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통대 방송대 컴퓨터보안 출석수업과제물 A+
문서 내 토픽
-
1. 정보보호의 핵심 목표정보보호의 핵심 목표 세 가지는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이다. 기밀성은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는 자가 정보의 내용을 알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무결성은 허락되지 않은 자가 저장되어 있는 정보나 전달 중인 정보를 임의로 수정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가용성은 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이 있는 자가 정보에 접근하고자 할 때 방해받지 않고 언제든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
2. 시프트 암호평문 'HAPPY'를 시프트 암호로 암호화하면 'LETTC'가 된다. 복호화 과정에서는 암호문 문자의 첫 번째 글자인 'L'을 위 표의 '암호문 문자' 행에서 찾으면 대응되는 평문 문자는 'H'임을 알 수 있고, 나머지도 같은 방식으로 치환하면 결국 'HAPPY'이라는 원래의 평문을 확인할 수 있다.
-
3. 대칭키 암호와 공개키 암호의 차이점대칭키 암호는 암호화, 복호화에 하나의 같은 키를 사용하는 반면, 공개키 암호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한다. 키 분배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대칭키 암호는 키 공유 과정에서 악의를 가진 사람이 탈취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지만, 공개키 암호는 공개키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노출되더라도 문제가 없다. 또한 대칭키 암호는 대상이 바뀔 때마다 키가 달라져야 하지만, 공개키 암호는 개인키를 가지고 있는 복호화하는 사용자만 공개키, 개인키 한 쌍을 잘 보관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다.
-
1. 정보보호의 핵심 목표정보보호의 핵심 목표는 정보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기밀성은 권한 없는 사용자가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며, 무결성은 정보가 승인되지 않은 방식으로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가용성은 인가된 사용자가 필요할 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세 가지 목표는 정보보호의 핵심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정책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암호화, 접근 통제, 백업 및 복구 등의 기술이 활용되며, 정보보호 정책, 교육 및 훈련 등의 관리적 대책도 중요합니다. 정보보호의 핵심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조직의 정보자산을 보호하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시프트 암호시프트 암호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암호화 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평문의 각 문자를 일정한 수만큼 이동시켜 암호문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A'를 3만큼 이동하면 'D'가 되는 것입니다. 시프트 암호는 구현이 간단하지만, 암호화 강도가 매우 약합니다. 암호문을 분석하면 쉽게 원래의 평문을 복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대의 암호 시스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단순한 게임이나 교육 목적으로만 활용됩니다. 하지만 시프트 암호는 암호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더 복잡한 암호 기법의 기반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암호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대칭키 암호와 공개키 암호의 차이점대칭키 암호와 공개키 암호는 암호화 방식에 있어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대칭키 암호는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반면, 공개키 암호는 암호화에는 공개키를, 복호화에는 개인키를 사용합니다. 대칭키 암호는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빠르지만, 키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공개키 암호는 키 관리가 상대적으로 쉽지만, 암호화와 복호화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대칭키 암호는 사전에 안전한 채널을 통해 키를 공유해야 하지만, 공개키 암호는 공개키를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안전한 채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처럼 두 암호 방식은 장단점이 있어, 실제 시스템에서는 이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방통대 방송대 컴퓨터보안 출석수업과제물 A+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