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과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
본 내용은
"
6주차 사티어의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에서 근래의 비일치적 의사소통 방식을 발동시킨 상황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2
문서 내 토픽
  • 1.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사티어는 의사소통을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으로 중요하게 여겼고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과정과 메시지의 일치성 및 불일치성에 관해 많은 관심을 두었다. 사티어는 의사소통 유형을 회유형, 산만형, 비난형, 초이성형, 일치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했다. 회유형은 자기의 내적 감정, 생각을 무시하고 다른 사람 생각, 감정에 맞추고자 하는 성향을 의미하며, 비난형은 다른 사람을 무시하는 성향을 나타낸다. 초이성형은 다른 사람과 자신을 모두 무시하고 지나치게 이성적이며 객관적인 모습을 보이며, 산만형은 자기, 다른 사람, 상황을 모두 무시한다. 일치형은 의사소통 내용, 내면의 감정이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 2. 비일치적 의사소통 방식을 일으킨 상황
    사춘기 딸과의 갈등 상황에서 비난형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딸의 반항적이고 충동적인 행동을 막기 위해 딸을 비난하고 공격적으로 대응했지만, 이후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딸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더 나은 의사소통 방식을 찾고자 하게 되었다.
  • 3.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주 사용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
    어린 시절 학급 친구들과의 갈등 상황에서 산만형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당시 심각한 갈등 상황에서 옆 반 친구가 웃긴 이야기를 해주어 갈등이 해소되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산만형 의사소통은 창의성과 유머 감각을 높이고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만들지만, 내적 고통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현재에 초점을 맞추고 자기 규정과 가치 부여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히면서도 유머 감각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첫째, 부모적 자아(Parent Ego State)는 권위적이고 지시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보입니다. 둘째, 성인적 자아(Adult Ego State)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보입니다. 셋째, 어린이적 자아(Child Ego State)는 감정적이고 의존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보입니다.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의 의사소통 방식은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하며, 특정 유형에 편중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자아 상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비일치적 의사소통 방식을 일으킨 상황
    비일치적 의사소통 방식은 상대방의 감정과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입장만을 강요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지나치게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거나,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비합리적인 지시를 내리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또한 상호 존중과 배려의 자세로 대화를 나누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합의점을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일치적 의사소통 방식은 갈등을 심화시키고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 3.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주 사용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감정적으로 불안정해지기 쉽고, 이로 인해 역기능적인 의사소통 방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으로는 공격적 의사소통, 회피적 의사소통, 수동-공격적 의사소통 등이 있습니다. 공격적 의사소통은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위협하는 방식으로, 회피적 의사소통은 문제를 회피하거나 감정을 숨기는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수동-공격적 의사소통은 겉으로는 순응하지만 내면적으로는 반항하는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관계를 해칠 수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