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에서 발생한 돌발 해충(2종) 및 약제저항성 해충(2종) 발생 현황과 발생 원인 및 관리방제 대책
본 내용은
"
해충방제학_국내에서 발생한 돌발 해충(2종) 및 약제저항성 해충(2종) 발생 현황과 발생 원인 및 관리방제 대책 1. 국내 발생 돌발해충의 발생 현황과 원인 및 관리방제 대책 1) 꽃매미 2) 갈색날개매미충 2. 국내 발생 약제저항성 해충의 발생 현황과 원인 및 관리방제 대책 1) 벼멸구 2) 끝동매미충 (2)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9
문서 내 토픽
-
1. 갈색날개매미충갈색날개매미충은 노린재목 큰날개매미충과로 1년에 1세대를 경과하며, 기주 가지에 알을 덩어리 상태로 낳고 줄기 속에서 겨울을 보낸다. 5월 중순부터 6월 상순까지 부화하여 7월 중순부터 성충이 되며, 8월 중순부터 알을 낳고 죽는다. 갈색날개매미충은 산란된 가지에 피해를 주어 이듬해 위축 또는 말라죽게 한다. 방제를 위해서는 피해 받은 가지들을 제거하고, 예찰을 철저히 하여 적기에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황색끈끈이 트랩을 활용하여 초기 방제에 효과적이다.
-
2. 꽃매미꽃매미는 노린재목 꽃매미과로 연 1회 발생하며, 5월 상순부터 부화하여 약충시기를 거쳐 7월 하순부터 성충이 된다. 성충은 9월 하순부터 11월 상순까지 알을 낳고 죽는다. 꽃매미는 포도, 배, 복숭아, 사과, 매실 등의 나무줄기 수액을 빨아먹고 배설물로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방제를 위해서는 월동기에 포도나무 껍질을 벗겨 알을 소각하고, 약충기와 성충기에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또한 주변 산야지에서도 방제가 필요하다.
-
3. 벼멸구벼멸구는 벼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으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방제가 어려운 편이다. 벼멸구는 연 2-3세대 발생하며, 약제 사용 증가로 인해 살충제 저항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약제 교호 사용, 천적 활용 등 종합적 방제 전략이 필요하다.
-
4. 끝동매미충끝동매미충은 감귤, 포도 등 과수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으로, 약제 저항성이 강해 방제가 어려운 편이다. 끝동매미충은 연 2-3세대 발생하며, 약제 사용 증가로 인해 살충제 저항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약제 교호 사용, 천적 활용 등 종합적 방제 전략이 필요하다.
-
1. 갈색날개매미충갈색날개매미충은 농작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해충입니다. 이 매미충은 주로 과수원이나 농장에서 발견되며,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어 나무를 말라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농민들의 인식 제고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꽃매미꽃매미는 최근 국내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해충입니다. 이 매미충은 과수와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특히 포도나무와 감나무에 큰 피해를 입힙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민들의 적극적인 방제 활동과 함께 정부의 체계적인 관리 정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친환경적인 방제 기술 개발과 교육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해충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
3. 벼멸구벼멸구는 벼 농사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이 해충은 벼의 잎과 줄기를 가해하여 수확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농민들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정부와 연구기관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해충 관리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벼 농사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끝동매미충끝동매미충은 과수와 농작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해충입니다. 이 매미충은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어 나무를 말라죽게 만들 수 있으며, 특히 감나무와 포도나무에 큰 피해를 줍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농민들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친환경적인 방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정부와 연구기관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해충 관리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
국내에서 발생한 돌발 해충(2종) 및 약제저항성 해충(2종) 발생 현황과 발생 원인 및 관리방제 대책1. 꽃매미 꽃매미는 2006년 관악산에서 최초로 발견된 해충으로 중국에서 유입된 외래해충으로 추정된다. 2008~2009년에는 포도나무와 배, 복숭아, 사과 등 정읍의 과원에서 발생하였다. 당시 발생량은 적었지만 넓은 면적에서 발생했으며, 특히 포도나무의 큰 피해를 주었다. 꽃매미는 30~50개 알을 낳으며 연 1회 발생하지만, 나무줄기나 시멘트 기둥 등...2025.01.25 · 농수산/해양
-
국내에서 발생한 돌발 해충 발생 현황(3종)과 발생 원인 및 관리방제 대책1. 매미나방 매미나방은 날개 길이가 수컷 24~32mm, 암컷 35~45mm이며 암수의 크기와 색깔이 다르다. 2019년 7월 충북 단양군 등에서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해 방제에 어려움을 겪었다. 매미나방 유충은 독모를 지니고 있어 만지거나 닿으면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최근 포충기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매미나방을 포획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2...2025.01.25 · 자연과학
-
해충방제를 위한 화학적 방제에 대해서 설명하고, 국내에서의 약제저항성 해충의 발생 및 피해 현황1. 해충방제를 위한 화학적 방제 화학적 방제는 1940년대 이전만해도 가격이 비싸 사용에 제한이 있었으나 1940년대 이후부터 유기합성 살충제인 DDT가 개발되면서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유기합성살충제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가격이 떨어졌고 이에 따라 방제의 범위가 늘어났다. 화학적 방제를 사용할 경우 살충력이 강하고 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된다는 장점이 ...2025.01.24 · 농수산/해양
-
해충방제위한 화학적방제설명하고 국내에서의 약제저항성 해충의 발생및피해현황과 약제저항성 해충의관리및방제대책 서술하시오1. 약제 저항성 해충의 발생과 피해 현황 약제 저항성 해충의 발생과 피해 현황은 우리의 농업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내에서의 약제 저항성 해충 발생은 다양한 원인과 과정에 의해 일어난다.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약제의 과용이다. 농가들이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과도한 양의 농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해충군에게 약제에 대한 저항성을 획...2025.01.15 · 농수산/해양
-
외래 돌발해충에 대한 정의, 발생현황, 발생원인 및 방제관리 방법1. 외래·돌발해충의 정의와 특징 외래·돌발해충은 생태계 및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는 해충의 일종이다. 외래해충은 본래의 서식지에서 벗어나 새로운 지역으로 들어가는 해충을 의미하며, 돌발해충은 예기치 못한 이유로 대량 번식하거나 생태계에 적응하지 못한 해충을 가리킨다. 외래·돌발해충은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며, 생물...2025.01.25 · 자연과학
-
외래돌발해충에 대한 발생현황, 발생원인 및 방제관리 방법1. 황산개미 황산개미는 온난한 기후를 선호하며,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인간 활동에 의해 국제 무역, 이주, 화물 운송 등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된다. 황산개미는 환경에 적응력이 강하고 번식력이 높기 때문에 빠르게 번식하고 확산할 수 있다. 화학적 방제제를 사용하여 황산개미를 통제하는 것이 일반...2025.01.25 · 농수산/해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