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계데이터과학과 생산관리 2021년 기말과제(만점)
본 내용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계데이터과학과 생산관리 2021년 기말과제(만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5
문서 내 토픽
-
1. 대기행렬 모형을 이용한 최적 기술자 선택평균고장발생간격이 15분이고, 고장으로 인한 고장난 기계당 생산차질비용이 20만 원/시간인 '을'공장이 있다. '을'공장에서 시간당 임금이 각각 16만 원, 24만 원, 32만 원이고, 평균고장처리시간이 각각 12분, 8분, 6분인 기술자 A ~ C 중 한 사람을 고용하려고 할 때, 누구를 고용해야 시간당 임금과 평균 생산차질비용의 합을 최소화하는지 분석하였다.
-
2. 포아송 분포를 이용한 여유기계 대수 결정성능이 같은 기계 여러 대를 가동하고 있는 '갑'공장에서 하루 평균 3대의 기계고장이 포아송분포(Poisson distribution)에 따라 발생하고 있다. 고장에 대비하여 가동시킬 여유 기계가 없을 때 고장건당 1,000만 원의 생산차질비용이 발생하고, 기계 1대를 추가로 보유할 때마다 하루에 500만 원의 비용이 발생한다면, 몇 대의 여유 기계를 보유하는 것이 비용을 최소화하는지 분석하였다.
-
3.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수리장비 렌탈 대수 결정평균고장발생간격이 10분이고, 고장으로 인한 고장난 기계당 생산차질비용이 0.4만 원/분인 '병'공장이 있다. '병'공장에서 렌탈로 보유하려는 수리장비는 고장난 기계 한 대를 수리하는 데 평균적으로 9분이 소요되며, 렌탈료는 장비 한 대당 한 시간에 3만 원이다. '병'공장이 하루 8시간씩 주5일 운영될 때, 2주 동안의 수리 장비 렌탈료와 생산차질비용의 합을 최소화하기 위해 렌트해야 할 수리장비 대수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
4. 안전재고 계산 공식 증명수요와 인도기간(leadtime)이 모두 불확실할 때(확률변수일 때), 안전재고를 계산하는 공식(교재 p.173)을 증명하였다. 안전재고의 정의, 계산 방법, 평가 등을 통해 안전재고 계산 공식의 원리를 설명하였다.
-
1. 대기행렬 모형을 이용한 최적 기술자 선택대기행렬 모형은 기술자 선택 문제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모형을 통해 기술자의 수, 서비스 속도, 대기 시간 등을 분석하여 최적의 기술자 선택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객 만족도와 운영 비용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다만 실제 상황에서는 기술자의 숙련도, 작업 난이도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하므로, 대기행렬 모형을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다른 분석 기법과 함께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
2. 포아송 분포를 이용한 여유기계 대수 결정포아송 분포는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여유기계 대수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통계적 모형입니다. 이 모형을 통해 고장률, 수리 시간 등의 확률 분포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정 여유기계 대수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생산 중단 위험을 최소화하면서도 과도한 투자를 방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가능합니다. 다만 실제 상황에서는 기계 고장 패턴, 수리 인력 및 부품 가용성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하므로, 포아송 분포 모형을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3.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수리장비 렌탈 대수 결정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수리장비 렌탈 대수를 결정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법입니다. 이 기법을 통해 고장률, 수리 시간, 수요 변동 등 다양한 확률 변수를 고려하여 최적의 렌탈 대수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과도한 렌탈 비용을 방지하면서도 생산 중단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가능합니다. 다만 실제 상황에서는 계약 조건, 공급업체 신뢰도, 대체 수리 방안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하므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4. 안전재고 계산 공식 증명안전재고 계산 공식은 수요와 공급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적정 재고 수준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공식의 증명을 통해 재고 관리 이론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수요와 리드타임의 확률 분포, 서비스 수준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안전재고 계산 공식을 도출하는 과정은 매우 의미 있을 것 같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재고 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