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수지표의 원칙
문서 내 토픽
  • 1. 국제수지표의 원칙
    국제간의 거래는 국내거래와 마찬가지로 실물거래와 반대방향으로 화폐가 이동된다. 예를 들면, 수출의 경우에는 재화가 외국으로 이동할 때 자금은 외국에서 국내로 유입되며, 수입의 경우에는 재화가 외국에서 국내로 유입될 때 자금은 국내에서 외국으로 유출된다. 즉 급부와 반대급부가 동시에 행해진다. IMF에서는 이러한 복식부기의 원리에 입각하여 특정국의 국제수지를 정리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국제수지표에는 1) 실물자산의 흐름과 용역의 흐름, 2) 대외자산과 부채의 흐름, 3) 이전수지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국제수지표에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경상이전수지, 투자수지 등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기록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국제수지표의 원칙
    국제수지표는 한 국가의 대외거래 상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중요한 경제지표입니다. 국제수지표의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거래의 실제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기록하는 발생주의 원칙을 따릅니다. 둘째, 거래 당사자의 국적이 아닌 거래 장소를 기준으로 기록하는 영토주의 원칙을 따릅니다. 셋째, 거래 당사자 간 대가관계가 성립되는 거래만을 기록하는 대가성 원칙을 따릅니다. 넷째, 거래 당사자 간 자금의 실제 이동을 기준으로 기록하는 현금주의 원칙을 따릅니다. 이러한 원칙들은 국제수지표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국가 간 경제활동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국제수지표의 원칙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13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