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스피스, 호스피스 간호, 외국의 호스피스 현황, 영국, 미국, 일본, 대만
본 내용은
"
호스피스, 호스피스 간호, 외국의 호스피스 현황, 영국, 미국, 일본, 대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13
문서 내 토픽
-
1. 영국의 호스피스영국의 호스피스는 종교단체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이후 지역당국에서의 필요수요에 의해 발전하였다. 영국에서는 1900년대 초기에 호스피스 사업이 도입되었으며 호스피스 사업에 관한 내용이 일반 행정법에 따라 적용되고 있다. 영국 뿐만 아니라 호주, 캐나다에서는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에 완화 의료가 포함되어 있으며 규정된 전문가 과정을 마치면 완화의학전문의나 호스피스 전문 간호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국가보조금(NHS기금)과 보험수가, 개인보험(본인 무료) 및 기부금에 의해 사업재원이 조달되고 있다.
-
2. 미국의 호스피스미국에서는 1960년대 말기에 호스피스 사업이 도입되었으며, 1981년 TEFRA(Tax Equity's Fiscal Responsibility Act)가 국회에서 통과됨에 따라 호스피스 사업에 대한 법적 근거를 갖게 되었다. 이 법은 사회보장법의 지배를 받으며 그 부칙으로 건강관리재정시행령(Health Care Financing Administration)이 제정되어 있고 그 안에 호스피스 프로그램이 메디케어 프로그램에 포함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하는 조건들을 명시하고 있다. 의료보험인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에 의한 일당 정액제의 수가 지불 및 주정부와 연방정부의 기금, 환자 개인의 건강보험(환자 무료), 그리고 기부금에 의해 조달되고 있다.
-
3. 일본의 호스피스일본에서는 1970년대에 호스피스가 도입되었는데 가정호스피스의 경우 의료보험의 가정방문진료와 간호에 대한 수가지불 조항에 따라 관심 있는 다수의 개원의들이 오전에는 자신들의 클리닉에서 진료를 하고 오후에는 간호사와 함께 말기환자의 가정을 방문하는 형식으로 지금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990년, 후생성에 의한 완화케어병동 시설기준이 고시되고 사회보험법규에 완화케어병동 입원료가 포함되면서 호스피스병동에서의 호스피스서비스가 제도화되었다.
-
4. 대만의 호스피스대만의 경우 호스피스 사업은 1980년대 초기에 도입되었고 2000년에 청문회를 거쳐 보건성에 의해 호스피스표준(Standard Operation Procedure of Hospice)과 통증조절가이드(A Guide to Pain Management in Hospice Palliative Care)가 설정되었고, 2000년 5월 23일, 국회에서 호스피스완화의료법이 통과되었다. 이 법의 명칭은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인데, 이는 관련 법률을 적용해서 모아놓은 사실상의 호스피스 단독법이다.
-
1. 영국의 호스피스영국의 호스피스 서비스는 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1967년 시실리아 소더스가 설립한 세인트 크리스토퍼 호스피스는 현대 호스피스 운동의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이후 영국에서는 호스피스 철학과 실천이 빠르게 발전하여 말기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전인적인 돌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호스피스는 의료 서비스와 긴밀히 협력하며 지역사회 중심의 돌봄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활동이 활발하여 말기 환자와 가족들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호스피스 모델은 다른 국가들에게 중요한 벤치마킹 사례가 되고 있습니다.
