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폰지 시티라는 개념이 퍼지고 있다. 스폰지 시티가 무엇을 뜻하는지
본 내용은
"
(세계의도시와건축) 스폰지 시티라는 개념이 퍼지고 있다. 스폰지 시티가 무엇을 뜻하는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6
문서 내 토픽
-
1. 스폰지 시티의 개념중국의 과도한 도시화로 인하여 기후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 열섬과 공기오염, 홍수 등의 여러 환경문제에 직면해있다. 중국의 도시개발은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여 자연 생태지역을 쇠퇴시켰기 때문에 도시의 우수 저수 능력이 낮아져 도시침수와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에서는 침수를 막을 수 있는 '스폰지'라는 개념을 2003년에 처음 언급했다. 중국에서는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4년에 스펀지 시티를 제시했다. 이는 도시가 스펀지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어 물을 저장, 배수, 정수하는 등이 있고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
2. 스폰지 시티의 사례중국에서는 상하이를 포함하여 중국 해안지역이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매년 해수면 상승이 일어나고 있으며, 도시의 침수가 점점 더 우려되는 상황이다. 상하이시에서는 상하이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스폰지 시티를 건설 중에 있다. 중국의 우한시는 중국 정부가 추진중인 스폰지 시티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 도시다. 하얼빈의 췬리 빗물공원은 스폰지 시티 프로젝트를 시행한 후 완전히 뒤바뀌었다. 지하수가 보급되었으며 옛 습지가 복원되었고 생물다양성이 다시 회복되면서 건강한 습지 생태계 시스템이 구성되었다.
-
1. 스폰지 시티의 개념스폰지 시티는 도시 내 물 순환 체계를 개선하여 홍수와 가뭄 등 물 관련 재해를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실현하는 도시 계획 개념입니다. 이를 위해 투수성 포장재 사용, 빗물 저류 시설 설치, 녹지 공간 확대 등 다양한 기술과 정책이 적용됩니다. 스폰지 시티는 기존 도시의 물 관리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도시 내 물 순환을 개선하고 물 관련 재해를 예방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스폰지 시티의 사례스폰지 시티 개념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실현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선전시는 스폰지 시티 시범 도시로 선정되어 투수성 포장재 사용, 빗물 저류 시설 설치, 녹지 공간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독일의 베를린과 프랑스의 파리 등 유럽 도시들도 스폰지 시티 개념을 도입하여 물 순환 체계 개선과 물 관련 재해 예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스폰지 시티가 실제로 구현 가능한 도시 계획 모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향후 더 많은 도시들이 스폰지 시티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지속가능한 물 관리와 도시 환경 개선을 이루어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