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무역1 기초거시경제론 기존의 20조원에서 0원으로 20조원만큼 감소하는 경우
문서 내 토픽
-
1. 정부지출 감소에 따른 균형 GDP 및 승수 변화교재의 <표 9-2>에서 정부지출이 기존의 20조원에서 0원으로 20조원만큼 감소하는 경우, 균형 GDP는 200조원에서 120조원으로 감소하고 투자 승수는 4가 된다. 정부지출 감소분 20조원의 4배만큼 균형 GDP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
2. 감세정책에 따른 단기 및 장기 균형 변화정부의 대규모 감세정책으로 가계소비가 증가하면 단기적으로 총수요가 증가하여 경제가 성장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비용 상승으로 인한 총공급 감소로 인해 경제가 초기 수준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는 투자 감소와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
3. 정부지출 및 조세 변화를 통한 균형 GDP 증가한계소비성향이 0.5인 경제에서 균형 GDP를 600조원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지출을 300조원 증가시키거나, 조세를 600조원 감소시켜야 한다. 정부지출 승수는 2, 조세 승수는 -1이기 때문이다.
-
1. 정부지출 감소에 따른 균형 GDP 및 승수 변화정부지출 감소는 단기적으로 균형 GDP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정부지출은 총수요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므로 감소하면 총수요가 줄어들어 균형 GDP가 낮아질 것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정부지출 감소로 인한 재정건전성 개선과 민간부문의 투자 및 소비 증가로 균형 GDP가 다시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지출 감소로 인한 재정적자 축소는 재정승수를 낮추어 균형 GDP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지출 감소에 따른 균형 GDP 및 승수 변화는 단기와 장기에 걸쳐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될 것입니다.
-
2. 감세정책에 따른 단기 및 장기 균형 변화감세정책은 단기적으로 가처분소득 증가를 통해 민간소비를 늘리고 이는 총수요 증가로 이어져 균형 GDP를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재정수지 악화와 국가채무 증가로 인한 금리상승, 투자 감소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균형 GDP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감세정책이 경제주체들의 행동변화를 유발하여 생산성 향상이나 노동공급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장기적인 균형 GDP 증가로 이어지기 어려울 것입니다. 따라서 감세정책의 단기 및 장기 균형 변화에 대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3. 정부지출 및 조세 변화를 통한 균형 GDP 증가정부지출 증가와 조세 감면은 단기적으로 총수요를 증가시켜 균형 GDP를 높일 수 있습니다. 정부지출 증가는 직접적으로 총수요를 늘리고, 조세 감면은 가처분소득 증가를 통해 민간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승수효과를 통해 균형 GDP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재정건전성 악화, 국가채무 증가, 금리상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균형 GDP 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지출 및 조세 변화를 통한 균형 GDP 증가를 위해서는 단기적 효과와 장기적 부작용을 모두 고려하여 균형 있는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
경제무역1 기초거시경제론 기존의 20조원에서 0원으로 20조원만큼 감소하는 경우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