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에 이르는 지혜 ) 교재를 기준으로 하여 2, 3, 4, 5장 공부 및 요약
문서 내 토픽
-
1. 플라톤의 행복론플라톤은 인간이 좋은 것을 추구하고 행복을 원한다고 말한다. 그는 좋은 것을 가진 사람이 어떻게 그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인간에게 최악의 사태는 불의와 방종과 같은 병든 영혼이며, 좋은 것을 제대로 다룰 줄 아는 성품과 구별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정의로운 국가와 정의로운 영혼의 균형을 강조한다.
-
2.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행위와 선택이 어떤 '좋음'을 목표로 한다고 말한다. 인간의 행복은 이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며, 덕에 따르는 영혼의 활동이라고 설명한다. 재산, 외모, 건강 등의 외적 요소는 행복의 근본이 아니며, 성품의 덕을 중요시한다. 습관을 통해 성품을 완성하고, 관조를 통한 신적인 행복을 추구할 때 완전한 행복에 이를 수 있다고 말한다.
-
3. 스토아 학파의 행복론스토아 학파는 자연의 순리대로 사는 삶을 강조한다. 인간은 우주의 일부이므로 우주의 본성, 즉 인간 본성에 따라 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기화 과정을 통해 우주 만물을 자신의 몸처럼 생각하는 '현자'가 되어야 하며, 덕만을 중요시한다. 올바른 판단을 내리고 자기 영혼의 움직임을 추적해야 한다고 말한다.
-
4. 에피쿠로스의 행복론에피쿠로스는 행복과 쾌락을 동일시한다. 행복한 삶은 쾌락을 최대한 얻고 고통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동적 쾌락과 정적 쾌락을 구분하며, 고통의 해소를 넘어서는 쾌락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소박하고 적은 것에 진심으로 기뻐하고 행복해질 수 있으며,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1. 플라톤의 행복론플라톤의 행복론은 이데아론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르면 진정한 행복은 이데아의 세계에 존재하는 절대적인 선을 인식하고 실현하는 데 있습니다. 플라톤은 감각적 세계에 집착하지 않고 이성적 사유를 통해 이데아의 세계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철학자 왕이 이상적인 통치자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철학자가 이데아의 세계를 깨달아 정의로운 통치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플라톤의 행복론은 이상주의적이고 엘리트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지만, 행복의 본질을 이성적 사유와 도덕적 실천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철학적 견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은 플라톤과 달리 현실적이고 실천적인 성격을 지닙니다. 그는 행복을 인간의 고유한 기능인 이성적 활동의 완성으로 보았습니다. 즉, 행복은 이성적 활동을 통해 덕을 실현하는 데 있다는 것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위해서는 외적 조건들, 예를 들어 건강, 재산, 명예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지만, 이러한 외적 조건들은 행복의 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요조건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진정한 행복은 이성적 활동을 통해 덕을 실현하는 데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은 현실적이면서도 도덕적 차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철학적 견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스토아 학파의 행복론스토아 학파의 행복론은 자연에 순응하고 이성적으로 살아가는 것을 강조합니다. 스토아 학파에 따르면 행복은 외부 환경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적 태도와 행동에 달려 있습니다. 그들은 외부 환경에 대한 집착과 욕망을 버리고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는 것이 행복의 핵심이라고 보았습니다. 또한 이성적 사유와 도덕적 실천을 통해 자신의 내적 자유와 평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스토아 학파의 행복론은 개인의 자율성과 도덕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철학적 견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에피쿠로스의 행복론에피쿠로스의 행복론은 쾌락주의적 성격을 지닙니다. 그에 따르면 행복은 몸과 마음의 평온한 상태, 즉 아타락시아(ataraxia)를 달성하는 데 있습니다. 에피쿠로스는 육체적 쾌락보다는 정신적 쾌락을 더 중요하게 여겼으며, 욕망을 절제하고 자족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이 행복의 핵심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또한 두려움과 불안에서 벗어나는 것이 행복의 필수 조건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에피쿠로스의 행복론은 개인주의적이고 쾌락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지만, 행복의 본질을 정신적 평화와 자족에서 찾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철학적 견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행복에 이르는 지혜 ) 교재를 기준으로 하여 2, 3, 4, 5장을 공부하고 각 장마다 A4지 1매씩 총 4매로 서술하되, 내용은 행복론의 요약, 본인의 감상과 해석가 되도록 작성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