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간호학과-정신건강과간호(3학년1학기중간과제물)
본 내용은
"
방통대 간호학과-정신건강과간호(3학년1학기중간과제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2
문서 내 토픽
-
1. 삼환계 항우울제의 작용기전삼환계 항우울제는 가장 오래된 항우울제로써 구조적 세 개의 고리를 가지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주요 작용으로 신경세포 말단에서 분비된 신경전달물질들이 다시 신경세포로 재흡수되어 농도가 낮아져 활성이 없어지게 되고, 신경 세포 말단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차단해 시냅스 내 신경전달물질의 농도를 증가시켜 우울증상과 기능장애를 개선한다. 도파민의 재흡수 또한 일부 차단한다.
-
2. 삼환계 항우울제 약물의 종류삼환계 항우울제에 해당하는 약물의 종류로는 Clomipramine(그로민, 네노마정, 클로잭정), Nortriptyline(센시발), Imipramine(이미프라민염산염), Dosulepin(도술레핀염산염), Amitriptyline(에트라빌, 에나폰), Amoxapine(아디센) 등이 있다.
-
3. 이미프라민의 효능과 부작용이미프라민의 효능은 신경세포 말단에서 분비된 신경전달물질들이 다시 신경세포로 재흡수되어 농도가 낮아지고, 활성이 없어지게 되며, 신경 세포 말단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차단하여 우울증상과 기능장애를 개선하는 것이다. 부작용으로는 강한 항콜린 효과로 인한 졸림, 권태, 떨림, 입마름, 변비, 현기증, 성기능 장애, 체중 증가, 심혈관계 질환(QT 연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4. 아미트리프틸린의 효능과 부작용아미트리프틸린의 효능은 아세틸콜린수용체에 아세틸콜린과 경쟁적으로 결합해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차단해 부교감신경계를 억제하고, 심박동수와 심박출량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추며, 위장관 기능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부작용으로는 강한 항콜린 효과로 인한 졸림, 권태, 떨림, 입마름, 변비, 현기증, 성기능 장애, 체중 증가, 심혈관계 질환(QT 연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5. 항우울제 복용 시 간호중재항우울제 복용 시 간호중재로는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해 2주에서 4주 이상이 지나야 하므로 이 기간 동안 약을 중단하지 않도록 교육, 신경전달물질의 변화가 일어나는 기간 6개월 이상, 보통 1년 이상으로 보고 약물을 꾸준히 복용하도록 설명, 부작용 관리, 금단증상 관리, 상호작용 약물 교육, 꾸준한 복용 확인 등이 필요하다.
-
1. 삼환계 항우울제의 작용기전삼환계 항우울제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시냅스 간극에 이들 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항우울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우울증 환자의 기분, 동기, 집중력 등이 개선됩니다. 또한 삼환계 항우울제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히스타민 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으로 진정, 항콜린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는 삼환계 항우울제의 효과와 부작용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2. 삼환계 항우울제 약물의 종류대표적인 삼환계 항우울제에는 이미프라민, 아미트리프틸린, 클로미프라민, 노르트리프틸린, 도세핀 등이 있습니다. 이들 약물은 화학구조상 유사하지만 약물동력학적 특성과 부작용 프로파일에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프라민은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 효과가 강하고, 아미트리프틸린은 항콜린성 부작용이 더 강합니다. 따라서 환자의 증상과 특성에 따라 적절한 삼환계 항우울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관리에도 각 약물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3. 이미프라민의 효능과 부작용이미프라민은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 효과가 강해 우울증, 공황장애, 강박장애 등의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특히 우울증 환자의 기분, 동기, 집중력 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이미프라민은 항콜린성 부작용(구갈, 변비, 시력 저하 등), 진정 효과,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심혈관계 부작용(부정맥, 저혈압 등)과 자살 충동 등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미프라민 투여 시 부작용 모니터링과 함께 용량 조절, 병용 약물 관리 등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
4. 아미트리프틸린의 효능과 부작용아미트리프틸린은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 효과가 강해 우울증, 신경병성 통증, 편두통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특히 우울증 환자의 기분, 수면, 식욕 등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아미트리프틸린은 항콜린성 부작용(구갈, 변비, 시력 저하 등)이 심하고, 진정 효과, 체중 증가, 심혈관계 부작용(부정맥, 저혈압 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살 충동 등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아미트리프틸린 투여 시 부작용 모니터링과 함께 용량 조절, 병용 약물 관리 등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
5. 항우울제 복용 시 간호중재항우울제 복용 시 간호사는 다음과 같은 중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첫째,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을 통해 구갈, 변비, 어지러움, 졸음 등의 부작용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합니다. 둘째, 약물 복용 순응도 향상을 위해 복용법, 주의사항 등을 교육하고 정기적인 복약 확인을 실시합니다. 셋째, 자살 위험 평가와 함께 환자 및 보호자 교육을 통해 자살 징후를 파악하고 대처합니다. 넷째, 우울증 증상 호전을 위해 환자의 기분, 수면, 식욕 등을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의사와 협력하여 약물 용량 조절 등의 중재를 제공합니다. 이와 같은 간호중재는 항우울제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