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수여상 공정과 산화지 공정의 환경미생물 관점 비교
본 내용은
"
살수여상 공정과 산화지 공정을 환경미생물의 관점에서 서로 비교하여 서론, 본론 및 결론으로 논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8
문서 내 토픽
  • 1. 살수여상 공정
    살수여상 공정은 하수를 처리하는 생물처리법으로, 쇄석이나 플라스틱 여과제에 폐수를 흘려보내면 여과재 표면에 사는 여러 가지 미생물이 여과재 사이를 흐르는 폐수의 오염물질을 흡착, 산화 분해하는 방법이다. 생물막에는 세균, 조류, 원생동물, 균류, 미소후생동물 등이 존재하며, 이들이 유기물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살수여상 공정은 건설비와 유지비가 적고 온도 영향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체류시간이 짧아 유기물이 방류될 수 있고 겨울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 2. 산화지 공정
    산화지 공정은 호기성생물처리법의 일종으로, 조류의 광합성에 의해 발생된 산소와 공기 중에서 용해된 산소로 호기성을 유지하여 배수 내 유기물을 호기성세균에 의해 산화분해시키는 방법이다. 산화지 공정에서는 조류, 세균, 미소후생동물이 공생관계를 이루며 유기물 제거에 기여한다. 산화지 공정은 환경적이고 생태학적 다양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큰 면적이 필요하고 수질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살수여상 공정
    살수여상 공정은 폐수 처리 기술 중 하나로, 폐수를 여과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이 공정은 폐수 내 부유물질, 유기물, 질소, 인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생물학적 처리 공정 전에 적용하면 후단 공정의 부하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또한 여과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추가 처리를 통해 자원화할 수 있어 환경적으로도 바람직합니다. 다만 여과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크고 주기적인 여과재 교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산화지 공정
    산화지 공정은 폐수 내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하여 제거하는 기술입니다. 이 공정은 폐수를 호기성 미생물이 존재하는 산화지에 통과시켜 유기물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질소와 인 제거에도 효과적입니다. 특히 질산화와 탈질산화 과정을 통해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슬러지 발생량이 적고 운전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처리 효율이 유기물 농도, 온도, pH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아 안정적인 운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공정 최적화 및 자동화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