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학과] 2024-2 식용작물학 기말_벼 품종의 기상생태형, 생태형별 생육특성
본 내용은
"
[농학과] 2024-2 식용작물학 기말_벼 품종의 기상생태형, 생태형별 생육특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25
문서 내 토픽
  • 1. 벼 품종의 기상생태형
    벼 품종은 크게 아시아산 벼와 아프리카산 벼 두 종류로 나뉘며, 아시아산 벼는 인도형, 자포니카형, 자바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벼의 기상생태형은 기본영양생장형, 감광형, 감온형, blt형 4가지로 구분된다. 기본영양생장형은 기본영양생장성이 크고 감광성과 감온성이 작은 품종, 감광형은 감광성이 큰 품종, 감온형은 감온성이 큰 품종, blt형은 세 가지 성질이 모두 작은 품종이다.
  • 2. 온난화에 따른 각 생태형별 생육특성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벼의 호흡이 증가하여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 생산이 증가하지만, 작물 조직의 장해와 호흡 저해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생육초기의 고온은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지만, 생육후기의 고온은 탄수화물 축적 저하와 조기 노화를 유발하여 수량 감소를 초래한다. 특히 생육기간이 긴 중만생종 품종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벼 품종의 기상생태형
    벼 품종의 기상생태형은 벼 재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벼 품종은 기온, 강수량, 일조량 등 기상 조건에 따라 생육 특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한랭형 품종은 저온에 강하지만 고온에 약한 반면, 온난형 품종은 고온에 강하지만 저온에 약합니다. 따라서 지역의 기후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벼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 조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상생태형 벼 품종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 2. 온난화에 따른 각 생태형별 생육특성
    기후변화로 인한 온난화는 벼 품종의 생육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랭형 품종의 경우 고온 스트레스로 인해 생육이 저하될 수 있으며, 온난형 품종은 생육이 증진될 수 있습니다. 또한 중간형 품종은 온난화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온난화에 강한 품종 개발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각 생태형별 생육 특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별 기상 변화를 고려하여 적합한 품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