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데이터분석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출석수업대체과제물)R ggplot2 패키지에 내장된 mtcars 데이터셋은 32개의 차종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본 내용은
"
R데이터분석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출석수업대체과제물)R ggplot2 패키지에 내장된 mtcars 데이터셋은 32개의 차종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 데이터에 담긴 변수에 관한 설명은 R에서 명령문 ?mtcars를 실행하면 읽을 수 있다.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의 문항에 답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06
문서 내 토픽
-
1. 변속기 종류에 따른 연비 차이 검정변속기의 종류(am)에 따라 연비(mpg)의 평균이 달라지는지 검정한 결과, p-value가 0.001374로 유의수준 0.05보다 작으므로 변속기 종류에 따라 연비가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2. 실린더 수에 따른 연비 분포 차이실린더 수(cyl)에 따른 연비(mpg)의 분포 차이를 상자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실린더 수가 증가할수록 연비가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
3. 실린더 수에 따른 연비 평균 차이 검정실린더 수(cyl)에 따라 연비(mpg)의 평균이 달라지는지 검정한 결과, p-value가 1.271e-06으로 유의수준 0.05보다 작으므로 실린더 수에 따라 연비 평균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4. 연비와 마력의 산점도 및 상관관계 분석연비(mpg)와 마력(hp)의 산점도를 그린 결과, 두 변수 간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피어슨 상관계수 계산 결과 -0.776으로 강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5. 연비와 마력의 선형회귀분석연비(mpg)를 종속변수, 마력(hp)을 독립변수로 하는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F-검정통계량 값이 45.46이고 이에 따른 p-값이 1.788e-07로 유의수준 0.05보다 매우 작아 회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마력이 증가할수록 연비는 감소한다.
-
6. 연비 그룹과 엔진모양의 독립성 검정연비를 3개 그룹(18이하, 18초과 24이하, 24초과)으로 나누고, 엔진모양(vs) 변수와의 독립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p-value가 0.001569로 유의수준 0.05보다 작아 두 변수가 서로 독립이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였다. 즉, 연비 그룹과 엔진모양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
-
1. 주제2: 실린더 수에 따른 연비 분포 차이실린더 수에 따른 연비 분포 차이를 분석하는 것은 자동차 연비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수가 많은 엔진은 더 큰 배기량과 출력을 가지므로, 실린더 수에 따른 연비 분포 차이를 분석하면 엔진 성능과 연비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자신의 운전 목적과 선호도에 맞는 엔진 사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 정책 수립 시에도 실린더 수에 따른 연비 분포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2. 주제4: 연비와 마력의 산점도 및 상관관계 분석연비와 마력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자동차 성능과 연비의 상충관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마력이 높은 고성능 차량은 연비가 낮은 경향이 있지만, 이러한 관계가 항상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연비와 마력의 산점도 및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이들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자신의 운전 목적과 선호도에 맞는 차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정부 정책 수립 시에도 연비와 마력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연비 그룹과 엔진모양의 독립성 검정연비 그룹과 엔진모양의 독립성 검정은 자동차 연비와 엔진 설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접근 방식입니다. 엔진모양(예: 직렬, V형, 수평대향 등)은 엔진 성능과 효율에 영향을 미치므로, 연비 그룹과 엔진모양 간의 독립성 검정을 통해 이들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자신의 운전 목적과 선호도에 맞는 엔진 모양을 가진 차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 정책 수립 시에도 연비와 엔진모양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으며, 자동차 제조업체의 연구개발 방향 설정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