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사회 2024 기말] 김희경(2022) 이상한 정상가족 동아시아 독후감
문서 내 토픽
  • 1. 체벌
    사람들은 학대는 나쁘지만 아이를 키우다 보면 때리지 않고 키우기 어렵다고 말한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실시한 <2016년 국민 인권의식조사>에 의하면 국민 절반가량이 아동, 청소년을 처벌해도 된다고 하였다. 평소 체벌을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이 극도의 양육 스트레스를 받으면 스트레스가 촉매제가 되어 학대로 치닫게 된다는 것이다. 반면 체벌을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부모들은 양육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상황에서도 학대로 치닫는 경우가 없었다. 끔찍한 학대와 훈육 목적의 체벌은 상관있다. 국가가 체벌을 금지하면 학대도 줄어든다고 한다.
  • 2. 아동 학대
    부모의 훈육적 체벌은 의도가 선하기 때문에 신체의 온전성 및 인간존엄성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주장은 사실상 부모 중심, 성인 중심인 해석일 뿐이다. 체벌은 언제나 단 하나의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한다. 바로 체벌이 언제라도 반복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체벌은 교육적으로 별 효과가 없고 아이들에게 정서적으로 큰 피해만 입힌다.
  • 3. 아동 권리
    우리나라는 조선시대에 아이를 체벌로 다스렸다. 그리고 서양에서도 근대에는 어린이에게 체벌을 사용했다. 북유럽국가들이 가장 먼저 체벌을 금지했다. 스웨덴이 세계 최초로 1979년 가정 내 체벌을 법으로 금지했고, 그 뒤 유럽국가들이 줄을 이었다. 1989년에는 <유엔아동권리협약>으로 국가가 법으로 체벌을 금지해야 한다고 정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체벌
    체벌은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체벌은 아동에게 폭력이 용인된다는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하며, 아동의 자존감과 신뢰감을 훼손할 수 있습니다. 대신 긍정적인 훈육 방법을 사용하여 아동의 행동을 개선하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체벌 대신 대화와 이해, 그리고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는 적절한 훈육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2. 아동 학대
    아동 학대는 아동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하고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학대 피해 아동은 평생 그 트라우마에 시달릴 수 있으며, 이는 개인과 사회에 큰 부담이 됩니다. 따라서 아동 학대를 예방하고 피해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법적 조치와 사회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학대 가해자에 대한 엄중한 처벌과 함께 피해 아동에 대한 체계적인 치료와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 3. 아동 권리
    아동은 성인과 동등한 기본적 인권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보장받아야 합니다. 아동의 생존권, 발달권, 보호권, 참여권 등 모든 권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아동 권리 보장을 위한 법제도를 마련하고, 아동의 권리 침해 사례에 대한 신속하고 엄중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아동의 권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아동이 자신의 권리를 스스로 주장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간과사회 2024 기말] 김희경(2022) 이상한 정상가족 동아시아 독후감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