-
2. 미국의 호스피스미국의 호스피스 서비스는 1970년대 후반부터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자선단체와 종교단체에 의해 운영되었지만, 1982년 메디케어 호스피스 혜택이 도입되면서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현재 미국에는 약 5,000개의 호스피스 기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말기 환자의 40% 이상이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호스피스는 의료 서비스와 긴밀히 연계되어 있으며, 다양한 전문가들이 팀을 이루어 환자와 가족을 돌보고 있습니다. 또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활동이 활발하여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만 의료보험 적용의 한계와 지역 간 격차 등의 과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일본의 호스피스일본의 호스피스 서비스는 1970년대 후반부터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종교단체와 자선단체에 의해 운영되었지만, 1990년대 이후 의료 서비스와의 연계가 강화되면서 빠르게 발전하였습니다. 현재 일본에는 약 400개의 호스피스 기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말기 환자의 약 20%가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호스피스는 의료 서비스와 긴밀히 연계되어 있으며, 다양한 전문가들이 팀을 이루어 환자와 가족을 돌보고 있습니다. 또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활동이 활발하여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역 간 격차와 의료보험 적용의 한계 등의 과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대만의 호스피스대만의 호스피스 서비스는 1980년대 후반부터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종교단체와 자선단체에 의해 운영되었지만, 1990년대 이후 정부의 지원과 의료 서비스와의 연계가 강화되면서 빠르게 발전하였습니다. 현재 대만에는 약 200개의 호스피스 기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말기 환자의 약 30%가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대만의 호스피스는 의료 서비스와 긴밀히 연계되어 있으며, 다양한 전문가들이 팀을 이루어 환자와 가족을 돌보고 있습니다. 또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활동이 활발하여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역 간 격차와 의료보험 적용의 한계 등의 과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외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황 9페이지
외국의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황-미국, 영국, 일본, 호주, 대만Ⅰ서론p.1Ⅱ본론p.2~81. 미국p.2~42. 영국p.4~63. 일본p.6~74. 호주p.75. 대만p.7~8Ⅲ결론p.8Ⅳ참고문헌p.8Ⅰ.서론한국의 호스피스는 1964년에 한국에 진출한 호주의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수녀들이 1965년에 강릉에서 시작한 갈바리 의원을 효시로 한다. 현재는 약 160여개의 호스피스 기관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제도화를 위한 수가 시범 사업을 통해 정부와 민간이 모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고 있...2016.09.18· 9페이지 -
아동간호/호스피스/아동호스피스/현황 9페이지
2019학년도 제2학기 리포트아동호스피스학교마크수강과목명아동간호학담당교수명학 번성 명목차서론본론정의의의국내외 현황간호적 의의결론참고문헌Ⅰ. 서론아동 호스피스는 삶과 살아가는 것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돌봄은 병원, 가정, 혹은 시설 어느 곳에서든 행해지게 된다. 호스피스 돌봄 중에서도 아동이 생명에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그 아동과 가족을 돌보는 호스피스는 매우 가치 있는 일이며 동시에 특유의 어려움이 있는 일이다. 아동 호스피스는 중요하다. 아동호스피스는 부모가 주요한 돌봄 제공자로서 역할을 담당하도록 부모의 참여를 촉진시킨다...2020.03.28· 9페이지 -
노인과 죽음(죽음의 정의, 태도, 임종케어, 임종과 사별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 보고서 24페이지
노인의 죽음목차죽음의 정의 죽음의 동태 죽음에 대한 태도 터미널(임종) 케어 임종과 사별에서의 사회복지사의 태도와 역할죽음의 정의소생 할 수 없는 삶의 영원한 종말 심장, 폐 기능의 불가역적 정지 또는 뇌간을 포함한 전뇌 기능의 불가역적 소실 (임상적인 죽음) 호흡이 없고 심장이 정지된 상태이고 뇌의 활동이 중지된 상태 (생물학적 죽음) 세포전체가 생명 현상의 정지에 이르는 점차적인 이행과정노인의 자살1. 노인 자살 1) 노인자살 추이 노인 자살 추이노인의 자살률2) 노인자살의 원인(1) 사회학적 이론 ▶교환 이론 교환이론은 사회적...2010.10.30· 24페이지 -
호스피스 11페이지
호스피스목차1.호스피스의 정의2. 호스피스의 유래3. 호스피스의 역사적 발달4.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역사적 발달5. 호스피스의 철학6. 호스피스의 기본원리7. 외국의 호스피스 제도(1) 호주의 호스피스(2) 미국의 호스피스(3) 일본의 호스피스(4) 영국의 호스피스(5) 대만8. 호스피스의 유형(1) 병원내의 호스피스(2) 독립형 호스피스(3) 가정 호스피스9. 호스피스 대상자의 선정기준10. 호스피스 환자의 정서적 특성(1) 죽음에 대한 반응① 부정② 분노③ 타협④ 우울⑤ 수용(2) 사회심리적 요구호스피스 간호10. 호스피스 대상...2007.12.31· 11페이지 -
호스피스 간호 25페이지
호스피스 간호목차서론 - 호스피스의 정의 본론 - 호스피스의 역사 - 호스피스의 필요성 - 호스피스의 형태 -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현황 - 다른나라의 호스피스 결론 -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향후과제 - 결론 및 제언호스피스의 정의1) 어원 - Hospes(손님) 또는 Hospitum(손님접대) 2) 웹스터 사전(1972) - 여행자를 위한 숙소 또는 병자나 가난한 사람들은 위한 집 3) 미국 호스피스 협회(NHO) 죽음을 앞둔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전인적 care를 제공하는 완화 서비스와 지원 서비스의 ...2007.10.07· 2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