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기획, 전시 운영 - 전시별 일관되게 제공되는 자료에 있어 이해하기 쉽고 관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성 - 오프라인 기반 자료 제공을 중심으로
본 내용은
"
전시기획, 전시 운영 - 전시별 일관되게 제공되는 자료에 있어 이해하기 쉽고 관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성 - 오프라인 기반 자료 제공을 중심으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06
문서 내 토픽
  • 1. 브로슈어
    브로슈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목적을 가진 정보를 그 대상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국가의 정책, 회사의 사업 및 상품을 홍보하는데 활용된다. 일반적인 브로슈어의 단점은 전체적으로 '일괄된 그리드'가 적용되고, '변용'없이 단순히 정보의 양을 많이 담기위한 시도가 담겨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국립현대미술관 브로슈어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색상을 통한 컨셉의 구축을 이뤄냈다. 글이 그리드를 벗어나고 비대칭적인 타이포그래피를 가지며, 좌우 페이지를 관통하는 이미지를 통해 국립현대미술관만의 브로슈어를 만들어냈다.
  • 2. 설명패널
    설명패널을 잘못이용한다면, 작품의 방해요소로 등장할 수 있다. 너무작은 글귀로 관람객이 설명을 알아볼 수 없거나, 너무 모호한 문장들은 오히려 작품의이해를 방해한다. 또한 설명패널을 보기 위해 작품에 다가가는 관람객들은 작품을 위협할 수 있고, 다른 관람객의 시야를 가릴 수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소장품전에서 사용한 캡션처럼 어두운 공간에 캡션에 딱 맞는 빛을 천장에서 쏘아 캡션이 잘 보이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3. 벽글
    벽글은 작품설명을 돕는 벽글과, 전시 주제 이미지를 보여주는 벽글이 있는데, 전시 주제 이미지를 보여주는 벽글은 디자인적 요소로 관람객의 흥미를 끌 수 있다. 작품설명을 돕는 벽글은 이해가 쉬워야하며, 다양한 일러스트 이미지와 결합된다면 더 좋다. 브로슈어에 있는 내용보다는 더 간결하고 읽기 쉽게 되어있어야 하며, 글자의 크기가 적절해야 한다. 번역본에 문제가 없는지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 4. 아카이빙 자료
    오프라인 자료가 아무리 좋게 제공되어도, 사람들은 작품과 자료를 함께 향유할 수 있을만한 공간을 찾기 마련이다. 조금은 쉬어가며 자료를 볼 공간을 잘 꾸며 놓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미메시스 미술관이나 구 하우스 등에서 전시공간 안에 서적을 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처럼, 국립현대미술관에서도 이와 같은 공간을 마련하면 좋을 것 같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브로슈어
    브로슈어는 기업이나 제품을 소개하는 중요한 마케팅 자료입니다. 브로슈어는 간단하면서도 핵심적인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합니다. 디자인과 레이아웃이 깔끔하고 전문적이어야 하며, 핵심 메시지가 명확하게 전달되어야 합니다. 또한 브로슈어는 고객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시각적 요소들을 포함해야 합니다. 브로슈어는 기업의 이미지와 브랜드를 대변하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제작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2. 설명패널
    설명패널은 전시나 행사 현장에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설명패널은 간결하면서도 핵심적인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하며, 시각적으로 흥미롭고 전문적인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설명패널은 관람객의 관심을 끌 수 있는 구조와 레이아웃을 가져야 합니다. 설명패널은 전시나 행사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제작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3. 벽글
    벽글은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공간의 분위기를 연출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벽글은 공간의 컨셉과 어울리는 디자인과 메시지를 가져야 하며, 공간의 크기와 용도에 맞게 적절한 크기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또한 벽글은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높아야 하며, 관리와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합니다. 벽글은 공간의 분위기와 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제작과 설치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4. 아카이빙 자료
    아카이빙 자료는 기업이나 단체의 역사와 활동을 기록하고 보존하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아카이빙 자료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방식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향후 활용을 위해 디지털화되어야 합니다. 또한 아카이빙 자료는 안전하게 보관되어야 하며, 필요 시 쉽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아카이빙 자료는 기업이나 단체의 역사와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관리와 보존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