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통대]한국문학과 대중문화]24년 2학기 중간과제물_v1
문서 내 토픽
-
1. 번안의 의미번안이라는 개념은 번역과는 다른 의미라고 할 수 있는데, 번안이라는 것은 대개 외국문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번역과는 다른 방식, 즉 원작의 줄거리를 따르되 지명, 인명 때로는 사건 등을 자국의 실정에 맞게 고치는 것을 일컫는다. 구체적으로 보면, 번안은 원작의 플롯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조금 변형하여 옮기되 등장인물, 배경, 디테일 등을 자국화 또는 현대화하는 번역 방법으로서 새로운 오리지널리티를 지니는 제3의 창작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
2. 1910년대 번안소설 3대 작가와 작품1) 조중환 : 장한몽 - 일본 오자키 고요의 곤지키야사를 번안한 소설로서 우리나라 번안소설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다. 조중환은 원작의 내용을 그대로 가져오지 않고 배경과 인물 이름을 조선식으로 바꾸었으며, 투신 장면을 추가하여 순애의 순결성을 회복시키는 등 한국의 정서를 반영하였다. 2) 이상협 : 해왕성 - 알렉상드르 뒤마 페르의 몬테크리스토 백작을 번안한 작품으로, 원작의 플롯은 유지하되 배경을 중국 상하이와 베이징으로 바꾸는 등 동아시아 역사 이야기로 변화시켰다. 3) 민태원 : 애사 - 빅토르 위고의 레미제라블을 일본의 쿠로이와가 번안한 아아, 무정을 재번안한 작품이다. 지명 등 고유명사는 원작 그대로 두되 인물 이름만 자국식으로 바꾸었고, 국문체로 작성하였다.
-
3. 멜로드라마 형식의 특성1) 멜로드라마는 근대적인 연극 형식으로 1800년경에 등장하였으며, 부르주아 계급을 주된 관객으로 한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연극이다. 2) 멜로드라마의 등장인물은 선악의 이분법적 대립으로 구분되며, 선한 주인공과 악한 인물로 대비된다. 3) 멜로드라마의 구조는 선한 주인공이 악한 인물에 의해 박해를 당하지만, 결국 해피엔딩으로 마무리된다. 4) 멜로드라마의 결말은 해피엔딩으로, 선한 주인공의 미덕이 보상받고 악한 인물도 참회하게 된다.
-
1. 번안의 의미번안은 원작을 바탕으로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문화 교류와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번안을 통해 다른 문화권의 작품을 접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창작물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번안은 단순한 번역이 아니라 원작의 내용과 형식을 재해석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번안가의 창의성과 독창성이 발휘되며, 새로운 문화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번안은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창작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1910년대 번안소설 3대 작가와 작품1910년대 번안소설 3대 작가로는 이광수, 나도향, 현진건을 들 수 있습니다. 이광수는 '무정'을 통해 서구 문학의 영향을 받아 근대적 소설 양식을 도입했고, 나도향은 '운수 좋은 날'에서 일본 문학의 영향을 받아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활용했습니다. 현진건은 '운수 좋은 날'에서 일본 문학의 영향을 받아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활용했습니다. 이들 작가는 번안을 통해 당시 조선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고 새로운 문학 양식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를 통해 근대 소설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
3. 멜로드라마 형식의 특성멜로드라마 형식은 감정적이고 극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요 특성으로는 첫째, 선악 대립의 구도를 통해 극적 긴장감을 조성합니다. 둘째, 과장된 감정 표현과 비극적 결말로 관객의 감정을 자극합니다. 셋째, 주인공의 고난과 역경을 통해 도덕적 교훈을 전달합니다. 넷째, 사회적 약자에 대한 동정심을 불러일으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멜로드라마는 대중적 인기를 얻을 수 있었으며,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1910년대 번안소설에서 이러한 멜로드라마적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방통대]한국문학과 대중문화]24년 2학기 중간과제물_v1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