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고전의 이해 -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존 롤스의 정의론
본 내용은
"
동서양고전의이해 )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존 롤스의 정의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0
문서 내 토픽
  • 1.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동양의 고전 중 가장 감명 깊게 읽은 고전은 제1강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였다. 내가 현재 믿고 있는 종교는 천주교이지만 신앙과는 별개로 불교라는 종교에 대해서 늘 긍정적인 인식이 있었다. 왜냐하면, 천주교나 개신교를 비롯한 기독교는 하느님을 유일한 신으로 믿으며 그분의 뜻에 따라 선하게 살면 천국으로 갈 수 있다는 교리가 중심인 반면, 불교는 누구나 덕을 쌓고 참선을 한다면 누구든지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러한 차이가 불교가 사람들이 선한 마음을 실천할 수 있도록 더욱 인도를 잘할 수 있지 않나 생각을 했다.
  • 2.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서양의 고전 중 가장 감명 깊게 읽은 고전은 제10강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이었다. 이 책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는 앞서 언급했던 『대승기신론 소·별기』와 비슷하다. 루소가 살고 활동했던 당시 시기는 군주제가 있던 시기였고, 누구나 그것을 당연하게 생각했으며 루소 역시 그런 분위기 속에서 교육을 받으며 자랐을 것이다. 그런데도 기존 체제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그것을 책까지 써서 낼 수 있다는 것은 단순히 똑똑하다는 것을 넘어서 큰 용기를 가진 것이라고 생각했다.
  • 3. 존 롤스의 『정의론』
    동서양 고전 전체 중 가장 비판적으로 읽은 고전은 제15강 존 롤스의 『정의론』이었다. 사실 15개의 고전 모두 나보다 훨씬 더 생각이 뛰어나고 여러모로 고민을 많이 해본 학자들이 저술한 내용이기에 비판할 책을 고른다는 것은 절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럼에도 끝내 『정의론』을 택하게 된 이유는 내가 평소에 하던 생각과 다른 부분이 많았기 때문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는 불교 사상의 핵심 주제인 '일심(一心)'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을 담고 있습니다. 원효는 일심이 모든 존재의 근원이자 진리라고 보았으며, 이를 통해 중생들이 본래 청정한 불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불교 전통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화엄종과 천태종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대승기신론 소·별기』는 불교 사상의 핵심 주제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불교 연구에 있어 중요한 문헌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2.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근대 정치 철학의 고전 중 하나로, 개인의 자유와 평등, 그리고 국가의 정당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루소는 인간이 본래 자유롭고 평등한 존재라고 보았으며, 사회계약을 통해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공동체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프랑스 혁명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으며, 이후 민주주의와 국민주권 사상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사회계약론』은 여전히 정치철학 연구에서 중요한 고전으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 3. 존 롤스의 『정의론』
    존 롤스의 『정의론』은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철학 저작 중 하나입니다. 롤스는 정의의 원칙을 도출하기 위해 '무지의 베일' 뒤에 놓인 합리적 개인들이 선택할 것이라고 가정했습니다. 이를 통해 그는 자유와 평등, 그리고 기회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정의의 두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정의론』은 자유주의와 평등주의의 조화를 모색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며, 이후 정의론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분배 정의와 사회 정의에 대한 논의를 크게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