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어휘 점화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 탐구 - open sesame를 이용하여
본 내용은
"
국어의 어휘 점화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 탐구 - open sesame를 이용하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9
문서 내 토픽
  • 1. 어휘 점화 요인 탐구
    중간 과제에서 'prime -> target'으로 이어지는 자극쌍의 semantic/associative relation, 첫음절 소리 동일성, 한자어 어원 동일성, 코퍼스 출현 빈도가 점화 효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번 기말 과제에서는 이 외에도 어휘 점화에 영향을 끼치는 또 다른 잠재적 요인이 있는지 실험을 제작해보았다.
  • 2. 실험 참여자
    본 실험에는 한국외대에 재학 중인 학생 10명이 참여했다. 본 연구 참여자의 연령범위는 20-25세였다.
  • 3. 실험 자료
    긍정/부정적 의미인 단어, 앉다 -> 의자와 같은 맥락이 이어지는 단어, 색, 일반적인 단어들을 prime으로 설정했다. 각 섹션마다 20개씩 만들었다. target은 단어와 비단어로 세션당 각 10개씩을 설정했다.
  • 4. 실험 절차
    본 실험에서는 open sesame를 사용하여 만들어 시행했다. 본 실험 진행 전 참여자의 집중력 환기와 실험방법의 숙지를 위해 총 3개의 prime-target 쌍을 바탕으로 연습시행을 진행했다. 먼저 prime 단어가 제시되기 전에 컴퓨터 모니터 중앙에 '' 형태의 응시점이 100ms 동안 제시되었다. 응시점이 사라지고 prime 단어가 200ms 정도 이어진 뒤 컴퓨터 모니터 중앙에 '' 형태의 응시점이 100ms 동안 제시되었다. 그리고 나타난 target이 단어인지 비단어인지를 판단했다.
  • 5. 실험 분석
    실험 참여자 10명의 로그 파일을 수집하여 파워 쿼리와 피벗테이블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파워 쿼리에서 prime 단어의 분류인 condition, 실험 참여자가 맞고 틀린 문제를 표시하는 correct, 단어/비단어를 분류하는 correct_response, prime, 반응 시간인 response_time, target 총 7개의 요소만 남기고 피벗테이블을 만들었다.
  • 6. 단어/비단어 반응 시간 분석
    target이 단어일 때 평균 반응 시간은 174.2833036, 비단어일 때 평균 반응 시간은 182.4529434로 단어일 때의 평균 반응 시간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쌍체비교분석을 돌려본 결과 p(T<=t) 양측 검정의 값이 0.2758835로 우연한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7. 긍정/부정/맥락/색/일반 단어 반응 시간 분석
    긍정, 부정, 맥락, 색, 일반 단어 유형별로 target이 단어일 때와 비단어일 때의 반응 시간을 분석했으나, 모두 p값이 0.05 이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8. 결론
    어휘 점화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 5가지 요인 모두 target이 단어일 때 반응 속도가 빨랐지만, 쌍체비교분석 결과 p값이 모두 0.05 이상으로 우연한 수준이었다. 단어가 익숙해서 뇌와 눈이 빠르게 인식하는 것인지 궁금해졌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실험 참여자
    실험 참여자의 선정은 연구 결과의 타당성과 일반화 가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실험 참여자의 연령, 교육 수준, 언어 능력, 인지 기능 등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대표성 있는 표본을 선정해야 합니다. 또한 참여자 간 개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엄격한 선별 기준을 적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실험 결과가 특정 집단에 국한되지 않고 보편적인 언어 처리 과정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 2. 주제4: 실험 절차
    실험 절차의 설계는 연구 목적과 가설을 효과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합니다. 어휘 점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실험 패러다임(예: 어휘 판단 과제, 단어 명명 과제 등)을 선택하고, 실험 조건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참여자의 주의력, 피로도, 학습 효과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실험 절차를 구체적으로 계획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실험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주제6: 단어/비단어 반응 시간 분석
    단어와 비단어에 대한 반응 시간 분석은 어휘 처리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단어 처리와 비단어 처리 과정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어휘 접근, 의미 활성화, 어휘 선택 등 언어 처리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휘 점화 효과가 단어와 비단어에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것은 언어 처리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4. 주제8: 결론
    이 연구는 어휘 점화 효과를 통해 언어 처리 과정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입니다. 실험 참여자, 실험 자료, 실험 절차, 실험 분석 등 연구 설계의 각 요소가 적절히 구현되어야 할 것입니다. 특히 단어와 비단어, 긍정/부정/맥락/색/일반 단어 등 다양한 유형의 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 분석을 통해 언어 처리의 복잡성과 역동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언어 처리 모델의 발전과 언어 장애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