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설명
본 내용은
"
글쓰기 )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1
문서 내 토픽
  • 1. 작다와 적다의 차이
    '작다'는 크기나 부피가 일정 기준보다 작을 때 사용하는 형용사이다. 반면, '적다'는 수량이나 빈도가 일정 기준보다 적을 때 사용하는 형용사이다. '작다'는 물리적인 차원에서, '적다'는 양적인 차원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 상자는 너무 작아서 모든 책을 담을 수 없어.'와 '이 파티에 온 사람들이 예상보다 적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2. 틀리다와 다르다의 차이
    '틀리다'는 주로 정답이나 올바른 것과 비교했을 때 잘못되었거나 오류가 있음을 나타낸다. '다르다'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않고 차이가 있음을 객관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한다. '틀리다'는 오류를 지적할 때, '다르다'는 단순한 차이를 설명할 때 쓰인다. 예를 들어 '답이 틀렸으니 다시 풀어보세요.'와 '우리의 의견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해야 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3. 돋우다와 돋구다의 차이
    '돋우다'는 감정, 욕구, 흥미 등을 자극하여 더욱 높이거나 강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흥미나 욕구를 자극해서 더욱 강하게 만들 때 이 단어를 사용한다. 반면, '돋구다'는 주로 안경의 도수를 높이는 등의 매우 구체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며, 감정이나 욕구를 자극하는 맥락에서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예를 들어 '영화의 긴장감 넘치는 음악이 관객의 흥미를 돋우었다.'와 '친구는 눈이 점점 더 나빠져 안경 도수를 돋구어야 할 상황에 이르렀다고 털어놓았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4. 임신부와 임산부의 차이
    '임신부'는 임신한 여성을 의미하는 반면, '임산부'는 임신 중이거나 출산 직후의 여성을 포괄하는 표현이다. 따라서 '임산부'는 임신 기간 전체와 출산 직후를 아우르는 넓은 의미를 가지며, '임신부'보다 더 포괄적인 단어이다. '임신부'는 임신 상태에 초점을 맞춘 단어로, 임신한 여성을 직접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지하철에서 임산부 좌석은 임신 중이거나 출산 직후의 여성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 5. 척하다와 체하다의 차이
    '척하다'는 자신이 실제로는 그렇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태도나 성격, 상태 등을 일부러 흉내 내거나 꾸며서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적 상황에서의 대인 관계나 태도에 주로 사용된다. 반면, '체하다'는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거나 몸에 맞지 않아 불편함을 겪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주로 건강 상태와 관련된 문제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는 모임에서 자신이 전문가인 척하며 사람들 앞에서 자랑했다. 하지만, 집에 돌아온 후 그는 과식으로 인해 체하고 말았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작다와 적다의 차이
    작다와 적다는 크기나 양의 정도를 나타내는 말로, 그 의미가 다릅니다. '작다'는 어떤 대상의 크기가 보통보다 작은 것을 의미하며, '적다'는 어떤 대상의 양이나 정도가 보통보다 적은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작은 집'은 보통 크기보다 작은 집을 말하고, '적은 돈'은 보통 양보다 적은 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작다와 적다는 크기와 양을 나타내는 말로 구분되며,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 2. 틀리다와 다르다의 차이
    틀리다와 다르다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틀리다'는 어떤 것이 잘못되거나 옳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다르다'는 두 개 이상의 대상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답안이 틀렸다'는 답안이 잘못되었음을 의미하고, '그 사람은 나와 다르다'는 그 사람이 나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틀리다는 옳고 그름을, 다르다는 차이를 나타내는 말로 구분됩니다.
  • 3. 돋우다와 돋구다의 차이
    돋우다와 돋구다는 모두 어떤 것을 높이거나 부각시키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그 사용법이 다릅니다. '돋우다'는 어떤 대상의 높이나 크기를 높이거나 부각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돋구다'는 어떤 대상의 특성이나 성질을 부각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불을 돋우다'는 불꽃을 높이 올리는 것을 의미하고, '그의 장점을 돋구다'는 그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돋우다와 돋구다는 대상의 높이와 특성을 부각시키는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
  • 4. 임신부와 임산부의 차이
    임신부와 임산부는 모두 임신 중인 여성을 지칭하는 말이지만, 그 의미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임신부'는 임신 중인 여성 전반을 지칭하는 말이며, '임산부'는 출산을 앞둔 임신 후기의 여성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즉, 임신부는 임신 초기부터 후기까지의 여성을 포괄하는 용어이고, 임산부는 출산을 앞둔 임신 후기의 여성을 특정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임신부와 임산부는 임신 단계에 따라 구분되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척하다와 체하다의 차이
    척하다와 체하다는 모두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이나 태도가 실제와 다른 것을 의미하지만, 그 의미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척하다'는 실제로는 그렇지 않지만 그렇게 보이거나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체하다'는 실제로는 그렇지 않지만 그렇게 행동하거나 태도를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아픈 척하다'는 실제로는 아프지 않지만 아픈 것처럼 행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무관심한 체하다'는 실제로는 관심이 있지만 무관심한 것처럼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척하다와 체하다는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이나 태도가 실제와 다른 것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그 의미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