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를 위한 실외환경 구성(실외 보육환경)
본 내용은
"
영유아를 위한 실외환경 구성(실외 보육환경)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31
문서 내 토픽
  • 1. 신체 활동 영역(대근육 활동을 위한 영역)
    영유아가 활발히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과 시설이 필요하다. 신체 활동을 위한 시설로는 고정된 시설과 이동가능한 시설이 있다. 고정된 시설로는 그네, 미끄럼틀, 시소, 정글짐 등이 분리되어 설치되거나, 복합 종합 놀이시설로 배치할 수 있다. 이동가능한 시설로는 평균대, 타이어 등을 이용한 구조물이 있다.
  • 2. 구성놀이 영역 : 물 ? 모래놀이, 미술 활동 영역
    물놀이와 모래놀이는 함께 이루어지거나 자료들이 공동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래밭 근처에 수도나 물을 얻을 수 있는 장소를 설치하여 모래놀이, 물놀이 공간을 구성한다. 화창한 날에는 미술 영역의 이젤과 준비물을 가지고 나와 영유아가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3. 탐구 활동 영역 : 동 ? 식물 기르기 영역
    탐구 활동 영역은 영유아에게 자연의 아름다움과 질서의 개념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감각 영역은 바람, 공기, 햇빛, 하늘, 소리 등을 탐색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자연탐색 영역은 식물의 재배와 동물의 사육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 4. 휴식 공간(조용한 영역)
    실외 보육환경에는 동적인 활동만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혼자 있거나 조용한 놀이를 하기를 원하는 영유아를 위한 편안히 쉴 수 있는 조용한 공간도 필요하다. 나무그늘, 파라솔, 야외용 텐트, 정자, 실내와 연결된 테라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 5. 바닥, 울타리
    실외 보육환경의 바닥은 배수가 잘 되어야 하며, 놀이 영역에 따라 다양하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유아의 안전한 활동을 위해 울타리를 설치해야 하며, 큰 길과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120cm 높이로 울타리를 세우도록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체 활동 영역(대근육 활동을 위한 영역)
    신체 활동 영역은 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공간입니다. 이 영역에서 유아들은 대근육 활동을 통해 신체 협응력, 균형감, 운동 능력 등을 기를 수 있습니다. 실내외 공간을 적절히 활용하여 다양한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전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교사의 적절한 개입과 지도를 통해 유아들이 신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2. 구성놀이 영역 : 물 ? 모래놀이, 미술 활동 영역
    구성놀이 영역은 유아의 창의성과 탐구심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공간입니다. 물과 모래 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할 수 있으며, 미술 활동 영역에서는 자유로운 표현과 창의적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놀이 영역은 유아의 발달 단계와 흥미를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하며, 교사의 적절한 개입과 지원을 통해 유아들이 즐겁고 의미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3. 탐구 활동 영역 : 동 ? 식물 기르기 영역
    탐구 활동 영역은 유아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중요한 공간입니다. 동식물 기르기 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생명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일 수 있으며, 관찰, 실험, 기록 등의 탐구 활동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 영역에서는 유아의 발달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다양한 자료와 도구를 제공하고, 교사의 적절한 개입과 지원을 통해 유아들이 능동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4. 휴식 공간(조용한 영역)
    휴식 공간은 유아들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조용한 영역입니다. 이 공간에서 유아들은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편안한 분위기와 적절한 자료 및 도구를 제공하여 유아들이 자유롭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교사의 세심한 관찰과 배려를 통해 유아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5. 바닥, 울타리
    바닥과 울타리는 유아 공간 구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바닥은 유아의 안전과 활동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질과 디자인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울타리는 유아의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개방적인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바닥과 울타리의 디자인은 전체 공간의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