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본 추출 방법 중 판단, 의도적 표본 추출과 할당 표본 추출
본 내용은
"
표본 추출 방법 중 판단, 의도적 표본 추출과 할당 표본 추출에 대해서 설명하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4
문서 내 토픽
  • 1. 판단/의도적 표본 추출
    판단/의도적 표본 추출(purposive sampling)은 조사하고자 하는 모집단을 대표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례를 연구자가 표본으로 선정하는 방법으로, 연구자가 모집단에 관한 지식을 충분히 알고 있는 경우에 적합한 표본추출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질적 연구나 예비조사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연구참여자 선정 기준을 잘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비확률표본추출방법이기 때문에 표집오차 계산이 어렵고 대표성 확인이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 2. 할당표본추출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은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하위집단별로 표본의 수를 배정한 다음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확률표본추출방법 중 층화표본추출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할당표본추출에서도 조사표를 작성하여 표본 선정 시 활용할 수 있으며, 실제 모집단 구성요소가 알려져 있다면 비례 또는 비비례 할당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역주민 대상 욕구조사 시 활용하기 적합한 방법입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판단/의도적 표본 추출
    판단/의도적 표본 추출은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대상을 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표성 및 객관성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 결과의 일반화 및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한계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대상을 선정하되, 가능한 한 무작위 표본 추출 등의 방법을 병행하여 객관성과 대표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연구 설계 단계에서부터 표본 선정 방법에 대한 충분한 고려와 설명이 필요할 것입니다.
  • 2. 할당표본추출
    할당표본추출은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하여 표본을 선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모집단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집단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할당 기준의 선정에 따라 표본의 대표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할당표본추출을 사용할 때는 모집단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할당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연구 결과의 대표성과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할당표본추출과 다른 표본 추출 방법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