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2. 옴의 법칙과 전류 계산옴의 법칙은 전기 회로 분석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가 명확히 정의되어 있어, 이를 활용하면 회로의 동작을 쉽게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전류 계산은 회로 설계와 성능 분석에 필수적이며, 옴의 법칙을 적용하면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회로에서는 저항 이외에도 다양한 소자들이 존재하므로, 옴의 법칙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로 분석 시에는 옴의 법칙과 함께 캐패시터, 인덕터 등 다른 소자들의 특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회로 동작 분석과 설계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
3. DC Power Supply 출력 전압 측정DC 전원 공급기(Power Supply)의 출력 전압 측정은 전자 회로 분석과 설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정확한 출력 전압 측정을 통해 회로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고, 전압 강하나 리플 등의 문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프로브의 접지 연결, 측정 지점 선택, 측정 방법 등입니다. 예를 들어 접지 연결이 잘못되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측정 지점을 잘못 선택하면 실제 회로 동작과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압 측정 시 부하 효과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회로의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
4. 공통기준점과 전압 측정전압 측정 시 공통기준점(Common Ground)의 설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공통기준점은 회로 내에서 전압 측정의 기준이 되는 지점으로, 이 지점을 잘못 선택하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복잡한 회로에서는 여러 개의 접지가 존재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공통기준점을 잘못 설정하면 회로 간 전압 차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회로의 구조와 동작을 충분히 이해하고, 적절한 공통기준점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과정에서 프로브의 접지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전압 측정이 가능해지며, 회로 분석과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5. 저항 연결에 따른 전압 분배저항 연결에 따른 전압 분배는 전자 회로 설계와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직렬 연결된 저항들에서는 전압이 저항 값에 비례하여 분배되며, 병렬 연결된 저항들에서는 전압이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이러한 전압 분배 특성을 이해하면 회로의 동작을 쉽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압 분배기 회로에서 출력 전압을 계산할 수 있으며, 부하 변화에 따른 전압 변동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개념은 센서 회로, 증폭기 회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저항 연결에 따른 전압 분배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회로 설계와 분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6. 실효치의 정의실효치(RMS, Root Mean Square)는 교류 신호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실효치는 교류 신호의 평균 전력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직류 신호와 동일한 열적 효과를 가지는 값입니다. 따라서 실효치를 사용하면 교류 신호의 특성을 보다 정확히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압 측정 시 실효치를 사용하면 전력 계산이 가능하며, 전류 측정 시에도 실효치를 사용하면 회로 부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효치는 교류 신호의 피크값과 달리 파형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실효치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전자 회로 분석과 설계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교류 신호의 특성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1. Pushbutton switch 연결 Pushbutton switch을 브레드보드를 이용해서 연결할 때, Pushbutton switch의 핀이 브레드보드와 완전히 호환되지 않아 누를 때마다 계속 빠지는 현상이 있었다. 이때 회로를 제 때 끊지 않아 저항에 계속 전류가 흐르게 된 경우가 있었고 이로 인한 저항에 미치는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2025.05.03 · 공학/기술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1. 건전지의 내부 저항 측정 6 [V] 건전지의 전압은 6.37 [V]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건전지 사용에 의해 화학물질이 소비되어 출력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를 대비해서 높은 전압으로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 건전지의 내부 저항은 0.848 [Ω]으로 매우 작은 값이 측정되었으며, 실제 회로에서는 이와 유사한 값의 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건전지 내...2025.04.29 · 공학/기술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1. 전기회로설계실습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구해보았으며 그 값은 약 이 나오게 되었다 이 값은 무시할만한 정도이다. DC Power supply의 최대 출력 전류를 50mA나 0.1A로 바꾸면서 CC모드나 CV모드를 바꾸는 것을 체험하면서 기기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또한 DC Power supply의 설정 전압은 -단자에서 +단자 사이의 전위차만을 얘기함을...2025.05.15 · 공학/기술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예비보고서1. 전원의 출력저항 측정 전원의 출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여 부하효과(Loading effect)를 이해한다. 이를 위해 건전지, DC Power Supply, Digital Multimeter 등의 기본 장비와 부품을 사용한다. 2. DMM의 입력저항 측정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여 부하효과(Load...2025.01.17 · 공학/기술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결과보고서1. 건전지의 출력저항 측정 이 실습에서는 건전지의 출력저항과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혔다. 실습 결과,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약 1.58Ω으로 매우 작은 값이었다. 이는 실습 전에 예상했던 것과 비슷한 결과였으며, DMM으로 측정한 실제값을 대입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었다고 생...2025.01.17 · 공학/기술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2_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보고서 1등)1. 건전지 내부 저항 측정 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요약 건전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회로를 구성하고 직접 측정해 보았다. 실습 계획서에 0~1Ω으로 작은 저항 값이 나올 것이라고 예측했고, 실제 측정값은 약 1.05Ω으로, 실제 결과 값과 유사하게 예상했다고 할 수 있다. 2. DC Power Supply 사...2025.05.10 · 공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