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셜미디어 2022년 2학기 출석수업과제: 개방형, 준폐쇄형, 폐쇄형 소셜미디어 비교 분석
본 내용은
"
[소셜미디어 2022년 2학기 출석수업과제] 개방형 소셜미디어인 인스타그램, 준폐쇄형인 페이스북, 폐쇄형 소셜 미디어인 카카오톡의 서비스 특성과 장단점을 비교하여 분석해 보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0
문서 내 토픽
-
1. 개방형 소셜미디어 - 인스타그램인스타그램은 페이스북의 자회사로 최근 여러가지 기능 업데이트를 통하여 사용자가 사진을 수정하거나 임시저장 및 삭제를 할 수 있도록 했고, 동영상 기능으로는 방송 직후 영상이 사라지는 '인스타그램 라이브'를 제공하여 순간을 포착하고 공유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개방형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인스타그램의 장점은 친구를 반드시 맺지 않아도 해시태그 또는 둘러보기 등을 통하여 다양한 게시물을 확인할 수 있고 여러가지 공개된 정보를 얻기 쉬우며, 세계적인 소통이 가능하다. 하지만 개인정보 노출의 위험이 있어서 주의해야 하며 다양한 사람의 댓글로 인해 상처받을 수도 있다.
-
2. 준폐쇄형 소셜미디어 - 페이스북페이스북은 초기에 .edu메일(학교기반)만 가입이 가능하여 연결관계의 사용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오프라인의 인맥을 중심으로 이용자 간의 '친구 맺기'가 형성되어 상호 간 친구 맺기의 동의(수락)가 필요하다. 페이스북의 장점은 내가 알고 있는 정보를 중심으로 친구를 맺는 것이 가능하여 관심분야에 관련된 사람들과 소통이 수월하고, 친구를 맺을 시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개인정보 노출의 위험이 적다.
-
3. 폐쇄형 소셜미디어 - 카카오톡카카오톡은 자신의 연락처 중심으로만 소통이 가능하고 친구 추가를 위해서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나 아이디를 알아야한다. 카카오톡에 있는 '플러스 친구' 기능은 개방형 미디어의 '구독' 개념과 다르고 주로 마케팅 혹은 홍보를 위해 개설되어 양방향 소통 방법이 없다는 점에서 실질적 소셜 네트워크의 확장이라 볼 수 없다. 카카오톡의 장점은 기존에 문자 보내는 것을 대신할 수 있다는 점과 문자와 함께 이모티콘 전송이 가능하고 오프라인 인맥과 온라인 상에서도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
1. 개방형 소셜미디어 - 인스타그램개방형 소셜미디어인 인스타그램은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장점을 제공합니다. 첫째, 누구나 쉽게 계정을 만들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어 개인의 창의성과 자기표현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 해시태그와 팔로우 기능을 통해 관심사에 따른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어 소통과 교류의 기회가 풍부합니다. 셋째, 다양한 사진 및 동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자신만의 독특한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개방성은 가짜뉴스, 혐오 발언,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플랫폼 운영자와 사용자 모두가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
2. 준폐쇄형 소셜미디어 - 페이스북준폐쇄형 소셜미디어인 페이스북은 개인정보 보호와 안전한 소통 환경 제공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친구 관계 중심의 네트워크 구조로 인해 사용자들 간의 신뢰도가 높고 프라이버시가 보장됩니다. 둘째, 그룹 기능을 통해 관심사에 따른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어 소통과 교류의 기회가 풍부합니다. 셋째, 알고리즘 기반의 뉴스피드 제공으로 사용자들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폐쇄성은 정보 확산의 제한, 필터버블 현상, 가짜뉴스 확산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플랫폼 운영자와 사용자 모두가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
3. 폐쇄형 소셜미디어 - 카카오톡폐쇄형 소셜미디어인 카카오톡은 사용자들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소통 환경을 제공합니다. 첫째, 친구 관계 중심의 네트워크 구조로 인해 사용자들 간의 신뢰도가 높고 프라이버시가 보장됩니다. 둘째, 1:1 대화, 단체 채팅방, 공유 기능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소통이 가능합니다. 셋째, 카카오톡 계정과 연동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폐쇄성은 정보 확산의 제한, 새로운 관계 형성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플랫폼 운영자와 사용자 모두가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