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 2024년 2학기 농학과 식물분류학 중간과제
본 내용은
"
방송통신대 2024년 2학기 농학과 식물분류학 중간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7
문서 내 토픽
  • 1. 밤나무
    밤나무는 참나무목 참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밤을 열매로 맺는 나무이다. 주로 난대 중부에서부터 온대 북부에서 자라며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고, 일본과 만주 지방에도 분포한다. 밤나무는 낙엽 목이며 높이가 약 15m 정도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암갈색 또는 암회색이며,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10~20cm의 타원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다. 열매인 밤은 견과로 갈색 또는 암갈색의 넓은 난상이며, 끝에는 암술대의 흔적이 남아있다. 밤은 길이 1~1.5cm정도 되는 빽빽한 가시가 있는 겉껍질로 둘러 쌓여 있으며, 밤이 익으면 4갈래로 벌어지며 속열매가 드러난다. 밤나무는 암수한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새로나는 가지의 밑부분 잎겨드랑이에서 길다란 미상화서에 무리지어 핀다.
  • 2. 사과나무
    사과나무는 장미과의 낙엽성 활엽 소교목이며 15m 정도로 자란다. 어긋나기하는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형이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으며 엽맥위에 털이 있다. 꽃봉오리는 붉은색이며, 가지 끝 잎겨드랑이에서 잎이 나올 때 흰색 또는 연분홍색 양성화가 핀다. 수술은 여러 개이고, 암술대는 3~5개이고 흰털이 나 있다. 씨방은 하위이고 꽃턱 속에 들어 있다. 열매인 사과는 꽃턱이 발달한 과육층과 씨방이 발달한 과심부로 되어 있는 위과이며, 편구형이다.
  • 3. 분류군 간 차이점
    밤나무는 참나무과 밤나무속, 사과나무는 장미과 사과나무속으로 식물분류체계상 서로 구분하는 과 자체가 다르다. 그러므로 이 두 나무는 다르게 발전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밤나무는 견과류를 생산하며, 자웅동주 식물로 수꽃과 암꽃이 한그루에서 자라지만 자기불화합성이 강해 외부의 수분 매개체가 필요하다. 사과나무 또한 자기불화합성을 가지지만 암꽃과 수꽃이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암술과 수술이 동시에 있는 양성화이다. 이처럼 밤나무와 사과나무는 분류학적 계통에서부터 매우 다른 식물로서 분류학적, 생리적, 재배적 차이점을 가지며, 그에 따른 경제적인 중요성도 다르게 나타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밤나무
    밤나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낙엽활엽수 중 하나입니다. 밤나무는 높이 자라며 넓은 잎을 가지고 있어 그늘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밤나무는 가을이 되면 맛있는 밤을 생산하여 우리에게 큰 혜택을 줍니다. 밤나무는 단단한 목재를 가지고 있어 가구 제작이나 건축 자재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밤나무는 우리 생활에 다양한 방면으로 기여하고 있어 매우 중요한 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사과나무
    사과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재배되는 과수 중 하나입니다. 사과나무는 봄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가을에는 달콤한 과일을 맺습니다. 사과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건강에 매우 좋은 과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사과나무는 아름다운 수형을 가지고 있어 조경수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사과나무는 우리나라 과수 산업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우리 생활에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는 중요한 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분류군 간 차이점
    생물 분류학에서 분류군 간의 차이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분류군은 생물을 계, 문, 강, 목, 과, 속, 종 등으로 나누는 단위이며, 각 분류군 간에는 형태적, 유전적, 생태적 특성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포유류와 조류는 척추동물이라는 큰 분류군에 속하지만, 체모와 유선, 알 낳기 등의 특성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처럼 분류군 간의 차이점은 생물 다양성을 이해하고 생물 간의 진화 관계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분류군 간의 차이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생물학 연구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