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통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작업환경측정 출석수업과제물
문서 내 토픽
-
1. 비누거품이 미터 보정 실험1> 펌프의 보정 원리 장치- 보정하고자하는 시료채취여재와 펌프를 뷰렛에 연결한다. (뷰렛-호스-채취여재-호스-펌프)- 펌프를 작동시켜 뷰렛의 내벽을 비누거품으로 충분히 적시고, 비누거품이 뷰렛을 잘 통과하는지 확인한다.- 펌프가 안정되고 비누거품의 이동이 원활하면 펌프보정을 시작한다.- 비누거품이 뷰렛의 일정용량을 지나는 시간을 초시계로 측정하여 기록한다.- 3회 이상 실시한 후 평균을 구한다. 측정시간을 평균한 값으로 뷰렛의 두 눈금 사이의 용적을 나누면 이것이 펌프의 채취유량이다.2> 비누거품이 0에서 500ml 뷰렛부피까지 도달하는 데 걸린시간이 16초였다. 이 펌프의 채취유랑(리터/분)은? = 500ml/16sec × 60sec/min × 1L/1000ml = 1.875 ≒ 1.88L/분
-
2. 사회심리적 유해인자근로자가 근무하는 곳에는 대부분 근로자의 건강에 해를 줄 수 있는 유해인자가 존재한다.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인간공학적, 사회심리적 유해인자들이 있는데, 나는 감정노동이라 표현할 수 있는 콜센터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다. 그 곳에서 가장 많이 노출되어 있었던 사회심리적 유해인자에 대해 설명해보려한다.사회심리적요인에는 따돌림,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나 경쟁, 언어폭력, 괴롭힘 등이 있다. 사회심리적 유해인자의 노출 특성은 눈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업무 속에서 발생하는 상황들과 사람들간의 관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심리적 압박이나 갈등들이 근무자들에게 큰 부담이 된다.내가 콜센터에서 근무 했을 때에도 달마다 개개인의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근무자들의 심리적,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화되었고, 이러한 직무스트레스가 경쟁과 갈등으로까지 이어져 동료와의 관계나 상하관계에 있어서 괴롭힘과 따돌림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이런 사회심리적인 요인은 정신질환이나 PTSD, 불안장애, 우울증 등이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협심증이나 뇌혈관질환, 심근경색으로까지 이어져 직업병으로 인정받을 수도 있는 중대한 사항이라고 한다.
-
3. 공기 중 벤젠 농도 측정벤젠을 노출농도를 알고자 한다. 채취유량이 0.1(리터/분) 09:00 ~ 17:00까지 채취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시료의 앞층에서 1ug, 뒤층에서 0.01이 나왔고, 공시료는 0.001ug, 탈착효율은 99%였다. 벤젠의 노출농도는(ug,m^{3})? 식 : {(1+0.01-0.001)} over {0.048` TIMES `0.99} = {1.009} over {0.04752} =21.23ug/m^{3}
-
4. 공기 중 납 농도 측정납 축전지 제조공정에서 채취유량이 2(리터/분)인 펌프로 8시간동안 공기를 여과지에 채취하였다. 전처리를 거쳐 1ml 추출해서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하니 시료는 3ppm, 공시료는 0.002ppm이었다. 회수율은 99%였다. 납 농도(ug/m^{3})는? 식 : {(3 TIMES 1`-`0.002 TIMES 1)} over {960 TIMES 0.99`} = {2.998} over {950.4} = 0.003mg/m^{3} = 3ug/m^{3}
-
1. 비누거품이 미터 보정 실험비누거품이 미터 보정 실험은 비누거품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유량계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이 실험은 유량계의 교정 및 검증에 활용될 수 있으며, 정확한 유량 측정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실험 과정에서 비누거품의 생성, 거동, 측정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하며, 실험 조건의 정밀한 제어와 측정 기술의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실험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반복 실험과 통계적 분석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2. 사회심리적 유해인자사회심리적 유해인자는 개인의 건강과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요인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요인들로는 직장 내 괴롭힘, 차별,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유해인자들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나아가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회심리적 유해인자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 조직, 정부 차원에서의 정책 및 제도 마련, 교육과 상담 서비스 제공, 그리고 사회적 인식 개선 등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공기 중 벤젠 농도 측정공기 중 벤젠 농도 측정은 대기 오염 관리와 인체 건강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벤젠은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 있어 장기적으로 노출될 경우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농도 측정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측정 방법으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광학 분광 분석 등 다양한 기술이 활용될 수 있으며, 측정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표준화된 측정 프로토콜과 정도관리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측정 결과를 토대로 오염원 관리, 저감 대책 수립 등 종합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공기 중 납 농도 측정공기 중 납 농도 측정은 대기 오염 관리와 인체 건강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납은 중금속 오염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장기적인 노출 시 신경계, 소화기계, 생식기계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농도 측정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측정 방법으로는 원자 흡수 분광법,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석법 등 다양한 기술이 활용될 수 있으며, 측정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표준화된 측정 프로토콜과 정도관리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측정 결과를 토대로 오염원 관리, 저감 대책 수립 등 종합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방송통신대학교 보건환경학과 작업환경측정 출석수업과제물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