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건창의 <녹언>과 최치원, 신위의 시, 언어의 기능
본 내용은
"
글과생각(기말) ) 1. 이건창의 녹언에서 가장 돋보인다고 판단하는 2개의 대목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고, 작가에게 던지고 싶은 질문을 하나 이상 정리하여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 (13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31
문서 내 토픽
-
1. 이건창의 <녹언>이건창의 <녹언>에서 가장 돋보이는 대목은 꿈속에서 사슴을 만나는 장면과 사슴의 훈계 대목입니다. 작가는 꿈이라는 형식을 빌려 사슴의 입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고 있는데, 이는 김만중의 구운몽과 같은 몽유계 소설의 구성을 활용한 것입니다. 사슴은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가지만, 인간은 이와 대조적인 태도를 보인다. 작가는 이를 통해 사슴의 태도를 본받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
2. 최치원의 <제가야산독서당>과 신위의 <박연>두 작품 모두 지리산 해인사와 개성의 박연폭포라는 빼어난 자연경관 중 물이 흐르는 기세와 소리 등을 시각과 청각을 통해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야산독서당>은 물소리를 통해 속세와 단절하고 싶은 작가의 마음을 드러낸 반면, <박연>은 단순히 경치에 대한 감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3. 로만 야콥슨의 '언어의 여섯 가지 기능'로만 야콥슨이 제시한 언어의 여섯 가지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보적 기능: 화자가 청자에게 내용을 전달하는 기능 2) 표출적 기능: 화자의 감정이나 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 3) 명령적 기능: 청자에게 어떤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기능 4) 친교적 기능: 의사소통의 경로와 분위기를 확인하는 기능 5) 관어적 기능: 언어 자체에 대한 기능 6) 미학적 기능: 메시지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기능
-
4. <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과 <훈민정음해례 서문><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은 중화사상에 심취된 학자들이 한글 창제에 반대한 이유를 여섯 가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반면 <훈민정음해례 서문>은 한글 창제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두 글의 작성자들이 가진 가치관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전자는 중국 중심주의적 관점을, 후자는 백성을 우선으로 하는 관점을 보여줍니다.
-
1. 주제2: 최치원의 <제가야산독서당>과 신위의 <박연>최치원의 <제가야산독서당>과 신위의 <박연>은 모두 자연 속에서의 은거와 수양을 다룬 작품이다. 최치원의 작품은 자연 속에서 독서와 수양을 통해 자신을 수양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신위의 작품은 자연의 아름다움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묘사하며, 자연 속에서 얻는 정신적 안식과 고요함을 표현한다. 두 작품 모두 자연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감상을 보여주며, 당시 문인들의 심미적 취향과 철학적 지향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조선 후기 문인들의 문학적 세계와 사상적 지향을 엿볼 수 있다.
-
2. 주제4: <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과 <훈민정음해례 서문><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과 <훈민정음해례 서문>은 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은 당시 유학자들이 한자 중심의 문화 전통을 고수하고자 했던 모습을 보여준다. 이들은 한자가 지닌 문화적 가치와 전통을 중요하게 여겼기에 새로운 문자 체계의 도입을 반대했다. 반면 <훈민정음해례 서문>은 훈민정음 창제의 필요성과 의의를 설명하며, 백성들의 문자 생활 향상을 위한 국왕의 노력을 보여준다. 이 두 문헌은 당시 지식인 사회 내부의 갈등과 논쟁을 보여주며, 언어와 문자에 대한 상이한 관점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조선 시대 지식인들의 사고와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