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기말과제물 데이터시각화
본 내용은
"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기말과제물 데이터시각화)뉴스에 데이터 시각화가 쓰인 사례를 찾아서 다음을 작성하시오 2015년 1월 2일부터 2024년 3월 21일까지 원/달러 환율과 원/100엔 환율의 변화를 선그래프로 시각화하시오 세계 지도를 그리시오 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6
문서 내 토픽
-
1. 뉴스에 데이터 시각화 사례이 데이터 시각화는 1900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의 눈으로 본 세계에 대한 차트이다. 뉴욕 타임즈의 741,681개의 섹션 전면 헤드라인을 분석하여, 1900년부터 2018년까지 매월 전 세계에서 미국인들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국가가 어디인지 보여준다. 또한 각 연도와 관련하여 페이지의 좌측에는 해당 연도에 해당하는 헤드라인 기사를 3개 보여주면서, 실제로 어떤 이유에서 미국의 관심을 그 국가가 끌게 되었는지 알게 해준다. 흥미로운 사실은 20세기 초에는 영국의 주요 관심 국가였는데, 2000년 이후에는 중국이 미국의 최우선 관심국임을 차트를 통해 쉽게 알게 된다.
-
2. 원/달러 환율과 원/100엔 환율 변화 시각화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http://ecos.bok.or.kr)의 '통계검색'에서 [3. 환율/통관수출입/외환보유액 > 3.1 환율 > 3./1.1 일일환율 > 3.1.1.1 주요국 통화의 대원화환율]을 선택하고, 통계항목에서 '원/미국달러(매매기준율)'과'원/일본엔(100엔)'을 체크한 후, '선택한 목록 조회'을 클릭하여 2015년 1월 2일부터 2024년 3월 21일로 날짜를 선택하고 과거순으로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꺽은선 그래프로 시각화하였다.
-
3. 세계 지도 시각화Natural Earth는 공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무료 오픈 소스 데이터셋이다. Natural Earth는 국가 경계, 물리적 특징, 문화적 특징과 같은 다양한 축척과 테마를 제공하여 지도 작성 및 공간 데이터 분석에 유용하다. 이 데이터셋은 세계 지도, 국가 및 지리적 지역 경계, 해안선, 강 및 호수, 도시 위치 및 기타 지리적 특성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https://www.naturalearthdata.com/downloads/ 에서 e_110m_admin_0_countries.shp 등의 파일을 다운받아 이 데이터를 시각화한다.
-
1. 뉴스에 데이터 시각화 사례데이터 시각화는 복잡한 정보를 쉽고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뉴스 보도에 매우 유용합니다. 시각화를 통해 독자들은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데이터의 추세와 패턴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통계 데이터, 지리 정보, 시계열 데이터 등을 시각화하면 뉴스의 설득력과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시각화 기법을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정보를 왜곡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특성과 보도 목적에 맞는 적절한 시각화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시각화 요소들이 뉴스 내용을 보완하고 강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
2. 원/달러 환율과 원/100엔 환율 변화 시각화환율 변화를 시각화하는 것은 경제 동향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원/달러 환율과 원/100엔 환율은 우리나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 환율의 변화 추이를 시계열 그래프나 꺾은선 그래프로 나타내면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환율 변동의 패턴, 주요 변동 요인, 환율 변화가 미치는 영향 등을 시각화하면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만 환율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축척과 단위를 선택해야 하며, 환율 변화의 맥락을 함께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율 변화가 기업, 소비자, 정부 정책 등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시각화하면 더욱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3. 세계 지도 시각화세계 지도 시각화는 지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국가, 대륙, 주요 도시 등의 위치와 크기, 국경선, 주요 교통로 등을 지도에 표현하면 독자들이 전 세계의 공간 구조와 지리적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도에 다양한 통계 데이터를 함께 시각화하면 국가 간 비교, 지역 간 격차, 변화 추이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가별 GDP, 인구, 기후, 자원 분포 등을 지도에 표현하면 전 세계의 지리 정보와 경제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도 시각화 시 축척, 투영법, 색상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정보의 왜곡을 최소화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