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클라우드 컴퓨팅 출석수업 과제물
본 내용은
"
클라우드 업체 엔지니어가 작성한 2024 클라우드 컴퓨팅 출석수업 과제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8
문서 내 토픽
-
1. 가상화 방식 비교호스트 가상화, 하이퍼바이저 가상화, 컨테이너 가상화 각각의 설명과 특징을 비교하였습니다. 호스트 가상화는 OS 위에서 가상화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방식으로 호스트 OS와 게스트 OS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지만 호스트 OS 리소스 점유율이 높고 벤더 락 문제가 있습니다. 하이퍼바이저 가상화는 하이퍼바이저가 OS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리소스 사용률이 작고 스케일 확장에 유리하지만 각 VM마다 OS를 설치해야 합니다. 컨테이너 가상화는 OS 커널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리소스 사용이 적고 애플리케이션 배포가 쉽지만 보안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2.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의 각 서비스 모델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IaaS는 물리적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OS부터 관리하며, PaaS는 OS 위에 런타임 환경까지 제공하는 서비스로 코드만 작성하면 됩니다. SaaS는 이미 만들어진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인프라와 코드에 대한 관리가 필요 없습니다.
-
3.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전환 시 고려사항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습니다. 1) 네트워크 트래픽, 스토리지, 모니터링 비용 발생 2) 보안 규제 준수 여부 확인 3) 벤더 락인 방지를 위한 다중 CSP 사용 4) 리소스 모니터링 및 경보 설정 5) 데이터 이전 시 보안 규정 준수 여부 확인
-
1. 가상화 방식 비교가상화 방식에는 크게 전체 시스템을 가상화하는 전체 가상화(Full Virtualization)와 운영체제 수준에서 가상화를 수행하는 반가상화(Para-Virtualization), 그리고 하드웨어 지원 가상화(Hardware-Assisted Virtualization)가 있습니다. 전체 가상화는 가상 머신이 실제 하드웨어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기존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수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성능 오버헤드가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가상화는 운영체제 커널을 수정하여 가상화를 수행하므로 전체 가상화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지만, 기존 운영체제를 수정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드웨어 지원 가상화는 CPU에서 가상화를 지원하므로 성능 오버헤드가 적고 기존 운영체제를 수정할 필요가 없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가상화 방식입니다. 각 가상화 방식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사용 목적과 환경에 맞는 가상화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
2.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에는 크게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가 있습니다. IaaS는 가상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 등의 인프라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로, 사용자가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관리합니다. PaaS는 개발 및 배포를 위한 플랫폼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로,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배포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SaaS는 소프트웨어 자체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로,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직접 설치하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각 모델은 사용자가 관리해야 하는 범위가 다르므로, 사용 목적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모델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IaaS는 인프라 관리가 필요한 경우, PaaS는 플랫폼 관리가 필요한 경우, SaaS는 소프트웨어 관리가 필요 없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
3.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전환 시 고려사항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전환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비용 측면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비용이 온프레미스 운영 비용보다 저렴한지 검토해야 합니다. 둘째, 보안 및 규제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보안 수준과 데이터 처리 방식이 기업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셋째, 기존 온프레미스 시스템과 클라우드 서비스 간의 호환성과 연동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넷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운영 및 관리 방식의 변화를 검토해야 합니다. 다섯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직원 교육 및 조직 문화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의 전환 여부와 전환 방식을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